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지금, 희망합니까?
“희망은 밝고 환한 양초 불빛처럼 우리 인생의 행로를 장식하고 용기를 준다. 밤의 어둠이 짙을수록 그 빛은 더욱 밝다.” _올리버 골드스미스
2016년 대한민국은 희망보다는 절망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졌다. 경제성장 동력이 멈췄고, 청년실업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도 보이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후퇴하고 양극화는 심화되어 ‘불평등’은 사회적 질환이 된지 오래다. 어쩌면 곪고 곪아 터지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우리는 ‘희망’보다는 ‘절망’을 이야기하기 쉽다.
‘시민희망지수’를 발표한다고 하니 ‘때’를 잘못 잡은 것 아니냐는 냉소적 반응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이 그 때일 수도 있다. 곪고 곪아 터져버린 상처 부위와 통감을 문진하기 위해서는 ‘지금, 어떤지?’, ‘앞으로, 어떨 것 같은지?’ 시민에게 ‘희망’의 안녕을 물어야 한다.
“우리가 과연 ‘우리 안의 희망’에 대해 얼마나 제대로 알고 있는가?”, 그리고 “우리는 어떤 요소와 근거로 희망하는가?”, “한국은 왜 살기 어려운 나라인가?”, “희망을 갖기 위한 실천적 행동이 뒤따르고 있는가?”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희망제작소는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여정은 꼬박 1년이 걸렸다. ‘희망’이라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을 측정하고 그 지수를 개발한다는 것에 대한 혼란스러움으로 내부적 논의과정이 길어졌다. 게다가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도 이 연구의 어려움과 한계로 작용했다. 전문가들 또한 개념과 측정방법에 대해 바라보는 관점이 모두 제각각이었다. 그 어려움과 한계를 극복하게 한 것은 ‘희망지수 시민자문단’들의 관심과 참여였다. 그리고 한 전문가의 “희망제작소라서 그런 연구가 가능하니 과감히 도전해보기를 추천한다. 희망제작소에서 물꼬를 터주면 이후 학문적 정교화 및 후속연구는 우리들이 해보겠다”는 격려와 응원의 이야기였다.
도저히 잡히지 않는 실체를 찾아 돈키호테의 희망처럼 호기롭게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연구진은 애초의 ‘희망지수’ 개발에서 ‘시민희망지수’ 개발로 생각을 정리하는 ‘이름표’를 붙이면서 연구범위를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었다. 학문적 · 이론적 검토를 토대로 시민이 느끼고 말하는 우리시대 개인의 삶과 사회에 대한 희망인식을 알아보는 방향으로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측정방법 또한 계량가능한 것들의 폭압에서 자유로워져 복잡하지 않게 설계했다. 일단 이렇게 연구팀의 희망경로를 잡고 ‘시작’을 했다. 시민들과 함께 했고, 시민들이 자신의 삶과 우리 사회를 진단했다. 이후 과정도 시민참여 방식으로 과제들을 기획하고 실행해 갈 것이다. 다시 한 번 희망지수 시민자문단 위원님들께 감사드린다.
희망제작소가 올해로 열 살이 되었다. 이 연구의 가장 든든한 지지는 시민과 함께하는 실천적 조직의 10년 역사와 활동결과를 통해 받았다. 창립 이래 줄곧 뜬구름을 잡아 땅위에 온갖 희망의 근거와 작동원리를 증명해온 ‘희망제작소’라는 “희망”을 만들어가는 시민들의 힘이다.
모쪼록 이 연구가 미흡하지만 ‘시민희망지수’의 원년을 알리는 물꼬로서 희망제작소의 의미있는 또 하나의 ‘시작’이 되길 바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후반부에 다다르자, ‘희망’을 이야기한다는 것과 ‘희망을 만든다’는 것이 결국 인간의 존엄성과 맞닿아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 사실을 인지하게 된 연구팀은 큰 축복을 얻었다. 희망을 부르면, 희망은 우리에게 온다. 희망은 결코 늦은 법이 없다.
목차
연구요약
프롤로그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방법 및 과정
1) 단계별 과정
2) 일정별 연구진행 내용
3) 희망지수 시민자문단 워크숍 개요
4) 희망지수 시민자문단 및 자문위원
Ⅱ. 선행연구 검토
1. 희망의 정의
1) 이론적 논의
2) 본 연구에서의 정의
2. 측정방법
1) 희망에 대한 설문조사
2) 설문문항 구조
Ⅲ. 2016 시민희망인식조사 결과
1. 조사개요
1) 조사목적
2) 조사설계
3) 조사내용
4) 응답자 특성
2. 개인 삶에서의 희망인식
1) ‘희망’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연상되는 단어
2) 꿈에 대한 태도
3) 분야별 삶의 만족도
4) 현재 삶의 만족도
5) 향후 삶의 희망인식
6) 희망적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7) 희망적 삶에 미치는 가장 큰 영향
8) 시민참여활동 적극도
9) 이웃 주민과의 교류 적극도
10) 귀속계층 평가: 소속 사회계층
3. 우리 사회에서의 희망인식
1) 현 사회 인식
2) 향후 사회 희망인식
3) 희망 있는 사회가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
4) [정치] 향후 정치 상황 전망
5) [정치] 향후 시민참여 수준 전망
6) [정치] 향후 정부(중앙 및 지방정부) 투명성·효율성·신뢰성 전망
7) [정치] 향후 남북관계 전망
8) [경제] 향후 경제 상황 전망
9) [경제] 향후 일자리의 질 전망
10) [경제] 향후 소득불평등 및 빈곤 전망
11) [경제] 향후 근무시간 전망
12) [사회] 향후 기술발전이 인간의 삶에 미칠 영향 전망
13) [사회] 향후 복지혜택 수준 전망
14) [사회] 향후 출산율 수준 전망
15) [사회] 향후 공교육의 중요성 전망
16) [사회] 향후 다양성 중시 전망
17) [사회] 향후 환경문제 개선 전망
18) [사회] 향후 전반적 사회여건 전망
19) 시민활동의 사회 기여도
20) 희망제작소에 대한 희망사항
4. 소결
Ⅳ. 결론: 우리시대 다시 희망찾기
에필로그
부록
1. 희망제작소 창립선언문
2. 시민희망인식조사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