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희망다반사

#12. 취미가 뭐예요?

입사 후, 동료들에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관심사’에 관한 것이다. “휴일에 뭐해요?”, “취미는?”, “재밌는 일 없어요?” 등 표현은 다르지만, 일 이외 또 다른 활동과 관심이 하나쯤 있다는 걸 전제한 물음에 얼마간 적절한 답을 찾지 못해 애를 먹었음을 고백한다. 대답을 주저한 건 무언가에 집중하는 내 모습이 선뜻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고, 질문의 취지가 ‘단순한 취미’와 ‘열정 쏟는 대상’ 그 중간 어디쯤 있는 것인지 정확히 알 길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상대는 답이 어떠하든 상관없는 가벼운 마음이었겠지만, 그와 무관하게 내 마음속엔 몇 초 동안 작은 소용돌이가 일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

#11. 헐! 말이 돼요? 실화 아니죠?

15년쯤 전이다. 이 ‘옛날이야기’를 처음 꺼냈던 것이. 스물 네댓 살쯤, 첫 직장의 신입 시절이다. 당시 나에게는 까마득하던 40대 남자 부장, 차장들과 직장 앞 식당에서 저녁을 먹는 중이었다. 언젠가 아버지께 들은 그 이야기를 왜 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직장 동료를 짝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상대 여성은 미모가 출중해서 인기가 많았고, 이 남자도 성격이 호방하다는 평을 들었지만, ‘특정 동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외모 탓인지 이성에게는 인기가 없었다. 남자는 지치지도 않고 여자를 따라다녔다. 하지만 여자는 곁을 주지 않았고,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서 직장을 그만뒀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

#10. 오만과 편견

혁명의 땅, 쿠바. 깊은 밤 첫발을 디딘 그곳은 더운 공기로 가득했다. 공항은 작고 어두침침했지만, 걱정과 달리 입국 심사를 받고 짐을 찾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뜨거운 공기를 맡으며 버스에 올라 호텔로 가는 길, 가로등 하나 없는 깊은 어둠을 지나는 그 순간에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익숙하다 못해 삶이 되어버린 ‘문명’과의 단절을 말이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혁명의 땅, 쿠바. 깊은 밤 첫발을 디딘 그곳은 더운 공기로 가득했다. 공항은 작고 어두침침했지만, 걱정과 달리 입국 심사를 받고 짐을 찾는 데 그리

#

#9. 일과 학습을 함께 한다는 것

“지각은 없다. 결석은 안 돼!” 대학원 진학 이후, 이 두 가지는 꼭 지키고자 다짐했다. 무색하게도 개강 첫날부터 15분을 지각하고 말았다. 코리안 타임은 비겁한 변명에 불과하다 했건만, 결국 입이 방정이다. 일과 학습을 병행한 지 4개월 차에 접어들었다. 캠퍼스의 푸르름을 느낄 새도 없이 종종걸음으로 강의실 찾아 들어가기 바쁘고, 수업이 끝나면 캄캄한 밤의 캠퍼스를 빠져나오기에 또 바쁘다. 일-학습병행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하겠다는 의지를 활활 불태웠지만, 어느새 머리부터 발끝까지 한 번씩 돌아가며 아프다는 저질체력이 되었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각은 없다. 결석은 안 돼!”

#

#8. 내겐 너무 좁은 서울

서울에 처음 발을 내디딘 두 달 전, 내게 주어진 공간은 1.5평짜리 고시원이었다. 복도에 들어서면 훅 들어오는 옆 방 사람들의 숨 냄새, 최소한의 생활용품만 넣을 수 있는 가구로 꽉 찬 방. 좁은 공간에서 게처럼 옆으로 움직이며 보낸 시간은 ‘고시원’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것처럼 음울함의 생생한 구현이었다. 창문과 화장실이 함께 있다는 이유로 방세가 무려 50만 원에 육박하는 곳이었지만, 그 많은 방은 이미 사람들로 꽉 차 있었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에 처음 발을 내디딘 두 달 전, 내게 주어진 공간은 1.5평짜리 고시원이었다. 복도에

#

#7. “아빠, 언제 데리러 와?”

아침 6시 30분, 일어나 씻고 아침밥을 준비한다. 7시 즈음 일곱 살 아이가 눈을 뜨면 아침밥을 먹인다. 아이는 전날 늦게 자거나 피곤하면 좀처럼 일어나지 못한다. 그럴 땐 더 자게 둔다. 7시 50분. 출근 시간 마지노선이다. 후다닥 옷을 입히고 어린이집으로 향한다. 어린이집은 8시까지 등원하면 죽이나 주먹밥 등 간단한 먹을거리를 챙겨준다. 다행이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와 번갈아 격주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아침 6시 30분, 일어나 씻고 아침밥을 준비한다. 7시 즈음 일곱 살 아이가 눈을 뜨면 아침밥을 먹인다. 아이는 전날 늦게 자거나 피곤하면 좀처럼 일어나지 못한다. 그럴 땐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