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성북구

[칼럼] 마을민주주의와 주민참여예산제도

마을민주주의는 ‘주민 자신이 느끼는 생활상의 아쉬움과 절실한 필요들(보육, 교육, 노후, 안전, 안심 먹거리 등)을 이웃과 함께 민주주의 방식으로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이를 적극적으로 정책에 반영해 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곳이 서울시 성북구이다. 무엇보다 마을민주주의를 바탕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을 시도하는 곳은 성북구가 처음이다. 특히 성북구는 희망제작소와 함께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진행하여 주민들에게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알리고, 함께 학습하는 일에 앞장 서고 있는 곳 중 하나이다. 성북구의 사례를 중심으로 마을민주주의와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해 살펴보자. 2015년 5월 19일,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하나인 성북구는 ‘마을민주주의 원년’을 알리는 심포지엄을 열었다. ‘마을공동체’라는 단어에 익숙해질 때쯤 나타난 ‘마을민주주의’는 또 무엇일까. 아마도 공동체의 중요성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특히나 사람 간의 관계가 약해지면서 그로

#

통장, 자긍심이 필수조건!

지난 10월 16일 <제4기 성북구 통장대학> 시작되었습니다. 성북구에서 통장대학이 열린지도 어느덧 4년째를 맞이하게 되었는데요. <제4기 성북구 통장대학>은 성북구 각 통의 초임 통장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지역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과 더불어 사는 마을 공동체 만들기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10월 30일 수요일 세 번째 만남 사람들은 저마다 생김새가 다르듯, 다양한 생각과 의견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이 모여 의사결정을 하는 자리에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불가피하게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제4기 성북구 통장학교> 세 번째 만남에서는 이러한 갈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강연은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부설 갈등해결센터 박수선 연구원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

2013 성북구 통장학교 4기 결과보고서

■ 제목 2013 성북구 통장학교 4기 결과보고서 ■ 주최 성북구청 ■ 주관 희망제작소 교육센터 ■ 교육기간 2013.10.16 ~ 2013.11.06 ■ 목차 Ⅰ. 교육 개요 Ⅱ. 교육 내용 [1회 교육] 1) 지역 공동체와 통장 리더십 [2회 교육] 1) 성북의 과거를 듣는다 2) 성북의 현재를 말한다 [3회 교육] 1) 의사소통과 갈등관리 [4회 교육] 1) 통장 십계명 2) 통장, 이렇게만 해보자 3) 선배 통장에게 묻는다 Ⅲ. 평가 및 과제

#

“통장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요?”

10월 16일 수요일 첫 번재 만남 지난 10월 16일, <제4기 성북구 통장대학> 시작되었습니다. 성북구에서 통장대학이 열린지도 어느덧 4년째를 맞이하게 되었는데요. 이번 <성북구 통장대학>은 성북구 각 통의 초임 통장님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지역 리더로서의 역할 수행과 더불어 사는 마을 공동체 만들기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희망제작소 송창석 부소장님의 워크숍으로 <성북구 통장대학>의 문을 열었습니다. 통장님들의 단단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주민들과의 소통을 이루어내자는 취지로 진행된 이번 워크숍의 주제는 ‘자기소개’였습니다. 각자 앞에 놓여진 A4 용지에 소속 동과 이름을 적고 오른쪽으로 돌린 뒤, 자기가 가지고 있는 A4 용지 주인의 얼굴을 서로가 그려 주는 방식이었습니다. 통장님들은 서로의 눈을 마주쳐 서로의 얼굴을 유심히 관찰하고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며 즐겁게

#

서울시 동북4구 100인 회의, 어떻게 진행됐나

지난 7월 13일 <서울시 동북4구 100인 회의>가 열렸습니다. 서울 동북부에 있는 4개 구(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성북구) 주민 100명이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기 위해 네 구가 협력할 방법을 찾는 토론회였습니다. 지난 후기는 토론을 하게 된 배경과 내용,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이번 기사는 토론회 설계과정과 평가를 소개하고 향후 주민참여 방법 발전에 참고할 점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해외의 다양한 주민참여 방법 사례 검토토론회를 설계하기 앞서 국내?외 다양한 주민참여 방법을 조사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주민참여 방법으로 ‘주민참여예산제’가 있습니다. 1989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레라는 시에서 시작한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광주광역시 북구를 시작으로 많은 지자체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지방예산편성과정에 주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예산 범위나 운영 방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