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친환경급식

사람이 행복한 강동

목민관클럽은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과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모인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모임입니다. 지방자치 현안 및 새로운 정책 이슈를 다루는 격월 정기포럼을 개최하며, 매월 정기포럼 후기 및 지방자치 소식을 담은 웹진을 발행합니다. 월 2회 진행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인터뷰를 통해 지방자치 현장의 생생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강동구는 한강의 최상류 동쪽에 위치한 곳이다. 가장 먼저 해를 맞이하는 곳이지만 과거 ‘변두리’라는 멍에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이를 벗어던지고 주거환경과 자족기능을 갖춘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다양한 정책이 실현되었고, 또 그만큼의 성과가 있었던 것은 ‘사람’과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중시했기 때문이다. 이해식 강동구청장을 만나 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나눠보았다.6천 년의 역사, 사람이 살기 좋은 곳 강동윤석인 희망제작소 소장(이하 윤) : 먼저

#

지역을 살리는 ‘친환경 급식’

희망제작소 뿌리센터는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울산 북구 친환경 급식 사회적기업 수익모델 발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울산 북구의 친환경급식을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건강한 지역 순환 경제 체제를 구상해 볼 수 있었는데요. 연구 결과를 2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울산 북구 친환경 급식 사회적기업 수익모델 발굴’을 위하여 울산 북구의 기초 자원현황과 지원현황을 조사하였습니다. 그리고 지역의 다양한 사회적기업과 시민단체, 복지단체, 친환경 급식과 관련된 업종에 종사하는 분들과 친환경 급식을 시행하는 학교 관계자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한 뒤 울산 북구의 장점과 약점, 기회요인과,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연계전략을 세웠습니다.울산은 제조업 중심의 남성 위주 노동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성별 취업률·실업률 격차가 큽니다. 남성의 취업률은 전국 평균 취업률보다

#

친환경 급식, 지역을 생각하다

  희망제작소 뿌리센터는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울산 북구 친환경 급식 사회적기업 수익모델 발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울산 북구의 친환경급식을 지원하는 사회적기업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고, 건강한 지역 순환 경제 체제를 구상해 볼 수 있었는데요. 연구 결과를 2회에 걸쳐 소개합니다. 이번 연구는 ‘친환경 급식’ 사회적기업 모델을 발굴하는 것으로 분야를 한정하여 진행되었습니다. 급식과 관련된 내용으로만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를 하다 보니 자료가 많지 않았습니다. 많은 고민 끝에 급식은 단순히 밥을 먹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경제와 매우 밀착되어 있으며, 친환경 급식은 더욱 로컬푸드와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친환경 급식을 통해 아이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때, 이왕이면 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식자재를 이용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