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턱 없는 마을학교 ‘커뮤니티 컬리지’

 [##_1L|1079668209.jpg|width=”1″ height=”1″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2011년 9월 문을 연 수원시 평생학습관은 희망제작소가 위탁 운영하는 공공교육기관입니다. ‘서로 배우며 함께 성장하는 정다운 우리 학교’를 지향하는 수원시 평생학습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여러분께 그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해외평생학습동향 ⑪  문턱 없는 마을학교 ‘커뮤니티 컬리지’

수원시 평생학습관에서는 전 세계 다양한 평생학습 관련 동향과 사례, 단체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생적으로 움직이는 대안교육운동부터 각 나라의 평생학습 정책을 대표하는 단체와 프로그램까지. 정해진 틀은 없다. 각 나라의 다양한 사례를 접하면서 우리의 평생학습 체계와 내용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생각을 기대할 뿐이다.
이번 호부터는 유럽을 넘어 아메리카 대륙, 미국으로 가보자. 미국은 경제, 사회, 복지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나라 정책입안자들의 롤모델 역할을 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다. 입학사정관제 같은 대학제도부터 대안교육까지 교육부분에서도 미국의 많은 사례와 제도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녹아들고 있다.

‘와’에서는 미국의 다양한 교육제도 중 ‘커뮤니티 컬리지’를 직접 경험하고 활용한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글쓴이는 미국 유학생으로 커뮤니티 컬리지를 통해 필요하고 원하는 다양한 교육을 접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다음 단계로 진입할 수 있었다고 한다. 글쓴이와 글쓴이 주변 친구들의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누구에게나 또 한번의 기회를 주는 평생학습의 핵심,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커뮤니티 컬리지는 찌질이들의 학교?!

“커뮤니티 컬리지란 무엇인가? 아마 여러분은 이에 대해 많은 얘기들을 들어왔을 겁니다. 루저 컬리지? 구제가 필요한 10대들의 학교? 아니면 고등학교를 중퇴한 20대들이 다니는 학교? 중년의 이혼녀들의 학교? 혹은 생각은 열정적이지만, 영원의 배수구만을 맴맴 돌고 있는 노인들의 학교? 아마 이런 것들이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해 들어온 것들이겠죠?”
– 미국 NBC 드라마 ‘Community’ 중에서

콜로라도의 작은 타운에 있는 커뮤니티 컬리지를 배경으로 하는 NBC의 드라마 ‘커뮤니티’의 첫 시작이다.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한 미국인들의 일반적인 인상은, 좀 과장을많이 보태, ‘찌질이들의 학교’ 일런지 모른다. 그러나 루저, 고등학교 중퇴자, 이혼 후 안정적인 직업이 필요한 중년 여성, 그리고 노인들의 학교. 이들의 공통점을 생각해본다면, 커뮤니티 컬리지가 미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모두 ‘한 번의 기회’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어떤 ‘궤도’를 이탈한 사람들, 다시 그 ‘궤도’로 진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곳, 그곳이 바로 커뮤니티 컬리지이다.

[##_Gallery|1039601005.jpg||1401217284.jpg||width=”400″ height=”300″_##]


나는 2011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미국 북서부에 있는 오레곤 주의 그레셤이라는 작은 동네에 있는 마운틴후드 커뮤니티 컬리지(이하 MHCC)에서 공부하고, 올 9월 자연의학 대학원의 입학을 기다리고 있다. 더 이상 늦어지면 아예 시작도 못할 것 같아, 오랫동안 꿈 꾸기만 한 자연의학 공부를 위해 한국을 떠나 MHCC에서 의학대학원을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일반생물학, 일반화학, 유기화학 등의 선수과목들을 이수했다¹. 그리고 그 1년 반 동안 학교에서 ‘커뮤니티’라는 드라마에서 볼 수 있었던 루저, 고등학교 중퇴자, 중년의 이혼 여성, 노인들을 만나서 그들과 함께 숙제를 붙잡고 씨름하고, 중간고사 후 서로 답을 맞춰보기도 하며, 그렇게 같이 학생의 희로애락을 함께 나누었다.

