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주민참여예산학교] 청년, 완주의 미래를 그리다 소식 2017.08.10 조회수 822 2011년 지방재정법 개정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후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데요. 희망제작소는 주민이 더욱 쉽게 제도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매해 각 지역 특성에 맞춘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 상반기에도 여러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진행했는데요. 함께한 지역의 이야기를 공유하려 합니다. 글은 총 세 번에 걸쳐 연재됩니다. 먼저, 주민의 사업제안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처음인 대구 중구와 충청북도(글 보기), 기존의 청년정책과 주민참여예산을 연계해 운영하려는 완주, 새롭게 분과를 변경해 제도 성숙을 꾀하는 시흥 등의 사례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완주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희망제작소는 그동안 완주군과 함께 커뮤니티비즈니스, 로컬푸드, 귀농·귀촌 등 지역자원을 바탕으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지역 자생 기반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 완주,주민참여,주민참여예산,주민참여예산학교,청년,후기
[2017 주민참여예산학교] 우리 지역의 행복을 위해 필요한 것은? 소식 2017.07.28 조회수 711 2011년 지방재정법 개정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후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데요. 희망제작소는 주민이 더욱 쉽게 제도를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매해 각 지역 특성에 맞춘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7년 상반기에도 여러 지역에서 주민참여예산학교를 진행했는데요. 함께한 지역의 이야기를 공유하려 합니다. 글은 총 세 번에 걸쳐 연재됩니다. 먼저, 주민의 사업제안으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처음인 대구 중구와 충청북도, 기존의 청년정책과 주민참여예산을 연계해 운영하려는 완주, 새롭게 분과를 변경해 제도 성숙을 꾀하는 시흥 등의 사례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대구 중구와 충청북도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대구 중구와 충청북도의 주민참여예산제도 대구 중구는 2008년 주민참여예산조례를 제정하고, 2015년부터는 주민 의견을 예산에 반영하여 편성해왔습니다. 하지만 주민이 직접 사업을 제안하는 것은 올해가 처음이라고 # 대구 중구,주민참여,주민참여예산,주민참여예산학교,충청북도,후기
완주군, 주민참여 예산제 활성화 나서 언론보도 2017.06.22 조회수 277 교육은 관내 13개 읍면을 대표하는 지역 주민참여예산 위원을 비롯한 일반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며 봉동, 구이, 고산 3개 읍면사무소에서 진행된다. 교육에서는 2018년 예산편성을 위한 주민참여예산 설명회와 함께 권기태 희망제작소 부소장이 강연자로 나서 주민참여예산의 의미와 이해를 사례중심으로 설명, 주민들의 이해를 돕는다고 밝혔다. * 기사 저작권 문제로 전문 게재가 불가합니다. 기사를 보기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기사보러 가기 # 완주군,주민참여,주민참여예산,지방분권,참여예산
주민참여예산, 열린참여와 더 많은 권한 가능한가? –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희망이슈 2017.02.28 조회수 801 * Why! 왜 이 주제를 선택했나요? – 주민시각으로 참여예산을 점검해 본 후 그 결과를 알리기 위해 – 잘 알려지지 않은 시흥시의 모범운영사례를 공유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 주민참여예산 2.0 제안 이전의 구체적 사례 제시 * Who! 어떤 분이 읽으면 좋을까요? – 주민참여예산 담당자(행정, 지역 활동가) – 주민참여예산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 * When! 언제 읽으면 좋을까요? – 참여예산 모범사례가 알고 싶을 때 – 주민의 더 많은 참여를 이끌고자 할 때 – 주민참여예산을 더 나은 방향으로 운영하고 싶을 때 * What! 읽으면 무엇을 얻을 수 있나요? – 주민시각으로 주민참여예산을 운영하고 점검하는 방법 – 주민참여예산의 장기적 운영 방향 – 주민권한을 확대하는 방법 (지역회의 운영사례) # 공론장,시흥,주민참여,주민참여예산,지역회의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열린 참여, 더 많은 권한 보고서 2017.01.31 조회수 463 ■ 과업명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 열린 참여, 더 많은 권한 ■ 발주처 시흥시청 ■ 과업기간 2016. 11 ~ 2017. 01 ■ 과업목적 시흥시는 주민참여예산제도를 5년 간 운영하며 제도 정착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주민과 행정 모두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인식을 넓힐 수 있었고, 지역회의와 참여예산위원회 등 안정적인 운영체계가 구축됐다.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 연구’에서는, 그간의 시흥시 성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를 활성화하고 참여민주주의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본다. ■ 목차 Ⅰ. 연구개요 Ⅱ.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한눈에 보기 – 간단하게 보는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 숫자로 보는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Ⅲ. 시흥시 주민참여예산 특징 – 참여 예산규모의 확대 – 매년 발전하는 제도 운영 – 기능별 분과회의 – # 공동체,시흥,역량강화,주민참여,주민참여예산
지방자치 거버넌스 모델과 과제 – 서울 성북구 사례를 중심으로 희망리포트 2013.05.15 조회수 1,954 개요 중앙집권적 국가구조에서 지방분권적 사회로 진행을 알렸던 지방자치가 1991년 부활해 민선5기를 맞고 있다.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행정운영체계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다양해지고 특화되고 있다. 무엇보다 시민들의 참여를 확장시키고 지역자원을 연계시킨 협력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민선5기의 가장 큰 성과는 이와 같은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권력과 제도의 민주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행정개념인 ‘거버넌스’로 표현된다. 민선5기 지방자치에서 가장 돋보이는 이슈인 거버넌스 구축의 모델을 찾아보고 분석하여 향후 지방자치의 발전과 완성을 위하여 어떤 과제를 제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성북구의 거버넌스 구축 사례를 통해 실질적으로 어떤 형태로 구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목차 1. 민선5기 서울 성북구 거버넌스 방향 2. 서울 성북구의 # 거버넌스,성북구,주민자치,주민참여예산,지방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