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작은도서관

커뮤니티거점공간으로서 아파트작은도서관의
운영활성화 및 지속가능성 확립을 위한 방안

■ 요약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는 작은도서관을 의무설치하게 되어 있는 현행 주택법으로 인해, 아파트작은도서관은 가파른 증가세로 양적 성장을 이뤘다. 그러나 여전히 이 공간에 대한 주민의 이해와 지자체의 구체적인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다. 이에 희망제작소는 행복한아파트공동체 사업을 통해 확인한 커뮤니티거점공간으로서 아파트작은도서관의 잠재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아파트작은도서관의 운영활성화 및 지속가능성 확립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15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만들기
결과보고서

■ 제목 2015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주최 SH공사 ■ 주관 희망제작소 시민사업그룹 ■ 소개 도시의 지배적인 주거형태가 저층주택에서 아파트로 바뀌면서 이웃 간의 단절과 공동체성 결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2016년 희망제작소, 한겨레신문, SH공사, 자치구가 협력하여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아파트문화를 바꾸는 아파트공동체사업을 추진하였다. ■ 목차 01. 서론   1. 사업 개요 및 배경   2. 1,2차년도 평가 및 3차년도 사업 방향   3. 2015년 행아공 사업 내용 02. 현장조사   1. 조사개요   2. 조사결과   3. 결과분석 03. 사업실행   1. 교육프로그램: 작지만 아름다운 아파트작은도서관 희망학교 운영   2. 과제프로젝트   3. 행아공 컨퍼런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4. 행아공 네트워크 축제: 아파트작은도서관 다독다독 04. 사업평가 및

#

[오피니언] 아파트작은도서관과 함께 살맛나는 이웃관계를 만들려면

희망제작소는 SH공사, 한겨레 신문 등과 함께 진행한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결과를 공유하는 자리인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콘퍼런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를 개최했습니다. 아파트작은도서관이 아파트공동체의 거점공간으로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려움은 어떤 부분인지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던 자리였습니다. 천왕 연지2타운 글초롱도서관 최재희 관장님으로부터 아파트 작은도서관의 운영에서 입주자대표회의와 발생하는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천왕1,2지구에는 각 단지마다 1개씩 총 8개의 작은도서관이 운영 중이다. 아파트작은도서관 운영과 관련한 많은 이슈들이 있지만 아파트작은도서관운영에 큰 영향을 끼치는 외부적 요인을 꼽는다면 아마 입주자대표회의(혹은 공동주택대표회의)와 겪게 되는 갈등문제일 것이다. 도서관장 임명권한이나 도서관 프로그램 및 개관시간, 운영비와 관련한 문제가 주된 이슈이다. 모든 아파트작은도서관이 갈등을 겪는 것은 아니다.

#

아파트는 변하고 있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준비해 오신 글 말고 아파트작은도서관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어떤 일을 해 주실지 말씀해 주세요.” 희망제작소 권기태 부소장의 재치있는 사회로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만들기 사업(이하 행아공 사업) 콘퍼런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가 시작했습니다. 모두가 아파트공동체 사업이 어렵다고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이들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아파트공화국이라고 불리는 대한민국에서는, 아파트가 바뀌면 나라가?바뀌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니까요. 이번 콘퍼런스는 희망제작소가 SH공사, 한겨레신문 등과 함께 강서구 마곡지구, 구로구 천왕지구, 은평구 구파발지구에서 진행한 행아공 사업의 결과를 공유하고, 아파트작은도서관을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아파트작은도서관이 아파트공동체의 거점공간으로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려움은 없는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습니다. 아파트는 변하고 있다 ‘아파트에서 불어오는 공공의 바람’이라는 제목으로 콘퍼런스의 첫

#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콘퍼런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 제목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콘퍼런스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 지음 희망제작소 시민사업그룹 ■ 소개 희망제작소는 SH공사, 한겨레신문과 함께 구로, 마곡, 은평 지역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2015년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진행했다. 이 자료집은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만들기’ 사업 과정에서 확인한 공동체 거점공간으로서 아파트 작은도서관이 지닌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아파트 작은도서관에서 확보한 사회적 자본(주민 역량강화 및 네트워킹 등)이 아파트 공동체 형성으로 이어지기 위한 조건을 논의한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콘퍼런스-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을 만나다’ 콘퍼런스에서 발표한 내용을 담고 있다. ■ 목차 1.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만들기 사업소개 2. 지속가능한 아파트작은도서관을 위한 주민조직 이해와 관계 설정   – 박정숙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이사 3. 아파트공동체, 작은도서관에서 희망을 보다   –

#

[초대] 2015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콘퍼런스

아파트에서 공동체로 살아가는 것이 가능할까요? 희망제작소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2013년부터 ‘행복한 아파트공동체 만들기’사업을 SH공사와 한겨레와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아파트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습니다. 아파트공동체 거점공간으로서 작은도서관이 지닌 가능성과 과제는 무엇인지, 이 공간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함께 듣고 고민하는 시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