[다락수다 3040 / 후기] 나와 가족의 행복을 찾는 법

다락수다 3040‘은, 30~40대 후원회원을 대상으로 매월 마지막 주 목요일에 열리는 소규모 심층수다 프로그램입니다. 올해는 일, 가족, 파트너, 마을, 국가 등 5가지 주제와 서로의 삶, 관계에 대해 소소하지만 깊고 따뜻한 이야기를 나누려 합니다.


“경제활동인구 비율이 높은 3040세대는 대부분 임금노동자의 삶을 살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한국 직장인의 가장 큰 특징은 ‘바쁘다’는 것과 ‘비전의 상실’이다. 그 결과 회사우울증을 겪는 직장인이 80%에육박한다. 임금노동에 많은 시간을 쓰고 있는 3040세대는 시간에 대한 결정권을 갖지 못한다. 다양한삶을 주체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여건으로 삶의 만족도는 바닥이다.”
—– 제21호 희망이슈 ‘3040세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준비’ 중 (희망이슈 보기)

나 그리고 나의 가족

4월 ‘다락수다 3040’ 주제는 ‘가족’입니다. 첫 만남에서 이야기하기에는 다소 예민한 주제이지만, 어찌 보면 모두가 고민하는 보편적인 주제일지도 모릅니다. 누구나 가족이라는 관계 속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고, 그 경험은 우리의 삶에 크고 작게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일상에 밀려서 혹은 용기가 없어서 ‘나의 가족’에 대한 고민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그 마음을 꾹꾹 눌러 가슴 속 깊이 넣어둡니다.

이번 다락수다에서는 그 마음을 밖으로 꺼내어 편하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이번 역시 참석하신 분들이 편안하게 수다를 즐길 수 있도록 맛있는 음식과 와인을 준비했습니다. 어색한 눈빛과 긴장한 표정 그리고 굳어있는 몸은 한 잔의 와인과 함께 스르르 녹아내렸습니다.


아버지를 친구로 생각하고 소개한다면

“나에게 가족은 OOO이다”

본격적인 수다에 앞서 참석자들이 평소 생각하는 가족에 대해 이야기했는데요. 어떤 이들은 부모님을 생각하고 어떤 이들은 남편과 아내를 생각하고 어떤 이들은 자녀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내 삶의 이유’, ‘아픔’, ‘어깨의 짐’, ‘친구’, ‘편안함’ 등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도 다양했습니다.

과거 자녀 양육과 사회화, 교육의 기능을 수행했던 가족의 역할도 많이 변했습니다. 혈연 중심의 관계와 역할에서 이제 가족은 돌봄, 보호, 위로, 사랑, 휴식 등 감성적 관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가족이지만, 늘 즐거운 감정을 교류하고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는 어렵습니다. 오랜 시간 일상을 함께하다 보면, 긍정적인 감정의 교류보다는 사소한 논쟁으로 다투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무시해버리기엔 너무 ‘소중한 그들’입니다.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놓을 수 있는 존재도,
진흙탕에 처박힌 나를 끌어올려 줄 수 있는 존재도, 가족, 가족뿐이다.”
—– ‘나는 더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 중에서


이날 참석한 분들은 나의 가족과 나에 대해 진솔한 마음을 담아 입을 열었습니다. 각자 삶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부모의 의미는 무엇인지, 부모와 자식이라는 관계에서 벗어나 다른 관점으로 부모와 나의 관계를 생각했습니다.

“고지식하고 가부장적이었던 아버지는 다섯 형제를 키우며, 집안 일을 도맡아 하시던 어머니를 한번도 도와주지 않으셨어요. 가족들과 대화도 거의 없었고, 아버지 때문에 어머니가 많이 힘드셨죠.“

아버지에 대해서 소개한 참가자에게 이번에는 아들이 아닌 그의 친한 친구의 입장에서 다시 아버지를 소개해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참가자는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다시 말을 이어나갔습니다.

“음, 제 친구 OO는요. 참 착한 친구이긴 한데 표현이 서툴러서 아내와 아들에게 허구헌날 오해를 삽니다. 소심한 성격에 변명도 못하고, 힘들다는 이야기도 못하고… 그 친구, 많이 외로웠을 거예요.“

우리는 어쩌면 가족이란 관계의 틀 안에서 서로의 진짜 모습 그리고 진짜 마음을 보지 못한 채 오해를 하고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사랑하지만 화나고, 미안하지만 솔직히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감정이 공존하는 관계, 바로 ‘가족’입니다.

‘행복한 가족’과 ‘행복한 나’를 위한 노력

‘가족’에 관한 이야기를 좀 더 파고 들었습니다. 가족은 나를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는지, 가족과의 관계에서만 유독 예민하고 화를 내는 이유가 무엇인지, 가족이란 이름으로 상처받은 적은 없는지, 각자 ‘행복한 가족’, ‘행복한 나’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말입니다.

‘가족’은 2~3시간의 대화로 마무리 할 수 있는 가벼운 주제가 아니었습니다. 5월 25일에 열리는 ‘심층수다’에서 뵙게 될 관계전문가인 한기연 박사(고려대학교 대학원 임상심리학)에게 묻고 싶은 질문을 나누며 행사를 마무리 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가족과 관계를 개선하거나 관계를 잘 이끌어 갈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았습니다.

· 어떻게 하면 가족과 싸우지 않을까요?
· 가족과 짜증내지 않고 대화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가족의 힘을 돋우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가족과 나의 의견이 다를 때 어떻게 소통해야 할까요?
· 나의 행복과 가족의 행복은 공존할 수 있을까요?
· 개인과 가족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까요?
· 가족과 화해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나의 꿈과 가족이 꿈꾸는 삶이 함께할 수 없을 때 제 꿈을 포기해야 할까요?
· 내가 행복하지 않은 가족은 없다 vs 가족이 행복해야 내가 행복할 수 있다
· 따로 또 같이? 무자녀 2인 가족이 계속 유지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요?

– 글 : 박다겸 | 후원사업팀 연구원 · alexiapark@makehope.org
– 사진 : 후원사업팀

* 5월 심층수다에서는 4월 미리수다에 이어 ‘나는 더 이상 당신의 가족이 아니다’의 저자이자 임상상담학 박사인 한기연 선생님과 함께 가족에 관한 대화를 이어갑니다. (자세한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