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온라인이 만든 거대한 책 교환시장

Tauschticket (티켓 교환) 은 회원들이 등록한 백만 권이 넘는 책들(2009년 9월 기준)을 교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이다.  ☞ 영문소개

Tauschticket은 회원제 서비스이며, 책의 교환은 신뢰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회원들은 ‘북티켓’이라고 불리는 가상의 티켓을 이용해 책을 교환한다. 북티켓은 자신의 책을 기부함으로써 받을 수 있다.
 
만약 어떤 회원이 다른 회원이 등록한 책에 관심이 있을 경우 북티켓 서비스를 통해 책을 등록한 회원에게 이 사실을 전한다. 그럼 책을 소유한 회원은 북티켓을 받고 자신의 책을 우편으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교환이 이루어진다 (독일에서는 책을 배송할 경우 배송료가 저렴하고 배송 후 3~5일 사이에 받아볼 수 있다).

”사용자우리가 구입한 책들은 통상 한 번 읽혀진 후 책장 안에 고이 보관되곤 한다. 그렇다고 선물하기도 애매한 이 책들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런 고민을 하던 다섯 명의 사람들이 책 교환이라는 아이디어를 냈다.
 
처음에는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만들었던 서비스가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어 전국적인 서비스로 발전했다. 이 서비스의 웹사이트는 인터넷 구직 서비스를 개발하기도 한 전문 미디어 에이전시에 의해 개발되었다.

2002년 처음 시작한 북티켓 서비스는 독일에서 유일한 책 교환 서비스이다. 다른 물품 교환 서비스들이 존재하지만 책을 교환하고 포럼이나 사회적 플랫폼을 갖춘 서비스는 북티켓이 처음이다.
 
이 서비스는 사용하기 쉽고 유지관리가 쉽도록 설계되었다. 서비스를 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사용자를 모으기 위해 가상의 사용자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까지 했단다. 하지만 서비스를 시작하자 그럴 필요가 전혀 없게 되었다.
 
2005년까지 회원 수는 18,000명으로 늘어났고 2008년에는 11만 명을 넘었다. 회원수는 마케팅이나 광고 없이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교환 품목도 책에서 DVD, 게임, 음반 등으로 늘어났다. 북티켓은 비상업적인 목적으로 운영되는 서비스이다.

★ 지속가능 요소

?사회적 요소
통계적으로 사람들은 책 한권을 다 읽은 후, 또 다른 책을 사거나 빌리는 경향이 있다. 북티켓은 사람들로 하여금 책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해서 독서를 장려하는 셈이다. 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지식을 공유하는 것 외에도 책을 교환하면서 사용자 간에 형성되는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인터넷이라는 기술이 없었더라면 이런 서비스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또 채팅이나 커뮤니티 같은 기능을 활용하지 않았더라면 북티켓이 이렇게 빨리 성장하기 어려웠을지도 모른다. 이런 이유에서 북티켓은 정보기술이 지속가능한 아이디어를 전파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환경적 요소
책 한 권 당 이용빈도가 높아지면 책의 생산에 들어가는 에너지와 자원의 소비가 줄어든다. 또한 북티켓은 자원의 소유가치 대신 이용가치를 전파한다.

?경제적 요소
 새 책을 구입할 필요가 줄어들어서 소비자는 돈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내용은 School of Desig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Cologne, Germany 에서 쓴 글을 번역했습니다.)

번역_ 백준상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 박사과정)   ☞ 소개글

☞  <창의적 커뮤니티> 보고서 원문보기

● 연재순서

1. 밀라노 공대 에지오 만지니 교수의 서문
2. 노인을 위한 행복한 공동 주거 (네덜란드)
3. 스스로 짓는 친환경 집(영국)
4. 건강한 먹거리로 지역을 연결하는 로컬푸드 밴 (영국)
5. 유기농을 지원합니다, 케레스의 정원 (프랑스)
6. 자전거가 되살아나는 자전거 벼룩시장 (핀란드)
7. 자동차 공유로 돈도 절약하고 환경도 지키고
8. 재활용과 고용을 한 번에! (핀란드)
9. 책은 교환하라고 있는 겁니다 (독일)
10. 노인에 의한, 노인을 위한 자조 공동체 (에스토니아)
11. 학교는 예술가가 필요해! (네덜란드)
12. 결론: 한국판 창의적 커뮤니티 나와라!

담당 _  회원재정팀 이성은 연구원 (leeagle@makehope.org)

※ 독자들과 논의하고 싶은 사항입니다.

▶ 이 서비스는 소비자에겐 이득이지만 저자와 출판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결과를 가져다 줄까요? (실제로 Bookcrossing이라는 유사한 서비스는 이런 논리로 출판업계의 우려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독서는 더 많은 독서를 유도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책 소비를 가져올지 아니면 사람들이 책을 사지 않아 소비가 줄어들지 궁금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