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우리 모두 ‘태어나고 자란 장소’의 영향을 받은 ‘어디 사람’입니다. 이 말은 나 또한 우리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이방인’이자 ‘소수자’가 된다는 의미죠. ‘소수자’를 떠올리기 어렵다면 나의 경험을 비춰보면 됩니다.

내가 아이였을 때, 인턴이었을 때 겪은 경험, 혹은 여자라서 겪은 경험, 해외에서 의사소통하는 데 불편함을 느꼈던 일을 떠올리는 거죠. 우린 누구나 하나쯤 이러한 경험을 갖고 있기 마련입니다.

내가 서 있는 곳이 다르면 풍경도 달라집니다. 노래 ‘여수 밤바다’를 즐겨 부르고, “머선 일이고!”라는 사투리를 즐겨 쓰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출신 지역으로 ‘우리’와 ‘그들’을 구분합니다.

“너네 동네엔 이런 거 있어?”
“왜 노래 부를 땐 사투리 안 써?”
“(거기는) 지하철 없이 어떻게 살아?”
“OO지역 사람은 못 믿겠더라.”
“명절에 ‘시골’ 잘 다녀와!”

희망제작소 지역차별언어 바꾸기 프로젝트 ‘어디 사람’은 지역의 차이가 차별이 되지 않도록, 지역차별의 말을 모아, 시민들과 함께 더 나은 말을 찾는 프로젝트입니다.

🔶 내가 살아온 곳을 떠난 ‘서울’행…‘이주민’의 경험을 하다 🟢

포천에서 자라 서울로 온 20대 청년 이혜란 씨. 그는 학교에서 서울에서 삶을 꾸리는 게 ‘답’이라고 배웠다. 하지만 혜란 씨가 겪은 서울살이는 원하는 답을 찾기 어려운 곳이다.

어릴 적부터 지역에서 살아온 만큼 지역살이를 꿈꾸지만, 행여 실패한 것처럼 보일까봐 불안정한 삶을 부유하며 서울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 혜란 씨의 서울살이에는 청년, 일자리, 언어 등 다양한 차별의 경험이 묻어있다. 그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이혜란 씨

Q. 어디서 나고 자랐는지 소개를 해달라.

경기도 포천에서 20년 동안 살았고, 대학에 입학하면서 현재 서울에서 9년 째 살고 있다. 마포구에 살고 있는데, 이 지역에 사는 것도 서울에 산다는 감각 때문에 선택한 것 같다. ‘서울에 왔는데, 홍대에 살아야지.’ 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Q. 지역차별언어에 어떻게 관심을 갖고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는가.

시골에서 나고 자랐다는 데 콤플렉스가 있었던 것 같다. 서울에 살면서도 늘 이질감이 들었던 것 같기도 하고. ‘내가 왜 서울에서 살고 싶어했고, 아등바등 서울에서 살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때 깨닫고 ‘지역성’ 키워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서울에서의 삶을 잘 적응하지 못한 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또 서울에서 사는 걸 당연하다고 여겼다.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는 건 주체성이 결여된 선택이라고 느꼈던 것 같다. 덕분에 ‘내가 왜 이 도시에 남아있는지, 가길 꺼려하는 지역은 어딘지’를 다시 짚어보게 됐다. ‘내가 지금 있는 곳은 어디이고, 부담스러워하는 지역은 어디지?’ 이런 생각을 했다.

지역은 서울과 동등하게 다가오지 않았다. 스스로도 ‘여기는 좀 더 나은 도시, 내가 가기에 어려운 도시’ 등으로 지역을 구분 짓고 있는 것 같았다. 이런 고민을 같이 나누고 싶었다.

Q. 9년 간 서울에서 살았다. 서울 생활은 어땠나.

서울에서는 항상 이주민의 마음이다. 서울에서 나고 자란 친구에게 물어본 적이 있다. “서울 사는 거 어때? 평생 서울에 집이 있는 느낌은 어때?”라고 물으니 그 친구는 “별 생각 없어.”라고 하더라. 도시에서 나고 자란 사람과 지역에서 서울로 이주한 사람이 느끼는 감각은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걸 느꼈다.

처음 서울에 왔을 때 당연히 이 곳에 살 것이란 확신이 있었는데, 지금은 먹고사는 문제에 대한 고민이 생긴다. 치솟는 집값과 1인가구로서 서울 물가를 감당하며 살 수 있을지, 고용 불안으로 서울살이를 포기할 것 같다. 아직은 이 곳(서울)에 살고 있지만 나이를 먹으면, 내 속도대로 살면서 다른 지역으로 찾아 나가야겠다는 확신이 점점 생긴다.

Q. 지역차별언어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내가 누군가에게 단순히 “어디 사람이야?”, “서울사람 아니지?”라고 묻는 것부터 나도 모르게 서울 사람과 타 지역사람을 구분을 지었던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지방에 내려간다”나 “서울에 올라간다”라는 말을 자주 한다. 포천은 위도상 서울보다 위쪽에 위치해 있는데도 “서울에 올라갈게”라고 일상적으로 말했다. 반대로 “포천 내려가?”라고 말하기도 했다.

포천에서 강변까지 고속도로로 가면 40분 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렇게 가까운 거리인데도 문화적·경제적 혜택을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포천은) 시골 아니지 않아?”라고 말한다. 지역적으로 (서울과) 근접하다는 이유만으로 혜택을 받았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또 다른 의미의 편견이나 차별이 될 수 있다고 본다.

Q. 지역차별 관련해 주변에서 이야기해본 적이 있는가.

본격적으로 이야기해본 적은 없지만 지나가듯 말한 적은 있는 것 같다. “OO 에 살면 어떨 것 같아?”라고 물었는데 친구들은 “아직 용기가 없어.”라고 말한다. 혹은 이미 지역으로 간 친구들을 대단하다고 여긴다. 용기가 없다는 건 도시와 지방의 차이를 인정한 게 아닐까. 아직은 나도 지역에 갈 용기가 없는 것 같다.

Q. 지역차별언어를 해소하는 아이디어가 있다면.

지역을 도피처로서 생각하거나, 실패하는 사람이 가는 곳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언젠가 지역을 삶의 선택지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을까. 서울에서 직장을 잡고 사는 게 객관식 답이었다면, 주관식 답으로 지역이 선택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더 많이 전해지면 좋겠다.

내가 서울을 선택한 이유는 자기 주체성을 가진 사람이 서울에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과 같이 있고 싶어서. 편견으로 보일 수 있다. 어디에 살지를 주체적으로 판단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용감하다고 생각한다. 그 곳이 서울이든 지역이든.

– 인터뷰 진행 및 정리: 유다인 이음팀 연구원 yoodain@makehope.org

#

관련글

지역차별언어바꾸기 프로젝트-어디 사람

지역차별언어 바꾸기 프로젝트- 어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