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시니어 사회참여

[마이 밀레니얼 다이어리] 세대를 구분하지 않는 우정이 필요한 때

불로장생을 염원한 진시황은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필사적이었다. 하지만 그렇게 갈구하던 불로초는 없었고, 대신 ‘수은’을 얻었다. 수은은 소량 섭취 시 일시적으로 피부를 팽팽하게 만든다. 그 효과에 중독된 진시황은 수은을 불로장생약이라고 믿는다. 전국의 수은을 모아 수은 연못을 만들었을 정도다. 하지만 그는 역설적이게도 자신을 영생의 길로 인도할 것이라고 믿었던 수은 때문에 죽음을 맞이한다. 2018년 3월, 희망제작소는 평창동 시대를 마무리하고 성산동으로 보금자리를 옮깁니다. 새 터전에서 희망제작소는 ‘모든 시민이 연구자인 시대’를 실현하려 합니다. 생활 현장을 실험실로 만들고, 그 현장에서 뿌리내리고 있는 시민이 연구자가 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2006년부터 2017년까지 수송동과 평창동에서 희망제작소는 여러 실험을 했고, 이를 통해 많은 시민을 만났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우리 사회의 어떤 요구에서 탄생했을까요?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시니어를 찾는 청년들

지난 9월 2일, 서울 사회혁신파크 피아노숲에서 <제4회 시니어드림페스티벌 결과공유회 – 마주보다, 공감하다>가 열렸습니다. 결과공유회에는 특별한 손님 세 분이 오셨는데요. 자칭 타칭 ‘시니어 덕후’인 김빛나, 한소정, 허새나 님이 그 주인공입니다. 세 분이 시니어와의 관계에 관심을 두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진솔한 이야기의 기록을 전합니다. 백희원 희망제작소 시민상상센터 연구원(이하 백희원) : 안녕하세요. 저는 시니어드림페스티벌을 기획, 진행한 희망제작소 백희원 연구원입니다. 오늘 토크콘서트에 시니어를 찾는 청년 세 분을 모셨는데요. 오늘 이 자리에서는 세 분이 어떻게 시니어와의 관계에 관심을 두게 되었는지, 관계를 통해 어떤 의미를 얻고 있는지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김빛나 : 나이 드는 데 관심이 많아서 시니어 덕후가 된 김빛나라고 합니다. 저는 사춘기 때 ‘도대체

#

[2017 시니어드림페스티벌] 마주보고 공감하는 축제의 장이 열리다

지난 9월 2일, 서울 사회혁신파크 피아노숲에서 가 열렸습니다. 이번 결과공유회는 ‘소통’이라는 주제에 맞춰 누구나 쉽게 참가할 수 있는 야외 공간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선선한 가을바람처럼 몸과 마음을 상쾌하게 했던 그 날의 현장 분위기를 전합니다. 나뭇잎 사이로 햇볕이 부서지는 화창한 토요일 오후, 시니어드림페스티벌 6개 참가팀은 99일 동안 진행한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부스를 열었습니다. 지난 2회 우승팀인 팀과 3회 우승팀 팀, 서부 50+ 커뮤니티 과 협동조합 , 등 다양한 초청 팀들도 함께해 자리를 더 풍성하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6개 프로젝트 체험해보기 아일랜드 민요를 연주하는 의 축하공연이 결과공유회의 시작을 흥겹게 알렸습니다. 주말을 맞아 나들이 나온 가족들과 세대공감에 관심을 가지고 찾아온 시민들로 현장은 금세 활기차게 붐비기 시작했습니다. 이날의

#

[최종참가자 발표] 제4회 시니어드림페스티벌

2017 세대공감 프로젝트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최종 선발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많은 분들께서 ‘일상에서 겪는 소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해주셨습니다. 모든 아이디어가 의미 있고 참신하여 선정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아이디어를 제안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4월 17일부터 5월 21일까지 웹사이트를 통해 청년(2~30대)과 시니어(40대 이상)의 아이디어를 제안 받았고, 공익성, 창의성, 실현가능성을 기준으로 공정한 심사를 거쳐 총 34분을 선발하였습니다. 다양한 세대로 구성된 참가자 분들은 앞으로 빛나는 아이디어를 더하고 나누는 3회의 워크숍을 거쳐,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10주 간 실행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 시니어드림페스티벌 최종 아이디어 선발자 명단(가나다 순/핸드폰 번호 뒤 4자리) 곽*호 7927 권*선 4167 권*희 1419 김*준 7939 김*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