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그렇고 그런 사이

어느 날 출근길, 자하문터널을 지나 신영동 쪽으로 향하는 길에 있는 ‘소림사’(진짜 절 이름이다) 앞 만개한 벚나무가 시야에 환하게 들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별 기미가 없었는데 어느새 저렇게 활짝 피었다. ‘어? 저 벚꽃!’하는 순간 작년이 떠올랐다. 처음 출근하던 날, 공연히 몇 정거장 먼저 내렸다. 그리고 이 벚나무를 찍어 SNS에 올렸다. 벌써 1년이 지났다. 당시 그 사진에 누군가 ‘여기가 어디야? 서울이야?’라고 물었던가.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dabansa_20170420_01

어느 날 출근길, 자하문터널을 지나 신영동 쪽으로 향하는 길에 있는 ‘소림사’(진짜 절 이름이다) 앞 만개한 벚나무가 시야에 환하게 들었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별 기미가 없었는데 어느새 저렇게 활짝 피었다. ‘어? 저 벚꽃!’하는 순간 작년이 떠올랐다. 처음 출근하던 날, 공연히 몇 정거장 먼저 내렸다. 그리고 이 벚나무를 찍어 SNS에 올렸다. 벌써 1년이 지났다. 당시 그 사진에 누군가 ‘여기가 어디야? 서울이야?’라고 물었던가.

관계는 사람을 흔들어?

평생 살아온 도시의 낯선 동네로 출근한 지난 1년은 자신을 곱씹느라 하루하루가 10대처럼 길게 느껴졌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은 과장 같은데, 자리를 통해 얻는 관계는 분명 사람을 흔드는 것 같다. 첫 출근 후 몇 달 동안은 매일 낯선 상황 위에서 흔들리다 보니 나의 흔들리지 않는 부분이 명확히 보였다. 뜻밖에 신념이나 태도 같은 것보다 느낌이었다. 한창 업무 메일을 쓰다 말고 어깻죽지로 떨어지는 햇볕이 간절해질 때, 출장 가는 기차 안에서 독서에 깊이 몰입할 때, 이전에는 대수롭지 않던 ‘좋음’에 관한 느낌이 돌연 위안이 되었다. 생활의 변화 속에서도 좋은 건 그대로 좋다는 것이 또 좋았다.

그래서 한동안은 이 느낌을 만든 기존 관계와 과거 경험을 곱씹으며, 그 안에서 자신을 일터와 분리해 지키려 했다. 원치 않는 모습으로 흔들릴 때 나 자신에게 기댈 수 있어야 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내가 한 고생을 동료에게 시시콜콜 말하고 싶다든가, 누군가의 칭찬과 격려에 지나치게 위안 받아 그것에 의존하는 사람이 되어버리면 어쩌나 싶어 불안감이 밀려왔다. 위로의 자급자족 시스템을 완성해서 계속 혼자 좋을 줄 알아야겠다고, 모처럼 예전에 듣던 노래를 들으며 생각했다.

아니, 관계는 나를 밝힌다

그로부터 또 몇 달이 지나 변함없이 근사한 벚나무 너머로 출근해서 보니, 어느새 나는 밥 먹으며 업무량에 대해 투덜거리거나, “오늘 옷 괜찮은데?”라는 말에 “원래 괜찮은 편인데” 같은 뻔뻔한 대답을 웃음 섞어 주고받는 사람이 되어있다. 얼마 전에는 내가 어색하게 느꼈던 격려의 말을 자연스레 건네 놓고 속으로 당황하기도 했다. 혹시 나는 자신을 지키지 못한 걸까? 아니면 성장하고 변화한 걸까? 둘 다 아닌 것 같다. 다만 이 자리에서 이렇게 만난 사람들이 아니었다면 영원히 볼 일 없었을 나의 어떤 측면을 알게 된 것 같다.

그러니까, 관계는 나를 밝힌다. 새로운 내가 잘 보이지 않을 때는 흔들리는 것처럼 멀미가 나고 친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그 시간은 축적된 의미로 이렇게 돌아온다. 그렇게 무언가 이해하게 되면, 나는 아주 약간 새로워질 수 있다. 벚나무처럼 또 변함없는 것은 내가 맡은 사업인데, 올해는 카피를 새롭게 써 봤다. ‘우리 안에서 나를 재발견하는 세대공감프로젝트’라는 문장을 적어놓고 좀 더 고민하다가 ‘우리를 재발견하는’으로 시작하기로 했다.

– 글 : 백희원 | 시민사업팀 연구원 · baekheewon@makehop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