  1. 의대, 약대, 법대 등은 한국과 다르게 전문대학원으로만 존재한다. 학부를 졸업해야만 갈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의대, 법대 등을 가고자 하는 사람들은 학부에서 필요한 선수과목-의대인 경우, 일반생물학, 일반화학, 유기화학, 수학, 물리학, 심리학 등-과 학사를 받기 위해 필요한 학점을 이수한다. 나는 이미 대학을 졸업하였으나 대학에서 한번도 자연과학 과목들을 공부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필요한 선수과목들을 수강하였다.

커뮤니티 컬리지는 뭘까? 우리말로 커뮤니티 컬리지는 어떻게 번역이 되어야 할까? 한국의 포털사이트에서 ‘커뮤니티 컬리지’를 검색해보면, “커뮤니티 컬리지가 뭐죠?” 라는 질문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커뮤니티 컬리지는 2년제 대학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우리 식으로 하면 전문대’라고 소개되기도 하고, 혹은 4년제 대학으로의 편입을 위한 중간교육기관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렇게 이해한다면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해 많은 것들을 놓치게 될 것이다. 또 ‘도대체 노인들이나 중년 여성들은 왜 다니는 걸까?’라는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한 개념이 우리의 인식체계에 접속이 안될 정도로 낯선 이유는 한국의 교육제도에 있는 어떤 학습 기관과도 1:1로 맞아 떨어지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1년 반동안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공부하면서 나는 커뮤니티 컬리지는 내가 생각했던 그 이상임을 알게 되었다. 커뮤니티 컬리지는 2년제 대학이자, 4년제 대학으로 편입하기 위한 중간교육기관이며, 직업 학교이며, 제도 교육으로의 복귀 시스템이며, 지역에 기반을 둔 평생학습기관이며, ‘무엇이든 가르치는’ 학교였다.

[##_1C|1330533699.jpg|width=”680″ height=”171″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커뮤니티 컬리지 개념 좀…” 이란 질문에 대한 답글. “그럼 평생교육원이야?” 빙고!


누구나, 언제든지, 마음만 먹는다면  

생각해보라, 한국에서 대학에 가는 일이 얼마나 길고(그 악몽 같았던 고 3 시절을 생각해 보라), 복잡하며(교과과정이 다르면 시험 봐야 할 과목도 다르다며?) 그리고 얼마나 고통스러운지.(난 아직도 육체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능을 다시 보는 꿈을 꾼다.) 사실 한국에서 수능을 다시 보고 대학을 다시 들어갈까 생각하지 않은 것도 아니다. 하지만 입시학원을 또 다닐 생각을 하니 몸서리가 쳐졌고, 원서를 쓰기 위해 다시 고등학교를 찾아가 코흘리개 시절 좋아했던 선생님을 만나야 하는 것도 겸연쩍고 민망한 일이었다. 무엇보다 몇 년이 걸릴지 알 수 없는 ‘대학입시준비생’이라는 그 기간을 견뎌낼 수 있을지 정말 자신이 없었다. 남의 나라 말로 한번도 접해보지 않은 과목들을 공부하는 것도 역시 두려운 일이었지만, 열심히만 한다면 커뮤니티 컬리지에서는 1년 반 안에 필요한 과목들을 이수할 수 있었다. 내가 가고 싶은 대학원과 가까이 있는 커뮤니티 컬리지들을 고르고, 담당자와 여러 차례 메일을 주고 받은 끝에 학교(MHCC)를 선택했고 입학 준비를 했다.

외국학생이기 때문에 공인영어성적과 재정증명, 그리고 국적에 상관없이 다 제출해야 하는 예방접종증명 등, 몇 가지 증명서류를 준비해 보내고 입학 허가를 받았다. 입학 허가를 받았다고 바로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수학능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체크하는 평가시험(College Placement Test, 이하 CPT)을 보고 그에 따라 수강이 가능한 과목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CPT는 영어와 수학 두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고등학교 졸업에 해당되는 교육을 받았으면 풀 수 있으리라 기대되는 문제들이 출제된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CPT에는 정해진 마감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문제를 풀다가 휴식이 필요하면 시험을 중단하고 다음에 이어 볼 수도 있고, 결과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한 번 시험을 볼 기회를 얻을 수도 있다. 시험 결과에 따라 들어야 할 영어 작문, 수학 수업의 레벨이 정해진다². 시험 성적을 받으면 어드바이저를 만나 전공 선택과 그 전공을 위해 필요한 과목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번 학기 어떤 과목을 들어야 하는지 등의 내용으로 상담을 하고 수강 신청을 하게 된다. 그리고 남은 일은, 개강날 잊지 않고 수업에 들어가는 일!

