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10년 전, 2006년 1월의 일이다. 서울 용산의 삼성경제연구소 사무실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한겨레신문에 나온 박원순 변호사(現 서울시장)의 인터뷰 기사 때문이었다. ‘희망제작소’라는 이름의 실사구시적 독립 싱크탱크가 그해 3월 출범한다는 소식이 실린 기사였다. ‘정권이나 특정 기업 편에 서지 않는 연구를 해야 한다’고 기대감 섞인 주문을 하는 이들도 있었다. ‘월급은 얼마나 준대?’ ‘**원만 주면 가서 일하고 싶은데…’라는 말도 들렸다.
당시 나는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었다. 공교롭게도 그해는 삼성경제연구소가 세상에 이름을 알린 지 꼭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삼성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다가, 당시 특정 기업이 아니라 국민의 싱크탱크가 될 것을 자임하면서 국가 정책과 지역 정책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었다. 정부 부처, 국회,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그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을 때였다. 요즘 유행하는 동영상과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보고서를 처음으로 내놓고 인기를 끌고 있을 때이기도 했다. 당장 돈이 만들어지는 일이 아니었지만, 삼성은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해외 유수 대학 출신의 박사들을 포함해 많은 인재도 몰려들었다.
그런데도 목마름은 컸다. 연구결과물을 내놓을 때마다 삼성과의 관계, 기업 일반의 이익과의 관계를 신경 써야 했다. 정책보고서를 내놓을 때면 정부와 여당이 잘 받아들이도록 새로운 언어로 감수하고 윤문해야 하는 일이 잦았다. 경제 전망 보고서를 내놓을 때도 정부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을지 걱정해야 했다. 돈도 있었고, 인재도 모였고, 영향력도 커졌고, 대중적 인지도 역시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의 갈증은 컸다. 그날 연구소가 술렁였던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문제는 독립성이었다. 연구자들은 권력이나 자본의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오로지 시민의 이익만을 위해 정책을 연구하고 싶은 욕구가 컸다. 그래야 진정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이 나온다. 그 대목에서 희망제작소는 연구자들에게 희망을 줬다. 특정한 이해관계로부터 독립적인, 오로지 시민이 겪고 있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면 되는 싱크탱크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10년이 흘렀다. 2016년, 희망제작소는 열 돌을 맞게 됐다. 그리고 나는 이곳 희망제작소에 둥지를 틀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제 더는 국민을 향한 정책보고서를 내지 않는 곳이 됐다. 전략이 바뀌어 삼성 내부의 연구만 하게 되었단다. 독립적 싱크탱크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인 셈이다. 희망제작소는 10년 동안 독립적 싱크탱크의 길을 조용히 뚜벅뚜벅 걸어왔다. 그간 희망제작소가 해낸 일은 화려하다.
우선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을 통칭하는 사회적경제 개념을 들여와 확산시켰다. ‘희망별동대’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사회적기업가를 직접 키워내기도 했다. ‘소셜디자이너’를 양성하는 소셜디자이너스쿨을 열어 사회적경제 및 비영리 영역에서 활동하는 사회혁신가들을 배출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매우 작은 실험으로만 여겨지던 사회적경제는 한국사회 전체에 유행처럼 퍼졌다. ‘사회적기업지원법’과 ‘협동조합기본법’이 만들어져 사회적경제는 한국사회에서 법적 시민권을 얻었다. 그 틀을 종합하는 ‘사회적경제기본법’이 국회에 계류 중이기도 하다. 이제 웬만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사회적경제를 지원하는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어 전략적으로 이 영역을 육성하려 노력한다. 사회적경제에 매혹되어 뛰어드는 청년들도 꾸준히 늘고 있다.
마을공동체 개념을 들여온 것도 희망제작소가 한 일이다. 공동체가 해체되고 각자도생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한국사회에서, ‘마을’이라는 익숙하면서도 낯설어져 버린 키워드는 예기치 않은 폭발력을 보였다. 도시는 도시대로, 농촌은 농촌대로 마을공동체 개념을 각기 받아들였다. 또한,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자치활동은 점점 더 다양해지고 두터워지고 있다. 희망제작소가 제시한 주민자치와 풀뿌리 경제가 전국의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싹을 틔우려 하고 있다.
