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연속세미나/후기] 활동가가 뭐 별건가?

희망제작소는 시민연구공간 희망모울 오픈 기념으로 연속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18일에는 ‘일상을 변화시키는 N%의 활동가’라는 주제의 세미나가 열렸는데요. 각자의 생활 영역에서 변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현장의 이야기를 전합니다.

원문보기: http://www.makehope.org/?p=43954

#

‘2017 세대공감프로젝트 – 시니어드림페스티벌’ 9주간의 여정

내가 아는 청년은 철부지! 내가 아는 시니어는 꼰대? 집, 학교, 직장 밖에서 만나면 꽤 괜찮은 우리. 유쾌한 시니어와 든든한 청년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동료로 뭉쳤습니다. 우리를 재발견하는 세대공감 프로젝트,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제4회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은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진행됐는데요. 9주간의 여정을 전합니다.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시니어를 찾는 청년들

지난 9월 2일, 서울 사회혁신파크 피아노숲에서 <제4회 시니어드림페스티벌 결과공유회 – 마주보다, 공감하다>가 열렸습니다. 결과공유회에는 특별한 손님 세 분이 오셨는데요. 자칭 타칭 ‘시니어 덕후’인 김빛나, 한소정, 허새나 님이 그 주인공입니다. 세 분이 시니어와의 관계에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진솔한 이야기의 기록을 전합니다. 백희원 희망제작소 시민상상센터 연구원(이하 백희원) : 안녕하세요. 저는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을 기획, 진행한 희망제작소 백희원 연구원입니다. 오늘 토크콘서트에 시니어를 찾는 청년 세 분을 모셨는데요. 오늘 이 자리에서는 세 분이 어떻게 시니어와의 관계에 관심을 두게 되었는지, 관계를 통해 어떤 의미를 얻고 있는지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김빛나 : 나이 드는 데 관심이 많아서 시니어 덕후가 된 김빛나라고 합니다. 저는 사춘기 때 ‘도대체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마주보고 공감하는 축제의 장이 열리다

지난 9월 2일, 서울 사회혁신파크 피아노숲에서 가 열렸습니다. 이번 결과공유회는 ‘소통’이라는 주제에 맞춰 누구나 쉽게 참가할 수 있는 야외 공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선선한 가을바람처럼 몸과 마음을 상쾌하게 했던 그 날의 현장 분위기를 전합니다. 나뭇잎 사이로 햇볕이 부서지는 화창한 토요일 오후, 시니어드림페스티벌 6개 참가팀은 99일 동안 진행한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부스를 열었습니다. 지난 2회 우승팀인 팀과 3회 우승팀 팀, 서부 50+ 커뮤니티 과 협동조합 , 등 다양한 초청 팀들도 함께해 자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6개 프로젝트 체험해보기 아일랜드 민요를 연주하는 의 축하공연이 결과공유회의 시작을 흥겹게 알렸습니다. 주말을 맞아 나들이 나온 가족들과 세대공감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온 시민들로 현장은 금세 활기차게 붐비기 시작했습니다. 이날의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나는 당신을 알고 싶습니다

제4회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앞둔 어느 날 희망제작소 연구원들은 가끔씩 연구원 분들을 대상으로 소소하고 자발적인 이벤트를 열곤 합니다. 연구원이 함께 쓰는 게시판에는 도움이 될 만한 강의 자료를 공유하거나 감명 깊게 읽은 책을 소개하는 글이 올라오는데요. 시니어와 청년의 세대공감 프로젝트를 맡고 있는 백희원 시민상상센터 연구원이 8월의 끝자락에 가을맞이 시집 나눔 이벤트를 열었습니다. 백 연구원의 책꽂이 위에는 서른 권 가까이 되는 시집들이 진열돼 있었는데요. 규칙은 반환 금지, 사람에 따라 시를 맞춤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3층 제 자리에서 가을맞이 시집 나눔 캠페인(이라고 쓰고 책장정리라고 읽는다) 중입니다. 물 마시러 왔다가 스윽 보시고 맘에 들어오는 책 있으시면 가져가세요.” 정말 물 마시러 간 김에 가보니 심보선, 김승일, 서효인, 손택수,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참가팀 인터뷰 ③ “소통” 편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를 청년과 시니어가 직접 제안하고 한 팀이 되어 실행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올해는 ‘일상에서 겪는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섯 팀이 동료로 뭉쳤습니다. 유난히 더웠던 2017년 여름, 세대공감으로 소통의 문제해결에 도전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왜 이런 일에 도전하고, 어떻게 함께 문제를 풀어가고 있을까요?   “일단 다른 세대가 만나야 하는데, 그냥 만나면 뻘쭘하지 않겠어요? 책이 매개체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 ‘북적북적 책수다’ 팀 : 권광선, 조은혜 ☺️ 왜 이 프로젝트를 하시나요? → 광선 : 뭔가 시도할 기회를 준다는 것이 좋았어요. 더 특별한 점은, 청년들과 함께 일할 수 있다는 거였죠. 다른 세대가 모여 생각을 조율해 볼 기회랄까. 청년의 의견이 좋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