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사회혁신 프로젝트 ‘OO실험실’ 참가자 부모님께 질문을 드렸습니다. “입시 과열 한국사회에서 자녀가 입시가 아닌 다른 활동에 참여하는 게 불안하지 않으세요?” 부산에서 서울을 오가는 딸이 걱정되어 상경길을 항상 동행하시는 아림(별칭)의 어머니와 ‘저희 아버지는 흔쾌히 답해 주실 거예요.’ 말하던 하늘(별칭)의 아버지. 두 분께서 답을 주셨습니다.
내 아이를 믿고 따라가 주세요
아림이가 처음 ‘oo실험실’에 참여하겠다고 했을 때가 생각납니다. 희망제작소가 어떤 곳인지, 내 딸이 하고 싶어하는 게 무슨 활동인지 궁금했습니다. 걱정이 되기도 했습니다. 부산과 서울의 거리도 그렇고, 먼 곳에서 어린 딸이 혼자 있을 생각을 하니 그럴 수밖에 없었죠. 하지만 아이가 원했고, 새로운 경험이 될 것 같단 생각에 참여해도 좋다고 허락했습니다.
아이들이 입시경쟁에 시달리며 자리에 앉아 저 너머에 있는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기에 급급한 지금의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저는 아이가 이런 활동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사람이 되길 기대하고 바라고 믿습니다. 아직 눈에 띄는 변화는 없지만, 대화를 할 때 가끔씩 깜짝 놀라곤 합니다. 이전보다 훨씬 깊은 생각을 하게 되었더라고요. 조금씩 긍정적으로 변하는 아이의 모습을 볼 때마다 이런 배경에는 공부가 아닌 다양한 활동이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성장하는 아이를 보며 가장 마음이 쓰이는 부분은, 일단 아이가 스스로 잘하고 있는지, 지금 나아가는 방향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것들입니다. 솔직히 지금은 아이의 위치가 어디쯤인지, 잘 가고 있는지 몰라 불안한 마음도 있지만, ‘삶은 속도보다 방향’이라는 생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찬찬히 지켜보고 싶습니다.
아이의 입시에 불안해 하는 다른 부모님들께 이런 활동을 쉽게 권할 수는 없을 겁니다. 저도 그런 부모 중 하나고요. 하지만 아이를 가진 같은 부모로서 드리고 싶은 말이 하나 있습니다. 내 아이를 믿고 따라가 달라는 것입니다.
글_ 김경애(아림의 어머니)
기성세대로서 청소년에게 참 미안합니다
요즘 ‘헬조선’이라는 신조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말을 들으면 우리 아이들은 과연 스스로의 미래를 어떻게 생각할지, 사회라는 거대한 벽 앞에서 두려운 마음으로 지레 꿈을 포기하지 않을지 걱정이 되곤 합니다. 헬조선에 일말의 책임과 부채 의식을 갖고 있는 기성세대로서 청소년에게 참 미안하기도 합니다.
지금 이 사회의 질서와 규칙들은 이미 오랫동안 잘못 길들여져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회가 발전하고 있다고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과거로 퇴보하는 것 같습니다. 그 원인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만, 이제부터라도 바꾸고 개선해야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
‘OO실험실’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기성세대 누구라도 참여해봐야 할 프로그램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이 스스로 이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고민하면서 그 대안을 찾아 나서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희망 없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요.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감사해야 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구독 중인 시사잡지에서 ‘OO실험실’광고를 발견하고 참여해보겠냐는 엄마의 제안에 아이가 흔쾌히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굉장히 반가웠습니다.
서정주 시인은 ‘나를 키운 건 8할이 바람이었다’고 하지만, 아이들은 ‘내면의 힘’으로 스스로 조금씩 커 가는 것 같습니다. 늘 제자리에 있는 것 같은데 어느 순간 달라져 있지요.
우리 아이는 지난해 성북구청의 ‘꿈다락’(영상 관련 프로그램)이나 ‘1일 모의법정’과 같은 학교 밖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관심을 가진 또래와 선배들을 만나며 많은 자극을 받은 듯 했습니다. ‘내면의 힘’이 작동하는 것이겠지요? 그래서인지 요즘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에 대해서도 중심을 잘 잡아나가는 것 같습니다. 사회에 도움이 되고 올바르면서도 좋은 일을(특히 ‘멋있게’) 하고 싶어 합니다.
아이가 SNS에 ‘OO실험실’관련 포스팅을 통해 그 내용을 친구들과 공유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아이뿐만 아니라 많은 아이들이 이런 프로그램에 관심이 많겠구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저와 ‘꿈’ 얘기를 나눌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좋습니다. 아이가 그 꿈에 더 가까워지길 기대합니다. 저는 제 아이가 하는 선택이 타인이 아닌 스스로의 결정에 의한 것이기를 바랍니다. 무던히 고민하고 노력했다면, 생각한 대로 되지 않더라도 실망하지 않고 다른 길을 찾아갈 수 있을 거라 믿기 때문입니다.
저희도 다른 부모와 같이 입시 문제에 초연해지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OO실험실’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스펙쌓기가 아닌) 미래와 희망을 스스로 찾아갈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런 것들이 조금씩 쌓여나간다면 아이들의 힘도 조금씩 커질 것입니다. 그때가 되면 부모들도 입시에 대해 한결 마음을 놓을 수 있지 않을까요?
글_ 허병철 (하늘의 아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