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입사 후, 동료들에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관심사’에 관한 것이다. “휴일에 뭐해요?”, “취미는?”, “재밌는 일 없어요?” 등 표현은 다르지만, 일 이외 또 다른 활동과 관심이 하나쯤 있다는 걸 전제한 물음에 얼마간 적절한 답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음을 고백한다. 대답을 주저한 건 무언가에 집중하는 내 모습이 선뜻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고, 질문의 취지가 ‘단순한 취미’와 ‘열정 쏟는 대상’ 그 중간 어디쯤 있는 것인지 정확히 알 길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상대는 답이 어떠하든 상관없는 가벼운 마음이었겠지만, 그와 무관하게 내 마음속엔 몇 초 동안 작은 소용돌이가 일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발송되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0170824_hc
“샘(‘선생님’의 줄임말)은 관심사가 뭐예요?”

입사 후, 동료들에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관심사’에 관한 것이다. “휴일에 뭐해요?”, “취미는?”, “재밌는 일 없어요?” 등 표현은 다르지만, 일 이외 또 다른 활동과 관심이 하나쯤 있다는 걸 전제한 물음에 얼마간 적절한 답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음을 고백한다.

대답을 주저한 건 무언가에 집중하는 내 모습이 선뜻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고, 질문의 취지가 ‘단순한 취미’와 ‘열정 쏟는 대상’ 그 중간 어디쯤 있는 것인지 정확히 알 길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상대는 답이 어떠하든 상관없는 가벼운 마음이었겠지만, 그와 무관하게 내 마음속엔 몇 초 동안 작은 소용돌이가 일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색다른 답이 나올지 모른다는) 기대감 반, (물었으니 듣기는 해야 한다는) 의무감 반으로 귀를 기울이는 상대에게 내놓는 답은 다름 아닌 ‘커피’. “요즘 커피 안 마시는 사람 어디 있냐”고 되물을 법하다. 하지만 같은 원두도 누가 어떤 방식으로 볶고, 몇 도에서 내리느냐에 따라 맛이 천차만별이듯 섭씨 95도의 물을 붓고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은 그 자체로 작은 드라마다.

취미나 관심사 ‘따위’?

커피를 내리기 시작한 건 1년 전이다. 8년째 다니던 회사를 그만둔 지 몇 개월쯤 지났을 때, 이른바 ‘백수’로 경제적 궁핍에 직면하던 즈음, 나를 위한 취미를 하나 갖고 싶다고 생각했다. 얼굴을 마주한 이와 허겁지겁 밥을 먹고 마치 의식을 치르듯 카페로 들어서던 이전 점심 풍경이 심히 마뜩잖았기에, 퇴사 후 다종다양한 원두를 직접 고르고 그보다 더 다양한 맛과 향을 음미하는 하루 30여 분은 온전히 내 것이었다. (경제적) 빈곤 속 (마음의) 풍요를 찾게 된 역설이랄까. 물론 ‘한 잔=천원’이란 원가 계산이 있었기에 감행한 일이기는 했다.

구구절절 늘어놓았지만, 조금만 시간을 거스르면 취미라고 할 만한 게 없었던 시절이 꽤 길다. 그것은 이전 직장을 다닌 시기와 엇비슷하다. 중고교 시절 수업 중 몰래 듣고 줄줄 꿰던 영화음악, 대학생 때 자주 찾던 연극 무대, 홈런을 때린 뒤 의기양양하게 베이스를 돌던 야구시합의 추억까지 그 모든 것이 일에 밀려나 자취를 감추는 데 1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나의 일상을 기꺼이 일에 투여해도 좋다’는 스스로의 결정이 아니었다면 없었을 모습들. 휴일 가족들과 식사 도중 회사 선배의 전화에 업무용 노트북을 켜거나, 연인과 데이트 중 회사의 갑작스러운 호출에 뒤도 안 돌아보고 현장으로 향했을 정도니, 취미나 관심사 ‘따위’가 일상에 비집고 들어설 자린 애초 없었던 거다. 그리고 몇 년 뒤, 일상을 삼켜도 좋을 만큼 좇던 그 일의 종착점에 선 내 모습이 또렷하게 그려지기 시작한 순간, 직장을 그만두었다.

그래서 지금 내 마음은,

헛헛하게 비워진 자리에 언제 그랬냐는 듯 소소한 일상이 들어찼다. 커피를 온전히 만난 것도 그즈음. ‘원두는 전동 분쇄기로 6.5초 동안 갈 것’, ‘가루는 깔때기 모양 드리퍼의 3/4 지점까지 채울 것’, ‘끓는 물은 주전자(드립포트)에 옮긴 뒤 10초 후 부을 것’, ‘거품이 부풀어 오르는 추출은 두 번만 할 것’ 등 일련의 규칙들은 지금도 매주 휴일 아침이면 어김없이 지켜지고 있다.

예외는 있겠지만, 일상이라 부르는 작은 이야기들이 삶에서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음을 느낀다. 그것이 혼자만의 상념이라면 차라리 좋을지 모르겠다. 각자의 삶을 구성하는 수많은 가능성과 사건, 그 속의 가치를 우린 어느새 하나둘 외면하고 있는 건 아닐까. 누군가는 ‘일과 삶의 균형을 찾자’, 어떤 이는 ‘주체적인 인생을 살라’고 말하지만, 난 그저 이렇게 조그맣게 되뇔 뿐이다.

“그래서 내 마음, 지금 편한가?”

이번 주말엔 산미(酸味)가 적당한 수프레모를 내릴 생각이다.

– 글 : 김현수 | 시민상상센터 선임연구원 · ddackue@makehop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