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식

“희원아, 우리 ‘티 타임’ 할까?”
티 타임. 작은 금색 방울 같이 반짝이는 단어. 어릴 때 엄마가 이 말을 꺼내면 하루가 특별하게 느껴졌다. 사실 집 안의 불을 다 끄고 노란 백열등을 켠다는 점을 빼면, 평소 밥 먹는 식탁에서 평소 쓰는 머그잔에 과실차를 담아 마시는 평범한 일이었다. 고급 찻잔도 티 푸드도 없었지만, 어차피 그런 건 몰랐기 때문에 티 타임을 근사하게 만끽할 수 있었다. 둥글고 노란 전등빛 아래에 앉아 따끈한 유자차를 마시던 그때를 떠올리면 마음이 편해진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발송되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4158_1511853852

“희원아, 우리 ‘티 타임’ 할까?”
티 타임. 작은 금색 방울 같이 반짝이는 단어. 어릴 때 엄마가 이 말을 꺼내면 하루가 특별하게 느껴졌다. 사실 집 안의 불을 다 끄고 노란 백열등을 켠다는 점을 빼면, 평소 밥 먹는 식탁에서 평소 쓰는 머그잔에 과실차를 담아 마시는 평범한 일이었다. 고급 찻잔도 티 푸드도 없었지만, 어차피 그런 건 몰랐기 때문에 티 타임을 근사하게 만끽할 수 있었다. 둥글고 노란 전등빛 아래에 앉아 따끈한 유자차를 마시던 그때를 떠올리면 마음이 편해진다.

몇 해 전, 독립을 선언하고 친구와 함께 살게 되었다. 작은 방 한 칸이었지만 나만의 공간이 생겼다는 생각에 숨통이 트이는 것 같았다. 보증금도 저렴했다. 계약서에는 2년 후 재개발이 시작하면 나가야 한다고 적혀있었다. 하지만 지지부진한 재개발과 너그러운 주인집, 그리고 나의 ‘스튜핏’한 경제생활 덕에 2.5㎡의 방에 여전히 거주 중이다.

4년간 짐(이라고 쓰고 책과 옷이라고 읽는다)과 일이 늘면서 내 작은 안식처는 피로와 먼지의 방이 되었다. 어느 휴일, 매트리스에 모로 누워 너저분한 방을 멍하니 바라보다가 결심했다. ‘더는 안 되겠다. 책상을 버리고 서랍장이 달린 침대를 사자!’ 하지만 한 달 뒤 방에 들어온 것은 ‘벙커침대’였다. 1층이 없는 2층 침대인데, 빈 곳에 책상이나 수납장을 넣을 수 있어 좁은 공간을 효과적으로 쓰기에 좋다고 했다.

나는 그 공간에 1인용 소파와 작은 티 테이블을 사다 넣었다. 그리고 여러 꽃향기가 섞인 루이보스차를 우려냈다. 할부로 산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악을 틀고 탁상용 스탠드를 켠 후, 아로마 디퓨저에 초를 밝혔다. 따뜻한 빛과 마음을 진정시켜주는 향기, 피아노 선율이 방 안을 가득 채우자 외풍 드는 나무 창틀이 낭만적으로 보였다. 2층 침대에 누워있던 하우스메이트가 농담을 던졌다. “와, 나 차 마시러 로비로 내려갈게.”, “그래, 5분 후에 나와. 복도에서 만날까? 사다리 중간에서.” 나도 덩달아 호들갑을 떨었다.

고작 철제 프레임 하나 들여놓았을 뿐인데, 그간 수면캡슐 겸 창고였던 내 방은 집에 대한 기억과 소망을 떠올리게 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새삼스레 내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살피게 되었다. 옷걸이가 있는 벽은 옷방, 책장이 있는 벽은 서재, 그리고 둘 셋 모여 앉을 수 있는 침대 밑은 거실, 그 위는 오로지 잠만 자는 침실. 필요한 것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조각조각 끼워 맞춘 느낌이었지만, 그것만으로도 어쩐지 마음에 여유가 생기고 집에서의 시간이 한결 풍성해졌다. 그리고 부모님 댁에서 갖고 나온 행복한 기억이, 이 좁은 방에서의 삶을 견디게끔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도 티 타임은 가능하니까.

하지만 이 정도로 만족해도 괜찮은 걸까? 이러다 찻잔만 든 채로 쥐도 새도 모르게 쫓겨나는 건 아닐까? 이런 생활이 안타깝지도 않은 나 자신이 염려되지만, 늘 그렇듯 걱정은 엄마가 대신한다. 지난 명절, 오랜만에 내 방에 들른 엄마는, 사람 같이 살아보려고 애쓰는 게 대단하다며 칭찬 같지 않은 칭찬을 했다. 그래도 이불은 꼭 햇볕에 말리라고 신신당부를 하시더라. 알겠다고 대답은 했는데, 한낮 베란다에서 바싹 말린 이불 위에서 뒹굴 때의 포근한 햇살 내음까지는 아무래도 이 방에서 감당이 안 될 것 같다.

– 글 : 백희원 | 시민상상센터 연구원 · baekheewon@makehope.or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