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정책 / 지원 | 서울시, “사회적배려기업 제품 공동전시판매장” 명칭 공모 (9월 6일 – 9월 20일) 서울시는 11월 개장되는 사회적배려기업 상설매장의 명칭을 공모한다. 서울시 공모전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서울시는 8작품, 총 300만원의 시상금을 지급한다. | 아크로팬 | | 서울시 성동구, 사회적기업가양성 아카데미 모집 (- 9월 12일) 서울시 성동구와 사단법인 씨즈는 9월 18일부터 주 2회씩 총 9회, 사회적기업가양성 아카데미를 개최한다. 사회적기업에 관심있는 시민이면 방문·이메일 신청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사) 씨즈 | | 부천시, “사회적 기업 제품 우선 구매” 조례 추진 부천시는 공공기관과 민간 단체, 기업, 시민이 지역 내 36개의 사회적 기업의 제품을 구입하도록 유도하는 조례안을 10월 열리는 부천시의회에 상정할 방침이다. | 뉴시스 | 모집 | 2012 서울 사회적경제 아 이디어 경진대회 “위키토크” 열려 “삶터와 교육”을 주제로 9월 22일 하자센터에서 펼쳐지는 “위키토크”. 첫 번째 컨퍼런스는 박원순 시장, 유호근 사무국장, 조한혜정 교수, 김경옥 대표의 강연과 시민 토론이 진행된다.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 위키서울 | | 충청남도, 2012 전국 사회적경제 한마당 개최 (9월 6일 – 9월 8일) 사회적경제 한마당이 충남 아산에서 열린다. 학술대회, 로컬푸드 국제심포지 엄과 함께 문화예술사회적기업의 공연, 친환경 먹거리 체험, 어린이 생태교실 등의 상설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 아시아투데이 | | “소셜이노베이션로드 오세아니아” 모집 (8월 24일 – 9월 28일) 사회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사회혁신의 세계를 대륙별로 탐방하는 SI road 2기 원정대를 모집합니다. 호주 사회혁신 현장 에서 다양한 사례와 구체적인 방법론을 습득할 기회를 잡으세요. | 희망제작소 | | 아트센터 나비, “제9공화국 – 시민의 품격” 입국 심사 (- 9월 7일) 새로운 “문화공화국”을 지향하는 시민이면 참여 가능한 “제9공화국 – 시민의 품격” 컨퍼런스가 9월 8일과 9일 열린다. 아트센터 나비 홈페이지를 통해 사회적기업과 비영리단체 활동가들의 강의와 토론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다. | 아트센터 나비 | | 수원시, 2012 한·독 도시교류포럼 개최 (9월 12일) 희망제작소는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FES)과 함께 독일의 시민참여 방법론과 리히텐베르크의 주민참여예산 이야기를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홈페이지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희망제작소 | 민간 | 사회연대은행, LG전자 에코-노믹스 월간 세미나 (9월 13일) 사회연대은행이 주관하는 “한국 도시광산화 사업의 현재와 미래” 세미나가 부산 사회적기업센터에서 열린다. | 베네피트 | |
 |
|
 |
사회적경제 | 정태인의 “네박자로 가는 사회적경제” (11) 사회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좋은 사회적 자본이 만들어져야 한다. 좋은 사회적 자본은 만들기 위한 4가지 조건들을 살펴보자. | 새로운사회를 여는연구원 | 협동조합 | 김창진 교 수가 주목하는 퀘벡의 협동조합 주정부가 사회연대기금을 조성하고 민간에서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퀘벡시의 협 동조합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자. | 시사인라이브 | 해외동향 | [사회적기업/ 중국] 중국 사회적기업의 크기와 규모 영국의 사회적기업 지원기관 FTSE의 최근 연구조사에 따르면, 지난 10여년 간 중국에서 사회적기업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지도와 지지가 높아졌으나, 시작 단계의 젊은 사회적기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규모나 경제적 영향력은 아직 제한적이라고 한다. | The Guardian | | [사회적기업가] 미국의 공정무역가가 전하는 더 좋은 사회적기 업가가 되기 위한 방법 “자신의 신념에 대한 용기를 가져라, 다른 사람들을 끌어들여라, 시도하고 배우고 다시 도전 하라!” 공정무역가가 전하는 사회적기업가가 되기 위한 세가지 방법을 들어보자. | FAST COMPANY | | [사회적투자] 사회적 증권거래소 확산 사회적목적을 가진 기업들을 위한 증권거래소가 곧 싱가포르와 런던에서 개소된다. 2003년 브라질에서 처음 생겨난 사회적투자를 위한 거래소는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이 강했으나, 앞으 로 열리는 증권거래소의 경우, 점차 전통적인 증권거래 방식으로 운영이 될 예정이다. | Global envision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