희망제작소는 은퇴자 문제에 처음부터 천착해서 ‘시니어 사회공헌’이라는 말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은퇴자들의 재능을 공익적인 곳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은퇴는 곧 휴식이라는 과거 평생직장 시대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뒤흔드는 이야기였다. ‘행복설계아카데미’를 통해 전파한 이런 이야기에 공감한 많은 은퇴자가 비영리기관 또는 사회적경제 영역에 진입했다. 시니어 사회공헌은 한국사회 전체의 은퇴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 정부는 ‘사회공헌 일자리’라는 개념의 정책을 도입했다. ‘인생이모작’을 지원하는 조직들이 많이 생겨났고,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관련 교육과 인큐베이팅에 나섰다. 은퇴자 교육에 사회공헌 관련 내용을 담으려는 기업도 생겼다.
지방자치단체, 특히 기초자치단체에 주목한 여러 정책제안활동도 한국사회의 풀뿌리를 강화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희망제작소 설립 당시만 해도 기초자치단체인 시군구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중앙정치가 지나치게 비대한 힘을 갖고 있어 모든 관심을 빨아들였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도 규모가 큰 광역단체 정도만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희망제작소는 기초자치단체들과 다양한 지역혁신 정책과제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국 곳곳에 혁신적 기초자치단체들이 생겨났다. 희망제작소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연구모임인 ‘목민관클럽’은, 혁신의 확산에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한 지역에서 혁신적 정책이 도입되면, 목민관클럽을 통해 순식간에 확산되고 있다.
구호로만 난무하던 ‘참여’를 ‘시민창안’이라는 개념을 통해 실질적 방법론으로 발전시킨 곳도 희망제작소다. 시민제안을 정책으로 만들어내는 단계부터 시작해, 시민참여를 통한 사회혁신 방법론을 차곡차곡 진화시켰다. 만들어진 방법론은, 시민 원탁토론을 통해 지역 현안에 대한 정책 대안을 도출하는 데 사용되었다. 전국적으로는, 세월호 이후 한국사회 안전을 높이기 위한 시민의 지혜를 모으는 ‘노란테이블’로 진화하기도 했다. 이제 시민참여를 주장하면서 실질적 방법론을 갖고 있지 않은 이들은 탁상공론만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형국이 됐다.
2016년 희망제작소는 열 돌을 맞는다. 영광의 10년 위에 무엇을 얹을지 고민이 되는 시점이다. 고민은 다면적이고 중층적이다. 여전히 미시적 해법이 중요하지만, 한국사회는 거시적 사회운용 틀이 너무 낡아 버려서 이 틀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고민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혁신가들과 현장 역시 여전히 중요하지만, 이들의 목소리를 더 많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일반적 패러다임으로 만들어야 더 큰 차원의 사회 혁신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 시대 독립적 싱크탱크에게 주어진 과제는 그만큼 다양한 것일지 모른다. 국가 의제에 대한 연구와 거시적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도, 현장 중심의 조사와 실천도, 지역과 시민을 직접 만나 생각을 전하는 일도 모두 필요하다. 이런 여러 가지 일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찾아내는 것이 10주년을 맞는 희망제작소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희망제작소는 ‘시민과 함께 사회혁신을 실천하는 Think & Do Tank’라는 슬로건에 가장 잘 맞는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 고민은 다양하지만, 관점은 오로지 하나다. 점점 정체되고 굳어져 가는 한국사회가 활력과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혁신적 대안을 더 효과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2016년 희망제작소가 스스로 던지는 질문이다.
귀를 열고 후원회원으로부터, 시민으로부터, 전문가로부터, 행정가와 정책전문가로부터 희망제작소에 대한 ‘희망’을 듣는 일이 희망제작소 상근자들이 다음 10년을 준비하는 일이다.
글_이원재(희망제작소 소장 / wonjae.lee@makehope.org)
Comments
“[칼럼] 희망제작소에 대한 ‘희망’을 들어야 할 때”에 대한 2개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