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서론
‘사회혁신’이라고 단정적으로 정의된 사례들을 선택하기 보다는 (다양한 사회혁신의 정의에서 알 수 있듯이 사회혁신의 정의 자체가 단정적이지 못하므로), 연구자와 시민 활동가에게 ‘사회적’이고 ‘혁신적인(새로운)’ 시도로 알려진 사례들을 한국 사회혁신 사례의 후보군으로 모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을 살펴보면서 동일한 사회 이슈들을 해결하는 기존의 시도들과 비교해 이들이 어떤 점에서 다른지 살펴보고, 이 사례들이 과연 사회혁신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려 한다.
이들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사회적’이고 ‘혁신적’인 구성요소들을 모아보면 한국 사회혁신의 ‘실용적 정의’를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보고서의 이러한 시범 연구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무엇이 한국의 사회혁신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심층 분석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연구와 후속 연구를 통해 한국의 사회혁신 육성을 위한 전략을 세울 수 있고, 이 전략은 한국 내 복잡한 사회 이슈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혁신이란 두 가지를 의미하는데, 사회문제 해결에 성과를 내는 새로운 것들과 기존의 지식을 새로운 방법으로 적용하여 성과를 내는 것 모두를 의미한다. (피어슨, 2007) [6]
사회혁신은 공공의 이득을 위해 강력한 사회적 영향력을 갖는 연대에 기반한 서비스나 결과물의 혁신이며, 시민의 참여로 개발된다. (프랑스 사회적경제 액터) [15]
시작 |
|
방법/프로세스 |
|
결과 |
|
표2. 사회혁신 정의의 키워드
표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사회혁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i) 사회혁신은 어떻게 혹은 왜 시작되었는지
ii) 어떻게 발전되었는지
iii) 사회혁신의 결과는 무엇인지
이 세 가지 요소별로 모아진 키워드를 살펴보면 사회혁신에 관한 일반적인 정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을것이다.
[#M_ more.. | less.. |
Young Foundation, http://www.youngfoundation.org/files/images/SocialSiliconValleys_06.pdf
[5] Mulgan, G. (2006) “Social Innovation: What is is, Why it matters, how it can be accelerated”, Young Foundation Report, ttp://www.youngfoundation.org/files/images/03_07_What_it_is__SAID_.pdf
[6] Definition of Social Innovation, SI2 Workshop Blog, http://www.si2.ca/?page_id=239
_M#]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