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아침 6시 30분, 일어나 씻고 아침밥을 준비한다. 7시 즈음 일곱 살 아이가 눈을 뜨면 아침밥을 먹인다. 아이는 전날 늦게 자거나 피곤하면 좀처럼 일어나지 못한다. 그럴 땐 더 자게 둔다. 7시 50분. 출근 시간 마지노선이다. 후다닥 옷을 입히고 어린이집으로 향한다. 어린이집은 8시까지 등원하면 죽이나 주먹밥 등 간단한 먹을거리를 챙겨준다. 다행이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dabansa_20170504

아침 6시 30분, 일어나 씻고 아침밥을 준비한다. 7시 즈음 일곱 살 아이가 눈을 뜨면 아침밥을 먹인다. 아이는 전날 늦게 자거나 피곤하면 좀처럼 일어나지 못한다. 그럴 땐 더 자게 둔다. 7시 50분. 출근 시간 마지노선이다. 후다닥 옷을 입히고 어린이집으로 향한다. 어린이집은 8시까지 등원하면 죽이나 주먹밥 등 간단한 먹을거리를 챙겨준다. 다행이다.

일하는 아빠의 일상

저녁 6시. 칼퇴근 후 부랴부랴 어린이집으로 향한다. 30명 아이 중 대부분은 집으로 돌아갔고, 우리 아이 포함 두세 명 정도만 남아있다. 조금 늦으면 우리 아이만 남아있기 일쑤다. 늦게까지 어린이집에 남아 있을 아이를 생각하면 마음이 짠하다. 아이는 등원할 때마다 묻는다. “아빠! 오늘은 몇 시에 데리러 와?” 집에 와 아이에게 밥을 먹이고 씻기면 금방 9시가 넘는다. 아이는 더 놀고 싶어 하고 책도 읽어달라고 하지만, 내일을 생각하면 빨리 재워야 한다.

워킹대디(Working Daddy, 일하는 아빠), 즉 나의 일상이다. 아이 엄마는 야근이 잦다. 주중에 아이를 챙기는 일은 주로 내 몫이다. 야근이 많지 않아 견딜 만 하다. 하지만 고민이다. 혼자 외롭게 자랄 아이를 위해 둘째를 갖고 싶지만 엄두가 안 나는 것이다. 첫째 아이의 태명은 ‘두리’였다. 이왕이면 둘째까지 낳자는 내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첫 아이를 키우며 이 생각은 사라지고 말았다.

현실과 동떨어진 땜질식 처방

4월 26일, 통계청은 ‘2월 인구 동향’을 발표했다. 2월 출생아 수는 3만6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00명(12.3%) 감소했다. 이 추세라면 올해 출생아 수가 사상 최저인 36만 명(2016년 40만6,300명) 선까지 떨어질 것으로 추정한다. 결혼과 출산이 쉽지 않은 헬조선의 현실을 반영한다. 출산율 감소는 곧 경기 위축으로 이어진다. 당장 산부인과가 문을 닫고, 어린이집이 줄고, 학교 앞 문방구가 문을 닫는다. 내수감소로 이어진 경기 위축은 고용감소로 이어지고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 인구절벽을 경험하고 있는 일본은 우리의 미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정부는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세우고 2006년부터 10년간 80조 원의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지만 결과는 처참하다. 출산율이 회복되기는커녕 급격한 하향 곡선을 그리며 곤두박질치고 있다. 현실과 동떨어진 땜질식 처방임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다.

저출산 해결, 보육정책 개선만이 답일까?

촛불시민혁명으로 갑작스레 다가온 19대 대선, 각 후보는 (예비)부모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및 아동수당 도입 등을 약속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둘째를 가져도 되겠다’라는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공약의 구체성이 떨어질뿐더러 마음 놓고 아이를 키울 수 있겠다는 확신이 생기지 않는다. 사회 시스템이 튼튼하지 않기 때문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불을 향해 가고 있다지만, 1,968만7,000명의 근로자 중 절반 가까이가 200만원 미만의 월급을 받는다. 이는 저출산이 육아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가 부모의 전폭적 지원 아래 행복하게 자라고, 학교에서는 자신의 특기와 적성을 살려 진로를 찾고, 청년이 되어서는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자립하고, 나아가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보장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행복순위 1~2위를 다투는 북유럽 국가들은 그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준다. 가정의 달 5월, 아이가 행복한 나라, 모두가 행복한 나라를 꿈꿔 본다. “아빠 언제 데리러 와?”라는 말을 들으며 더는 마음이 짠해지는 일이 없기를.

– 글 : 송정복 | 목민관클럽팀 연구위원 · wolstar@makehop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