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대구에 부는 변화의 바람

오랜만에 방문한 대구에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었다. 더 나은 사회에 대한 상상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이었다. 그날 대구에서는 110여 명의 시민이 테이블마다 모여 대구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꽃을 피웠다. 커다란 콘퍼런스홀은 10년 뒤 대구에는 어떤 복지가 자리 잡으면 좋을지, 20년 뒤 대구에는 어떤 일자리가 나오면 좋을지에 대한 상상으로 금세 가득 찼다.

이달 2일 열린 소셜픽션 콘퍼런스(공동 주관: 포럼 창조도시`커뮤니티와 경제)에서 목격한 장면이다.

필자가 전체 진행자로 참여한 이 콘퍼런스에는 사회적 상상이 넘쳐났다. 시민들은 마을공동체와 맞닿은 복지를 꿈꿨다. 거리마다 푸른색이 넘치는 환경도시를 상상했다. 또 사회적 경제를 위한 클러스터 건설의 꿈을 나눴다. 자연스럽게 상상은 공상을 넘어 현실을 변화시키는 행동을 기획하는 데까지 이어졌다.

그다음 날 광주광역시에서 필자가 진행했던 청년정책 토크 콘서트에서도 대구 청년을 만났다. 대구시 청년위원장이면서 창업가인 최윤진 재능나눔콘서트 대표였다. 그날 광주시청에서는 광주 청년과 대구 청년, 광주 공직자가 마주앉아 청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토론했다. 기성세대의 시각과 청년의 시각, 행정 당국의 시각과 창업가들의 시각이 가감 없이 테이블에 올랐다. 먹고사는 일과 성실성, 책임감을 중시하는 기성세대와, 하고 싶은 일을 중시하는 청년세대 사이에는 적지 않은 토론이 필요해 보였다.

생존과 성장을 강조하던 시대에 청년기를 보낸 세대와 창조와 지속 가능성을 강조하는 시대에 청년기를 맞은 세대 사이의 대화도 흥미로웠다. 하지만 더 흥미로웠던 것은 그런 대화를 빛고을 광주까지 찾아가 나눌 수 있는 대구 청년의 열정이었다. 천편일률적인 삶이 아니라 다른 삶을 꿈꾸는 대구 청년의 기운이 느껴졌다.

대구는 오랫동안 딱딱하게 굳은 도시처럼 여겨졌다. 정치권력의 중심에 있는 듯, 특혜와 특권이 있는 듯한 이미지도 줬다. 그러면서도 경제는 자꾸만 활력을 잃었다. 시민들은 소외돼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던 대구가 달라지고 있었다. 변화의 발원지는 시민들의 역동성이었다. 우선 시민들이 모였다. ‘포럼 창조도시’(포럼 창조도시를 만드는 사람들)가 민간 플랫폼 역할을 했다. 도시재생을 연구하던 이들, 사회적 경제를 실천하던 이들, 민주주의와 지방분권을 고민하던 이들이 한데 뭉쳤다. 그것도 ‘미래’와 ‘창조’를 주제로 뭉쳤다.

플랫폼이 생기니 청년들이 꿈틀거린다. ‘포럼 창조도시’를 매개로 소셜다이닝 창조도시 이야기 모임도 시작됐다.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 경제 영역과 마을공동체 만들기에 투신하던 이들도 분주해졌다. 일자리와 사회적 성과를 동시에 생각하는 사회적 경제를 돕는 ‘커뮤니티와 경제’가 대표적이다.

세계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기술은 점점 발전해 인간의 노동은 어디에 필요한 것인지를 끊임없이 되묻고 있다.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공유하며 사업하는 공유경제기업, 이익이 아니라 사회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한 사회적 기업, 자본이 아니라 사람이 주인인 협동조합 등 새로운 형태의 경제조직들도 떠오르고 있다.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의 고용과 복지정책, 그리고 시장질서가 나타나야만 이런 새로운 흐름을 끌어안을 수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모든 것을 리디자인해야 할 시기다. 그러려면 우선 상상해야 하고, 그리고 꿈틀거려야 한다. 그런 상상과 꿈틀거림을 같이할 시민들을 찾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과제다. 함께 도시의 미래를 꿈꾸고 행동하는 시민이 1천 명만 있어도 도시는 완전히 달라진다. 초겨울 대구에서는 그 커다란 변화의 싹이 트고 있다.

[ 매일신문 / 2015.12.25 / 희망제작소 이원재 소장 ]

기사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