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와우’라 불리는 이유

안녕하세요, 여러분! 저는 희망인턴 32기 기장 뿌리센터 이동호입니다.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이다.’ 말하는 시가 있습니다. 만물이 기지개를 켜는 봄에 이렇게 글로나마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를 찾은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 기쁩니다. 잠깐 제 소개를 드리면, 저는 작년 2월까지 7년간 군생활을 했습니다. 공군 부사관으로 항공기 정비를 했었고, 전역 후 9개월간 세계여행을 다녀왔죠. 지난 1월 한국에 돌아온 뒤 지역순환경제, 커뮤니티비즈니스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공부를 하던 중 희망제작소 뿌리센터를 알게 되어 갈밭을 건너는 바람을 타고와 희망제작소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저는 희망제작소 인턴 기장으로서 인턴활동을 좀 더 풍요롭게 만들고 동기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4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32기 인턴들만의 문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왜 하필 문화냐구요? 사람은 자신이 속한 조직 혹은 그룹의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요. 저는 그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문화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32기 인턴만의 문화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문화라고 말하니 거창한 것들을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저희는 아주 작고 단순한 것에서부터 32기 인턴들만의 문화를 만들고 있습니다. 자, 그럼 32기 인턴 문화를 소개하겠습니다.

문화 하나, “와우야!”

인턴 동기들에게 저는 ‘와우’라고 불립니다. 32기 인턴들은 서로를 이름이 아닌 닉네임으로 부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말하는 대로, 듣는 대로 변한다는 뜻을 가진 자성예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처럼 이름도 사람에게 무시할 수 없는 영향력을 끼칩니다. 불리는 대로 말하고, 불리는 대로 행동하고, 불리는 대로 되어 가는 것이죠. 희망제작소에서 펼칠 4개월간의 새로운 인생동안 우리에게 자성예언을 걸어보고 싶었습니다.

즐거운 놀라움을 주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뜻을 가진 ‘와우’, 배움과 성장을 멈추지 않는 ‘니오타니’, 동화책에 나오는 모모처럼 경청하는 사람이 되길 바란다는 ‘모모’, 열정을 오랫동안 간직하는 ‘솥단지’, 사랑스러운 존재라는 ‘추블리’, 철자를 뜻하는 단어 ‘SPELL’은 ‘마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죠? 닉네임이 우리를 마법처럼 바꿔 주는 주문이 되지 않을까요? 4개월 후 스스로가 원하는 모습이 되어 있길 바라며 서로를 응원하기 위해 저희는 서로를 닉네임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문화 둘, “우리 말 놓자!”

우리에게 ‘정’이라는 문화가 있듯 유대 민족에겐 ‘후츠파’라는 그들만의 문화가 있습니다. 나이, 직급을 떠나 위와 아래의 격 없는 대화를 말하는 것이죠. 전 세계 인구에서 유대인의 비율은 0.2%를 차지하지만 노벨상 수상자는 178명으로 전체의 22%에 달하는데 이 유대인들의 저력이 ‘후츠파’로 대변되는 토론문화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살아온 나이만큼 서로 다른 모습을 갖고 있는 우리가 협력적 관계가 되기 위해선 유대인들의 ‘후츠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함께의 시작은 수평적 관계에서 시작되고, 그 수평적 관계의 첫 단추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나이를 떠나 서로에게 반말을 쓰며 뻔뻔해지고 있습니다. 32기 인턴들의 ‘후츠파 정신’이 희망제작소에 어떤 혁신의 바람을 불러일으킬지 기대되지 않으신가요?

inin_1

문화 셋, 밥상에 둘러 앉아

오후 12시가 되면 희망제작소 주방은 그야말로 왁자지껄합니다. 밥 짓는 소리 때문이지요. 인턴을 시작한 지 사흘째 되던 날, 솥단지(최지은) 인턴이 집에서 전기밥솥을 가져왔습니다. 와우(저)는 서산 햅쌀 한 포대를 사왔습니다. 다른 인턴들도 조금씩 반찬을 싸왔습니다. 어느 날부터 누군가 요리를 시작했습니다. 그 밥솥을 시작으로 저희는 6주째 함께 밥을 지어먹고 있습니다. 된장찌개, 크림파스타, 닭볶음탕… 희망제작소 주방에서 매일매일 요리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죠. 물론 맛이 있는 날도 있지만, 맛이 없는 날도 있습니다. 맛이 있든 없든 불만을 토로하든 말든 그날 쉐프(당번)가 만든 요리를 왁자지껄 먹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짓는다는 말은 만든다는 말과 비슷하지만 아무 곳에나 쓰지 않는 것 같습니다. 집을 짓는다. 시를 짓는다. 약을 짓는다. ‘짓다’는 말은 ‘어떤 세계를 만든다.’는 뜻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함께 밥을 짓는 사람.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 식구. 밥을 짓고 함께 먹는 시간은 어쩌면 식구가 되어가는 왁자지껄한 의식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매일매일 함께 밥을 먹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쭉 희망제작소 주방에서 가족을 짓는 밥 냄새가 날 것입니다.

inin_3

각자의 요리 실력이 어느 정도 파악이 된 요즘은 점심식사에 희망제작소 연구원분들을 초대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분들께 식사비(3천 원)를 받아 그 돈은 노란봉투에 기부 할 예정입니다.

문화 넷, 뜨거운 대화를 나누다

일주일에 한 번은 퇴근 후 모임을 갖고 있습니다. 시니어사회공헌센터에서 진행하는 <퇴근후Let’s>와 수원시 평생학습관의 <누구나학교>를 합쳐 만든 모임이랄까요. 인턴들이 각자 관심 있는 주제로 발제를 맡고 토론을 진행합니다.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서로의 의견에 다른 시각을 제시해 봅니다. 지금까지 스터디를 통해 남녀 성 역할에 대해, 국제개발에 대해,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에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등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10여 명이 각자의 관심 분야를 듣고 서로의 견문을 넓히는 아주아주 뜨거운 시간이었지요. 더 나은 생각을 만들어 가는 건 뜨거운 과정이라는 것을 배우고 있는 요즘입니다.

inin_2

사실 위의 문화들이 저희가 새롭게 만들어 낸 것은 아니라는 걸 이쯤 되면 눈치채셨을 겁니다. 혹시 실망하셨나요? ^^ 다만 32기 인턴 각자의 개성이 담겨 남들과 겉은 같을지라도 속은 다른 문화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죠. 실현의 과정과 고민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아마 그 고민은 인턴 생활이 끝나도 계속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끝나지 않는 고민과 변화, 그 또한 32기 인턴들만의 문화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어느새 인턴 생활이 3개월이 조금 안 되게 남았습니다. 3개월 후, 32기 인턴들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을지, 지켜봐 주세요!

글_ 이동호 (32기 뿌리센터 인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