  2. 전공에 따라 이수해야 할 과목의 수준이 다르긴 하지만 영어 작문과 수학은 학사학위를 받기 위해 반드시 들어야 하는 과목이다.

이처럼 커뮤니티 컬리지는 진입 장벽 자체가 낮다. 시험의 결과는 합격/불합격이 아니라 그 결과에 따라 공부해야 할 내용이 정해지므로 자신이 이해하는 수준에서부터 시작해서 찬찬히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된다.

커뮤니티 컬리지에 입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자격은 고등학교 졸업장이다.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다면, 커뮤니티 컬리지에서 ABE(Adult Basic Education) 또는 GED(General Educational Development) 과정을 통해 읽기, 쓰기, 수학, 과학, 사회 과목들을 배우고, 고등학교 졸업자격 시험에 해당하는 GED 시험을 볼 수 있다. 읽기, 쓰기와 수학은 경제생활을 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기술 중의 하나이며, 고등학교 학위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조금 더 나은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당연지사이다. 히스패닉 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영어뿐만 아니라 스페인어로도 수업이 제공된다. 과정 이수 없이도 GED 시험을 볼 수 있으니,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라도 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열차에 올라탈 수 있는 것이다.

[##_1C|1192728040.jpg|width=”400″ height=”400″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 내 친구 호게르의 GED 증명서. 멕시코 이민자인 호게르는 어릴 때 사고를 좀 많이 치는 바람에 고등학교를 졸업 못했는데, 스물 다섯 살 때 ‘맘 잡고’ 다시 학교로 돌아왔다. 공부를 워낙 안해서 곱셈, 나눗셈 마저 어려워 할 정도였는데 드디어, GED를 받았다!

여러 종류의 학생, 여러 종류의 공부

‘아무 것도 들리질 않는구나’라는 절망 속에 첫 날 수업을 마치고서 짐을 챙기며 옆에 있던 애한테 말을 걸었다. 그녀의 이름은 멜리사. 나이는 스물 세 살. 나의 첫 친구가 되어 준 그녀는 나에게 커뮤니티 컬리지가 내가 생각했던 것 이상임을 보여주었다.

그녀와 함께 학교 여기저기를 다니면 카페테리아에서 샌드위치를 만들던 아저씨도, 캐셔 언니도, 화장실을 청소하던 아줌마도 그녀를 알아보고 반갑게 인사를 한다. “넌 어떻게 학교 사람들을 다 아니?” 란 질문에 그녀는 웃으며 “내가 학교를 오래~ 다녔잖아.” 했다. 어쨌든 커뮤니티 컬리지는 ‘거쳐가는’ 학교이다. 빨리 마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사람들은 커뮤니티 컬리지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그러나 그녀는 4년째 커뮤니티 컬리지에 다니고 있다. 그렇다고 그녀가 게으름만 부리며 돈만 낭비하고 있는 건 아니다. 그녀는 자기가 공부하고 싶은 것들을 정말 하나하나씩 다 찾아 배우고 있는 중이었다. 음악을 좋아하는 그녀는 음악 교육으로 Associate Degree를 받았고, 간호사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간호학교를 가기 위해 관련 과목을 듣다가, 간호사 대신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은 검시관이 되는 거라고 깨닫고 해부학, 생물학 등을 수강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틈틈히 관심가는 분야의 수업들을 하나둘씩 찾아 듣는 그녀를 보며 난 ‘공부’라는 것은 이런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무엇이 되기 위한 공부가 아니라 재미있어서 하는 공부, 궁금한 것들을 하나씩 채워가는 공부, 공부가 그냥 삶 자체인 공부. 무엇보다 이런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커뮤니티 컬리지가 새롭게 보이기 시작했다.

