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도심 한복판에 섰다. 그것도 8차선 세종대로에. 인파에 떠밀렸다. ‘천만 도시 서울’이 실감났다. 출퇴근할 때마다 ‘지옥철’에서 타인과 몸을 부대끼는 것과는 뭔가 다른 느낌이었다. 광장은 발 디딜 틈 없을 정도로 꽉 차 있었지만, 사람들은 서두르지 않았다. ‘국정 농단 사태’라는 상식을 뛰어넘는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더 없이 평온하게 도로 한복판을 걸어갔다. 걸어가야 할 곳은 이미 정해져 있었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dabansa_1st_20170209

도심 한복판에 섰다. 그것도 8차선 세종대로에. 인파에 떠밀렸다. ‘천만 도시 서울’이 실감났다. 출퇴근할 때마다 ‘지옥철’에서 타인과 몸을 부대끼는 것과는 뭔가 다른 느낌이었다. 광장은 발 디딜 틈 없을 정도로 꽉 차 있었지만, 사람들은 서두르지 않았다. ‘국정 농단 사태’라는 상식을 뛰어넘는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더 없이 평온하게 도로 한복판을 걸어갔다. 걸어가야 할 곳은 이미 정해져 있었다.

춥고, 피곤해도 ‘그 곳’을 향한 이유

지난해 10월 29일 1차 촛불 집회 이후 거의 매주 참여했다. 2호선을 타고 시청역으로 갔다. 지하철에서 두툼한 패딩으로 완전 무장한 사람들을 마주칠 때면 ‘저 분도 집회에 가나’하고 추측했다. 때론 혼자, 때론 친구와 함께 움직였다. 널찍한 광장의 한 자리를 채우기 위해 갔다. ‘국정 농단 사태’를 둘러싸고 하루가 멀다 하고 ‘단독’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나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갔다.
추웠다. 몸을 움직여도 춥고, 손난로도 금방 식었다. 집회 참여 횟수가 늘어날수록 ‘내가 지금 주6일 근무를 하고 있나’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럼에도 광장을 자꾸만 찾은 이유는 사람 때문이었다. 내가 걸어가는 ‘그 곳’에 같이 걸어가는 사람들을 보면 마냥 신기했다. 시국에 대한 답답함이 광장으로 향하게 했을 테지만,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함께 한다는 데서 ‘느슨한 유대감’을 경험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평범하지 않은 발걸음

집으로 돌아가는 길, 지하철에는 사람들로 붐볐다. 집회에 참여한 한 가족이 두런두런 얘기하는 소리가 들렸다. 남매는 “(정유라 씨) 자퇴서를 받아줘야 하는 건가”, “아니지, 입학을 취소 시켜야지”라며 대화를 나눴다. 그리고 잠자코 얘기를 듣던 아버지가 한 마디 툭 던졌다. “다음 주에도 광화문 광장에 나가야 되면, 이거 노인 학대 아니냐”라고 말해 나를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웃음보가 터졌다.
집회 이후 출퇴근할 때마다 ‘지옥철’로만 여긴 2호선의 풍경이 다르게 보였다. 1984년 43개역 48.8㎞를 순환하는 을지로 순환선이 개통됐다. 1987년 6월 민주화 항쟁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을 당시 지하철을 타고 다녔을 시민의 얼굴을 떠올려본다. 그 때 그 사람들은 무슨 이야기를 나눴을까.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운 시대를 향한 한탄만 내뱉었을까. 직접 그 이야기를 들어본 적은 없지만 나는 확실히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

– 글 : 방연주 | 미디어홍보팀 선임연구원 · yj@makehop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