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주민참여예산
-
[2017 주민참여예산학교] 청년, 완주의 미래를 그리다
2011년 지방재정법 개정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후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데요. 희망제작소는 주민이 더욱 쉽게 제도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매해 각 지역 특성에 맞춘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 상반기에도 여러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진행했는데요. 함께한 지역의 이야기를 공유하려 합니다. 글은 총 세 […]
-
[2017 주민참여예산학교] 우리 지역의 행복을 위해 필요한 것은?
2011년 지방재정법 개정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후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데요. 희망제작소는 주민이 더욱 쉽게 제도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매해 각 지역 특성에 맞춘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 상반기에도 여러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진행했는데요. 함께한 지역의 이야기를 공유하려 합니다. 글은 총 세 […]
-
완주군, 주민참여 예산제 활성화 나서
교육은 관내 13개 읍면을 대표하는 지역 주민참여예산 위원을 비롯한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며 봉동, 구이, 고산 3개 읍면사무소에서 진행된다. 교육에서는 2018년 예산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 설명회와 함께 권기태 희망제작소 부소장이 강연자로 나서 주민참여예산의 의미와 이해를 사례중심으로 설명, 주민들의 이해를 돕는다고 밝혔다. […]
-
주민참여예산, 열린참여와 더 많은 권한 가능한가? –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주민시각으로 참여예산을 점검해 본 후 그 결과를 알리기 위해 – 잘 알려지지 않은 시흥시의 모범운영사례를 공유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 주민참여예산 2.0 제안 이전의 구체적 사례 제시 * Who! 어떤 분이 읽으면 좋을까요? […]
-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
열린 참여, 더 많은 권한■ 과업명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 열린 참여, 더 많은 권한 ■ 발주처 시흥시청 ■ 과업기간 2016. 11 ~ 2017. 01 ■ 과업목적 시흥시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5년 간 운영하며 제도 정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주민과 행정 모두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인식을 넓힐 […]
-
지방자치 거버넌스 모델과 과제
– 서울 성북구 사례를 중심으로개요 중앙집권적 국가구조에서 지방분권적 사회로 진행을 알렸던 지방자치가 1991년 부활해 민선5기를 맞고 있다.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행정운영체계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해지고 특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시민들의 참여를 확장시키고 지역자원을 연계시킨 협력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민선5기의 가장 큰 성과는 이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