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녹색경제

독일 도시로부터 듣는 녹색경제 (2)

희망제작소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riedrich Ebert Stiftung)은 한국과 독일의 도시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며 우리가 안고 있는 도시 문제에 대안을 모색하는 ‘한?독 도시교류포럼’을 2011년부터 개최해왔습니다. 2013년 한독도시교류포럼은 독일의 녹색 경제 전문가인 ‘마티아스 코숄(Matthias Koziol 이하 ‘코숄’)’ 교수와 프라이부르크의 사례를 들려주실 ‘위르겐 하르트비히(J?rgen Hartwig 이하 ‘하르트비히’)’ 프라이부르크 푸투어 대표를 초청했습니다. 그리고 행사의 마지막 날 목민관포럼에는 주한독일대사관 ’토마스 슈뢰더(Thomas Schr?der 이하 ‘슈뢰더’)‘ 참사관도 참여해 독일의 에너지정책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나흘 동안 열린 간담회와 대중강연, 포럼에서 독일 초청자들은 에너지전환이 만들어낸 독일의 녹색 경제 육성 정책과 프라이부르크 시 사례를 발표했고, 우리 도시들도 친환경 정책을 소개하고 현장을 직접 함께 탐방하며 독일에서 배울 점에 대해 구체적인 조언과 질의응답을 나눴습니다.

#

독일 도시로부터 듣는 녹색경제 (1)

희망제작소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Friedrich Ebert Stiftung)은 한국과 독일의 도시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며 우리가 안고 있는 도시 문제에 대안을 모색하는 ‘한독 도시교류포럼’을 2011년부터 개최해왔습니다. 2013년 한독도시교류포럼은 독일의 녹색 경제 전문가인 ‘마티아스 코숄(이하 ‘코숄’)’ 교수와 프라이부르크의 사례를 들려주실 ‘위르겐 하르트비히(이하 ‘하르트비히’)’ 프라이부르크 푸투어 대표를 초청했습니다. 그리고 행사의 마지막 날 목민관포럼에는 주한독일대사관 ’토마스 슈뢰더(이하 ‘슈뢰더’)‘ 참사관도 참여해 독일의 에너지정책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나흘 동안 열린 간담회와 대중강연, 포럼에서 독일 초청자들은 에너지전환이 만들어낸 독일의 녹색 경제 육성 정책과 프라이부르크 시 사례를 발표했고, 우리 도시들도 친환경 정책을 소개하고 현장을 직접 함께 탐방하며 독일에서 배울 점에 대해 구체적인 조언과 질의응답을 나눴습니다. 그 내용을 소개합니다. 독일 도시로부터 듣는

#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
참여로 일구는 녹색 경제,
독일의 경험을 나누다

■ 제목 목민관클럽 제20차 정기포럼참여로 일구는 녹색 경제, 독일의 경험을 나누다(제3회 한?독 도시교류포럼 공동 개최) ■ 지음 목민관클럽, 희망제작소 기획홍보실 ■ 일시 2013.06.14 ■ 소개 목민관클럽 20차 정기포럼 개요 에너지와 녹색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 – 그동안 에너지정책은 중앙정부가 주도해 입안하고 추진하였는데,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독자적인 에너지 정책에 관심을 갖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특히 에너지 전환을 비롯한 친환경 산업 육성은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 순환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야로는 대체에너지 산업 발전, 생태도시 조성을 통해 기술, 교육, 관광산업육성 등이 있다. 다만, 에너지·환경 정책은 이해관계가 첨예한 부분이기에 지방정부의 독자적인 추진은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산업계의

#

2013 한·독 도시교류포럼
참여로 일구는 녹색경제, 독일의 경험을 나누다

■ 제목 2013 한·독 도시교류포럼참여로 일구는 녹색경제, 독일의 경험을 나누다 ■ 지음 희망제작소 뿌리센터 ■ 일시 2013.06.12 ■ 소개 2013년 6월 12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013 한·독도시교류 포럼 자료집으로 당일 발표자들의 발표자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에너지와 녹색 정책에 대한 지자체의 관심 최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어느 때보다 녹색 경제에 관심이 높습니다. 과거 에너지정책은 중앙정부가 주도해 입안하고 추진하여 지자체는 소극적인 역할에 그쳤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독자적인 에너지 정책에 관심을 갖는 지자체가 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절약에 앞장서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등에서 중앙정부보다 의욕적인 행보를 보이는가 하면, 친환경 산업을 육성해 일자리를 만들고 역내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이러한 자치단체들은 대체에너지 산업 발전, 생태도시 조성을 통해 기술,

#

[초대] 한·독 도시교류포럼 ‘참여로 일구는 녹색경제’

2013 한독 도시교류포럼 참여로 일구는 녹색경제 에너지 자급자족 생태 계획이 이뤄진 도시, 녹색 일자리가 늘어 지역경제까지 살아나는 도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많은 지방정부의 바람일 것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어렵습니다.

#

6월 브라질 리우, 전 세계는 무엇을 논할까

유엔이 6월에 개최될 ‘Rio+20’에서 다뤄질 의제(안)을 담은 문건을 공개했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The Future We Want)라’는 제목으로 시작되는 문건은 이번 6월 20일부터 22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리는 유엔지속가능발전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다뤄지며, 2015년 종료되는 유엔새천년개발목표 이후 체제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 그것이다. 원문(The Future We Want – Zero draft of the outcome document) 다운로드 ‘지속가능한 발전’의 부활   Rio+20이란 약칭으로 불리는 이번 회의는 1992년 동일한 장소에서 열렸던 최초의 지속가능발전회의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로부터 20년 후에 진행된다는 의미에서 ‘+20’이란 표현이 붙어졌다. 1990년대 활발하게 논의되던 ‘환경’ 의제는 21세기에 들어서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내전, 미국의 9ㆍ11 테러, 인도네시아 쓰나미, 아이티 지진, 경제위기, 기후변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