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가을에 떠나는 여름휴가

희망제작소에 첫발을 내디딘 작년 9월. 신입연구원 교육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급여도, 업무 내용도 아닌 휴가규정이었다. ‘여름휴가는 토·일요일 및 법정 공휴일을 제외한 5일을 7~8월에 사용하여야 하며…’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사회생활이 처음인 내게 ‘휴가’라는 단어는 굉장히 매혹적이었다. 해외에 있는 친구들에게 취직 소식을 전하며, 내년 여름휴가에는 꼭 너희를 보러 가겠다고 약속까지 했다. 홍콩,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 종종 서점에 들러 수많은 여행 가이드북을 뒤적이며 어디로 갈지, 어떤 것을 할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발송되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4158_1505800564
희망제작소에 첫발을 내디딘 작년 9월. 신입연구원 교육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급여도, 업무 내용도 아닌 휴가규정이었다. ‘여름휴가는 토·일요일 및 법정 공휴일을 제외한 5일을 7~8월에 사용하여야 하며…’ 내색은 하지 않았지만, 사회생활이 처음인 내게 ‘휴가’라는 단어는 굉장히 매혹적이었다. 해외에 있는 친구들에게 취직 소식을 전하며, 내년 여름휴가에는 꼭 너희를 보러 가겠다고 약속까지 했다. 홍콩,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 종종 서점에 들러 수많은 여행 가이드북을 뒤적이며 어디로 갈지, 어떤 것을 할지 행복한 고민에 빠졌다.

와장창, 환상이 깨지다

하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않았다. 사회 초년생의 미천한 업무 효율로는 요즘 흔히 말하는 일과 삶의 균형, 즉 ‘워라밸’(Work&Life Balance)을 지키기 어려웠다. 효율이 낮으니 시간을 더 투자하는 수밖에 없었다. 몇 페이지 안 되는 보고서를 붙들고 며칠 밤을 새우기 일쑤였다. 아이러니하게도 선배 연구원들도 나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비영리단체의 노동강도와 업무 스트레스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결국 나는 첫 여름휴가를 맞이하기도 전에 격무에 시달리다 눈 내리는 겨울이 되어서야 여름휴가를 떠나는 팀장님의 상황을 목도하고 말았다.

나만 바쁜 것도 아니고, 남 탓을 할 수도 없는 상황. 파릇한(?) 20대 청년이라는 이유로 온갖 예쁨을 독차지하는지라 ‘피곤해 죽겠다’는 말을 입 밖으로 꺼낼 수 없었다. 다만 안색이 안 좋아졌을 뿐. 심지어 동료 연구원들에게 “쌤, 안색이 안 좋아요.”, “괜찮아요?”라는 말까지 듣기 시작했다.

드디어 갑니다, 여름휴가!

그렇게 미루고 미루다 9월 마지막 주에 드디어 여름휴가를 갈 수 있게 되었다. 입사 초 꿈꿨던 휴가 계획은 일찌감치 사라졌다. 간절하게 소박한 ‘쉼’을 바랄 뿐이다. 특별한 계획 없이 제주로 떠나 온전한 평안을 누릴 생각이다. 푹 쉬고 오면 안색이 조금은 밝아지지 않을까? 하지만 고민은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나를 포함한 대다수 비영리활동가들이 그토록 원하는(!) 적절한 노동강도와 일상이 보장되는 삶, 어떻게 하면 소진되지 않고 지속해서 활동가의 삶을 이어갈 수 있을지 말이다.

– 글 : 정환훈 | 지역혁신센터 연구원 · hydroj90@makehop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