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마을만들기

작은 도서관에서 만드는 행복한 공동체

구파발10단지 작은 도서관 ‘책뜰에’는 엄마 자원봉사자들의 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마음껏 책을 읽고 책과 함께 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먼저 팔을 걷어붙인 엄마 자원봉사자들의 열의는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로 확장되었고 그 과정에 ‘작은 도서관 공동체 학교’가 있습니다. 구파발10단지 작은 도서관 공동체 학교 수료식이 열리던 날,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을 이야기한 수료식 현장을 살짝 들여다볼까요. “우리 아파트 단지에 작은 도서관이 있어서 참 좋아요. 도서관이 계속 잘 되려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까 이런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 싶어서 참가했어요.” -구파발10단지 ‘작은 도서관 공동체 학교’ 참가자 아파트에서는 어떤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 ‘작은 도서관 공동체 학교’는 이런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첫걸음을 시작한 구파발10단지에는 작은

#

별난 기숙사 대학생들의 공동체 만들기

보통 ‘기숙사’라고 하면 학교에서 운영하는 기숙사를 떠올립니다. 그런데 서울시 강서구 내발산동에 조금 특별한 기숙사가 있습니다. 내발산동 공공기숙사는 타지역 출신 대학생들이 서울에서 겪는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에서 땅을 제공하고 전남 광양·나주·고흥·순천, 경북 예천·김천·경산, 충남 태안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공동으로 출자해서 건설한 기숙사입니다. 현재 10여 개의 지역에서 서울로 온 350여 명의 학생들이 모여서 살고 있는데요. 이곳에서 기숙사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별난 작당’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8월 6일, 내발산동 공공기숙사에서 ‘청년이 스스로 만드는 행복한 기숙사 공동체 만들기 공동사업 업무협약’이 있었습니다. ‘행복한 기숙사 공동체 만들기’는 기숙사가 단순히 잠만 자는 주거공간이 아니라 구성원들이 함께 어우러져 생활하는 공동체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성공적인 행복한

#

대학로에 사람이 모이게 하려면?

희망제작소 뿌리센터는 전북대 대학로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고, 문화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8월 ‘마을디자인학교’가 열렸는데요. 이 자리에 많은 분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전북대 대학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 훈훈했던 현장 소식을 뿌리센터 정현필 인턴이 전합니다. 지난 8월 5일 마을디자인학교 첫 강의가 있는 날, 어떤 분들이 오실까 설레는 마음으로 전주시 덕진성당으로 향했습니다. 강의 시간에 맞춰 전주시 주민 분들, 대학로 주변 상인 분들, 전북대 학생 분들이 하나둘씩 오셨습니다. 첫날 강의는 경기대 건축과 이영범 교수님께서 ‘어떻게 하면 작은 공간을 주민과 바꾸면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 수 있는가’와 ‘참여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셨습니다. 어떤 문제든지 사람을 중심에

#

어머니의 손맛이 지은 비비정 마을 이야기

■ 소개 사람들이 모여서 돕고 함께 일하며 새로운 가치를 생산하고 행복하게 살아가는 마을을 짓다 평균 연령 70세 할머니 셰프들이 밥을 짓는 농가레스토랑, 귀촌자와 동네 청년이 모여 만든 문화 공간 카페 비비낙안, 술 빚는 작은 양조장, 예술캠프… 작은 시골 마을에 일어난 놀라운 변화 그리고 마을 사람들 이야기. 작은 시골 마을을 바꾼 변화의 바람 어떤 마을이 있다. 여느 시골과 다를 바 없던 마을에 새 건물이 들어서고 농가레스토랑과 카페가 생겼다. 농가레스토랑에서는 70 평생을 부뚜막 앞에서 밥을 짓던 마을 할머니들이 앞치마를 두르고 손님들을 맞이했다. 마을을 감싸고 흐르는 만경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 위 카페에는 마을 청년들이 내려주는 진한 커피향이 은은하게 퍼진다. 마을에 차린 작은 양조장에는 밤마다

#

죽음의 호수에 노란꽃을 피우다

안신숙 희망제작소 일본 주재 객원연구위원이 전하는 일본, 일본 시민사회, 일본 지역의 이야기. 대중매체를 통해서는 접하기 힘든, 일본 사회를 움직이는 또 다른 힘에 대한 이야기를 일본 현지에서 생생하게 전해드립니다. 안신숙의 일본통신 (26)죽음의 호수에 노란꽃을 피우다 수도권 북동단의 카스미가우라(霞ヶ浦)호수는 호수 면적 220k㎡, 유역면적은 그 10배에 이르는 일본 제2의 호수이다. 이바라키 현을 비롯한 3개 현과 28개 시정촌을 포함하여 약 100만 명의 인구가 카스미가우라 호수 유역에서 살고 있다. 이곳은 과거엔 주변의 산림과 늪지대로부터 물이 흘러들고, 일대에 조성된 농경지에서 농업과 어업이 번성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시작된 고도경제성장으로 급격한 공업화, 도시화로 인해 카스미가우라 호수는 수질 오염과 어업의 쇠퇴를 맞이했고, 주변 산림 지역이 훼손되면서 생태계는 파괴됐으며, 호수 유역의

#

더불어 사는 사람을 키우는 마을

유기농 오리농법으로 유명한 충남 홍성군 홍동면에 요즘 귀농·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이어지고 있다. 이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지역공동체 활동을 체험하기 위해서이다. 50여 년 전만 해도 홍동면은 한국의 여느 농촌과 다름이 없었다. 소득원은 한정되어 있었고 넉넉지 못한 가정 형편 때문에 학업을 포기해야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홍동면 지역공동체 활동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풀무학교’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주옥로 목사가 학교를 설립하기로 뜻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전쟁 후 어려운 상황 속에서 농촌에 학교를 설립하고 운영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런데 ‘새벽별’이란 잡지에 주옥로 목사가 기고한 글을 읽고 밝맑 이찬갑 선생이 뜻을 같이하면서 1958년, 교회 부지에 폐교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