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설문조사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2018 시민희망지수 컨퍼런스

■ 제목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한, 2018 시민희망지수 컨퍼런스 ■ 주최 희망제작소 ■ 일시 2018.12.12(수) 14:00 ■ 목차 Ⅰ. 발표문 – 2018 시민희망지수 조사 결과(희망제작소 손정혁) – 시민희망지수의 의미와 발전방향(서울대학교 김홍중) – 시민희망지수 적용사례: 안산시(더좋은공동체 정주호) Ⅱ. 토론문 – 인천연구원 조승헌 – 한겨레21 김현대 – 기본소득청‘소’년네트워크 백희원 – 노년유니온 고현종

#

[후원회원 설문조사] 19대 대통령에게 바란다

2016년 겨울, 살을 에는 추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밖으로 나왔습니다. 손에 든 촛불로 광장과 거리를 밝히며 ‘민주주의’를 외쳤습니다. 그리고 지난 5월 9일, 온 국민의 염원을 등에 업고 새로운 대통령이 탄생했습니다. ‘더 나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신임 대통령은 어떤 일을 해야 할까요? 희망제작소 후원회원님께 물었습니다.

#

[칼럼] N개의 기준이 있어야 ‘좋은 일’이 있다

그 어머니는 왜 그렇게까지 해서 딸을 명문대에 부정입학 시켰을까? 왜 금메달리스트, 성공한 체육인이라는 타이틀을 주려고 그렇게 애썼을까? 모르긴 몰라도 평범한 사람은 가늠도 못 할 만큼의 재산을 가졌다는데, 전 세계 유람 다니면서 마음껏 소비하고 사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았을까? 이런 궁금증은 “우리 삶에서 ‘일’이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나왔다. 그리고 이 질문은 “이 시대, 우리 사회에서 ‘좋은 일’의 기준은 무엇일까?”라는, 희망제작소의 ‘좋은 일, 공정한 노동’ 연구의 주제와 연결된다. N개의 사람, N개의 ‘좋은 일’ 그저 돈을 많이 버는 일, 사회적 지위가 높은 일이 ‘좋은 일’일 뿐이라면, 여기에 아무도 이견을 달지 않는다면 이런 질문들 자체가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렇지가 않다. 사람들이 어떤 일을 ‘좋은 일’이라

#

[좋은 일 공정한 노동] 우리가 원하는 좋은 일은 ‘재미있는 일’, ‘성장하는 일’

[좋은 일, 공정한 노동] ⑱ 좋은 일이 많은 사회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재미있는 일, 배울 점이 있는 일, 내가 성장할 수 있는 일, 스트레스 적은 일, 노동시간이 적당한 일…. 희망제작소가 2016년 7~12월 사이에 진행한 ‘좋은 일 기준 찾기’ 2차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좋은 일’의 기준들이다. 이 설문조사에는 총 3292명이 참여했다. 1차 설문조사에 1만5,000여명이 참여한 것과 비교하면 적지만, 응답 항목 수가 최대 88개에 달하는 상세한 설문조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참여도였다. 이 조사의 목적은 첫째, 참여자들이 각 항목에 응답하면서 스스로의 ‘좋은 일’ 기준을 생각해보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조사 항목은 2016년 7월 30일에 진행된 청소년·학부모 대상 워크숍의 진행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