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도시디자인

[포럼초대] 브레멘과 라이프치히의 도시재생 이야기

좋은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요, 매력있는 도시의 경쟁력은 무엇일까요. 세계에는 다양한 모습의 도시가 있습니다. 역사와 문화를 생각하는 도시, 특정 산업을 성장발판으로 삼는 도시, 주민참여를 진지하게 실천하는 도시. 다양한 도시 가운데 우리의 시선이 머무는 도시가

#

도시를 바꾸는 ’10의 힘’

미국 비영리단체 Project for Public Spaces (PPS)의 대표 프레드 켄트와 부대표  케시 매이든(Kathy Madden)은 지난 12월 7일 희망제작소를 찾아  ‘Placemaking: creating the city of the future’란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PPS는 1975년에 설립됐으며 35년에 걸쳐 미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지역사회의 공공 공간을 공동체 형성에 적합한 인간친화적이며 활력있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활동을 펼쳐왔습니다. 이 날 세미나와 함께 희망제작소와 PPS는 파트너십 형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습니다.  디자인보다 중요한 것 흔히 좋은 장소를 생각할 때 우리는 어떤 것을 떠올릴까요? 디자인이 아름답고 세련되었거나, 정비가 잘 되어 있는 장소를 생각하기 쉽습니다. 프레드 켄트는 정말 좋은 공간에서는 사람들이 편하게 느끼고, 서로 교류하고, 활동범위가 넓어진다고 합니다. 즉, ‘살아있는’ 공간입니다. 그런

#

소이캠프일일학습① 구글맵과 심시티의 만남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이 열린다는 소식은 모두 들으셨죠?? “와! 재밌겠다. 그런데 무슨 아이디어를 올려야할지 모르겠다”는 분들을 위해 그동안 다른 나라에서 열린소셜이노베이션캠프에서 구현된 아이디어를 하나하나씩 살펴보는 일일공부를 하도록 해요. 선행학습을 마치신 분들은 복습을~ 소셜이노베이션캠프는 듣도 보도 못했다는 분들은 예습을~ 공부하다 중요한 게 나오면, 용꼬리 용용~ ①시티피디아(Citipedia) 난데없이 웬 철거 아파트냐구요?? 지도에 빨간 줄이 그어지고, 늘 그 자리에 있던 건물들이 사라지고, 익숙한 풍경이 없어집니다. 건물들이 사라지고 남은 공간에는 그보다 더 높은 빌딩이 올라가거나, 더 높은 아파트가 생기거나, 아니면 때때로 공원이 생기기도 합니다. 피할 수 없다면…. 상상하라?! 도시 공간의 끊임없는 변화, 피하거나 막을 수 없다면 그 공간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지, 어떻게 건축할 것인지 한번 상상해보자고요. 어린

#

우리가 가장 두려워해야 하는 도시는?

경기도ㆍ시흥시ㆍ경기농림진흥재단이 주최하고, 희망제작소가 주관한 국제 심포지엄 ‘도시 정원을 꿈꾸다’ 가 3월 11일 오후 1시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올해 11월 시흥시 옥구공원에서 개최되는 경기정원박람회가 어떠한 성격을 가져야 할 것인가에 대한 모티브를 얻기 위해 마련된 행사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수많은, 그러나 모두가 비슷비슷한 형태의 공원들을 새롭게 생각해보고, 이들 공간을 시민의 것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단초를 얻기 위해 기획되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조경진 교수는 ‘창조적인 공원 만들기를 통한 도시 디자인’이라는 주제로 기조 발제를 진행했다. 그는 도시에서 공원이 가지는 잉여성을 설명하면서, “어떤 도시든지 가장 쓸모없고 불필요한, 공허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것이 빈 공간이고, 이 빈 공간 때문에 전체가 사는 것” 이라는 어어령 교수의

#

[초대] 국제세미나 ‘도시, 정원을 꿈꾸다’

창조적인 공원과 정원 만들기 국제 심포지엄은 공원에 관한 새로운 상상력으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은 각국의 다양한 사례와 경험을 나누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특히 녹지 인프라 확장과 시민의 참여, 도시 재생이라는 주제에 따라 각국의 사례들을 나누고, 우리 공원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을 통해 해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

[채용공고] 뿌리센터 위촉연구원ㆍ인턴 모집 (마감연장)

희망제작소 단기위촉연구원과 인턴을 공개 채용합니다. 희망제작소는 ‘지역이 세계의 중심’이며,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희망의 주요한 경로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로컬 어젠다를 다루는 희망제작소 뿌리센터에서 위촉연구원과 인턴을 모집합니다. 참여프로젝트의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선발된 분들은 이 두 프로젝트에 모두 참여하게 됩니다. 참여 프로젝트 개요 1. 목포시 역사문화의 길 조성사업 – 내용 : 목포시 내 역사문화자원을 중심으로 계획된 역사문화의 길 수정계획 프로젝트임. 역사문화자원 및 공간에        관련된 이야기와 사건 등을 통해 역사문화의 길 계획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안을 제시 – 기간 : 2009년 9월 ~ 2010년 6월 2. 목포시 한국제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내용 : 목포시 삼학도에 있는 한국제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