학교 벤치에 앉아 친구를 기다리다 이야기를 나누게 된 어떤 아줌마는 지금 특수학교 교사가 되기 위한 과정에 있다. 그녀의 이야기는 이렇다. 아기를 낳았는데 그 아기가 농아란다. 아기와 대화를 하기 위해 커뮤니티 컬리지에 수화 과정을 등록하고 배우기 시작했다. 배우다 보니 재미도 있고, 또 아이와만 소통할 게 아니라 자기 아이와 같은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공부를 시작했다는 것이다.

어느 날엔 버스에서 내 옆 자리에 앉아 말을 거는 할아버지도 있었다. 그동안 도서관이랑 버스 안에서 나를 몇 번 봤다며, 무슨 과목을 듣는지, 뭘 하고 싶은지 등의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몇 년 전에 은퇴했다는 이 할아버지는 지금 영어 작문과 수학 수업을 듣는단다. 이유를 묻는 내 질문에 할아버지는 “재미로(for fun)!”라고 대답했다. 재미로 작문 수업을 듣고, 수학 수업을 들을 수 있구나, 그렇구나. 학교 생활에 조금 여유가 생겨 구석구석을 돌아보니 머리 하얀 할머니, 할아버지들을 꽤 자주 볼 수 있었다. 수학 가정교사를 고용해 수학공부를 하던 할머니, 할리 데이비슨을 타고 학교에 다니던 헐크 호간을 닮은 할아버지도 도서관에서 수학책을 잡고 씨름을 하고 있었고, 그리고 내가 듣던 삼각함수 시간에도 나이가 지긋한 아저씨가 하나 있었다. 나와 일반화학부터 그 어려운 유기화학까지 같이 들었던 친구 하나는, 화학이 그저 너무 재밌었어 듣고 있노라고 했다. 공부를 하는 이유도 동기도 각각 다르겠지만, 그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이 사는 곳 가까이 있다는 게 나는 너무나 부러웠다.

[##_1C|1152642350.jpg|width=”450″ height=”333″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 할리 데이비스를 타고 다니는 아저씨들. 프로 레슬러 헐크 호간을 닮아서 내가 그렇게 이름 붙여줬는데, 덩치에 안맞게 막대 사탕을 쪽쪽 빨며 열공중이시다.

내 친구 대니얼의 이야기도 해야겠다. 도대체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 대학에는 왜 가야하는지, 삶에서 이루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알지 못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는 이런 저런 단순 노동을 하다 월마트에서 카트를 정리하는 일을 시작했다. 뜨거운 뙤약볕의 주차장에서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카트를 모으다가 이렇게 사는 걸 기대했던 건 아니라는 게 확실해진 그는, 그날 점심을 먹으러 나온 후 복귀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좀 더 큰 도시로 떠났고 약사보조(Pharmacy Technician) 자격증을 취득해 일을 시작했다. 그러면서 그는 약사가 되고 싶다는 마음을 먹고, 스물세 살에 다시 학교로 돌아왔다. 그는 약사가 되기 위한 트랙을 차근차근히 밟고 있다.

글_ 김이혜연 (전 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 연구원, National College of Natural Medicine 재학 중)

* 해외평생학습동향 연재 목록
1) 영국에 부는 대안교육의 바람
2) 영국의 평생학습 생태계, 그 비밀을 캐다
3) 누구나 배우며, 누구나 가르치는 대학
4) 개인적 학습을 넘어 사회적 학습으로
5) 시민참여교육, 투 트랙(Two Track)이 필요하다
6) 여유만만 독일 시민들은 공부 중
7) 함께하는 정치교육, 국가는 거들 뿐
8) 독일의 교육안전망 ‘시민대학’
9) 닮은 듯 다른 평생학습지원제도
10) 함께 살며 서로 배우는 독일 시민들
11) 문턱 없는 마을학교 ‘커뮤니티 컬리지’

* 수원시 평생학습관 홈페이지 바로가기
* 수원시 평생학습관 블로그 바로가기



Comments

“문턱 없는 마을학교 ‘커뮤니티 컬리지’”에 대한 2개의 응답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