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한 그릇’ 마을을 바꾸다

안신숙 희망제작소 일본 주재 객원연구위원이 전하는 일본, 일본 시민사회, 일본 지역의 이야기. 대중매체를 통해서는 접하기 힘든, 일본 사회를 움직이는 또 다른 힘에 대한 이야기를 일본 현지에서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안신숙의 일본통신 (22)
‘밥 한 그릇’ 마을을 바꾸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귀를 기울이면’은 도쿄 다마 뉴타운이 배경이다. 1964년 도쿄 올림픽 성공과 경제 성장 여파로 수도 도쿄에 몰려든 시민들에게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로 건설된 다마 뉴타운은 일본식 고도경제성장의 상징이자 자부심이었다. 1971년 나가야마 단지에 첫 입주가 시작됐다. 당시 입주자 대부분은 20~30대 전후 베이비붐 세대였다. 단지 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어디나 아이들의 웃음소리로 가득했다.

그러나 40여 년이 지나면서 다마 뉴타운은‘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도시’가 되어 버렸다. 성장한 아이들은 독립해 이곳을 떠났고, 노후화하기 시작한 아파트에는 고령의 부모들만 남았다. 단지 내 상가도 여기저기 문을 닫았다. 특히 입주가 빨랐던 나가야마 단지는 상황이 더욱 심각해 전체 주민 1만6천000여 명 중 약40%가 65세 이상의 고령에 접어들었다. 이들 고령층의 약 30%가 홀로 산다.

[##_Gallery|1036956043.jpg||1005533421.jpg||width=400_##]

이 단지가 몇 년 전부터 이름이 알려지고 있다. 고층 아파트 1층 상가에 자리 잡은 NPO 법인 <나가야마 복지정>(대표 테라다미에코, 65세) 커뮤니티 카페 덕분이다. 이 카페를 찾아가 보니 약 20평 남짓한 실내에 테이블 6개가 놓여 있는 광경이 눈에 들어왔다. 테이블마다 3~4명 노인들이 환담을 즐기면서 식사를 하고 있다. 문 앞의 테이블에서는 할아버지 한 분이 혼자 신문을 읽으면서 식사를 하고, 그 옆에서는 벌써 식사를 끝낸 할아버지 두 분이 바둑 삼매경이다.

이들은 복지정이 있어서 큰 도움을 받는다고 입을 모았다. 야마모토 씨(77세)는“남편 건강이 좋지 않아 집에서 요양 중인데 여기에 오면 이웃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식사를 할 수 있어 기분 전환이 된다. 채소와 생선을 중심으로 매일 메뉴가 바뀌기 때문에 노인들이 먹기에도 좋다.”라고 말했다. 8년째 복지정 단골이라는 히라야마 (84세)씨는“내게 복지정은 연인과 같은 곳이다.”라고 말했다. 그녀는 그동안 복지정에서 발행하는 신문에 자신이 기고한 글을 보여주기도 했다. 모두 느긋하게 오후의 한때를 즐기고 있는 모습이다.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비영리 법인이 운영

2001년 다마 시는 뉴타운의 고령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고령자 사회 참가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자칫 집안에 고립돼 생활하기 쉬운 고령자들이 지역으로 나와 교류하고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당시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한‘노인들의 고독사’가 충격을 던져서인지 참가자들의 열기는 예상 외로 뜨거웠고,  사업 또한 빠르게 진행됐다. 다마 시와 도쿄 도의 보조금으로 상가의 빈 가게를 빌려 복지정을 개업하게 된 것이다. 카페 운영은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비영리 법인이 자율적으로 맡기로 했다.“복지정을 찾는 지역 노인은 하루 약 50명인데, 자원봉사자 6~7명이 교대로 이들의 식사를 준비한다.”라고 카운터를 맡은 모토야마(78세)씨는 말했다.

복지정 탄생의 산파 구실을 한 인물이 현재 NPO 대표를 맡은 데라다 미에코(65세)씨. 1974년 나가야마 단지에 입주한 이래 생협활동을 하며 탄탄한 자원봉사자 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한 그녀는 복지정을 운영하면서‘따뜻한 밥 한 그릇’이 지닌 힘을 새삼 깨달았다고 말한다.“외롭다는 말보다는 배고프다는 말이 하기 쉽지 않나? 점심 식사가 단순히 배를 채우는 일이 아니라 지역과 고령자의 일상을 지켜주는 생명선이 될 수도 있음을 이 일을 하면서 알게 됐다.”

이렇듯 밥 한 끼를 통해 지역 고령자들의 끈끈한 커뮤니티를 형성한 복지정은 장기와 바둑, 체조, 노래 등 다양한 취미 강좌도 진행 중이다. 복지정을 중심으로 고령자들 스스로 마을 만들기에도 나서고 있다. 홀로 사는 노인들에게 리본과 지역 생활 정보 안내서 등을 나눠주고 이들의 일상을 보살핌으로써 서로가 서로의 지킴이가 되어주는 것이다. 계단 높이를 조절하고 보행에 불편한 곳을 손보는 등 동네 환경을 가꾸는 일에도 적극적이다.

복지정은 현재 다마 시로부터 1년에 60만 엔가량 보조금을 받는다. 고령자 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지원하는‘미니데이 서비스’기관으로 지정된 덕분이다. 그렇지만 이 돈 대부분은  임차료와 각종 강좌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비용으로 들어간다.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복지정은 이용자들에게 끼니당 500엔씩 밥값을 받는다. 고령자, 스텝, 방문자 모두 마찬가지다. 그래 봐야 “음식 자재를 구입하고 광열비를 내기에도 빠듯하다.”라고 모토야마 씨는 말했다.

결국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에 기반해 카페가 굴러가는 구조라는 셈인다, 여기에 불만을 가진 자원봉사자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용자와 스태프를 구분하지 않는 복지정 특유의 운영 방식 때문이다.“나도 일할 때는 스텝이지만 이렇게 식사를 할 때는 이용자이다. 복지정을 이용할 때는 어떤 격식도 절차도 필요 없다. 그저 오고 싶을 때 와서 편히 쉬어가는 곳이 됐으면 한다.”라고 데라다 씨는 말했다. 마을 주민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커뮤니티 공간, 이것이 복지정의 성공을 이끈 또 하나의 열쇠였던 셈이다.

글_ 안신숙 (희망제작소 일본 주재 객원연구위원 westwood@makehope.org)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