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제작소가 지금 우리사회의 아프고 뜨거운 이야기에 함께 귀기울이고 해법을 고민하는 특집 인터뷰 시리즈 ‘희망마이크-할 말 있소’를 시작합니다. 첫 희망마이크는 교육 현장을 찾아갑니다. 지난 7월 18일 서이초 교사가 극단적 선택을 한 뒤 군산, 용인, 대전에서도 교사들의 부고가 이어졌습니다. 무너져가는 교실을 바로 세우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현장 선생님들과 학부모, 전문가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서이초 선생님이 숨지고 ‘현장교사 정책 TF’가 구성됐습니다. 초등교사 커뮤니티 ‘인디스쿨’에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교육 현장의 문제를 진단하고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한 겁니다. 한 달여 만에 총 3만7천여 선생님을 대상으로 두 차례 설문 조사를 벌여서 아동학대 신고 관련 대응, 문제행동 지도, 민원처리 시스템 개선, 학교폭력 개선 방안 등을 아우르는, 300페이지짜리 ‘현장교원 정책 TF팀 연구보고서’를 내놨습니다.
서울 강서구 한 초등학교에서 6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선생님도 TF 참여 교사 중 한 사람입니다. 그는 대학 졸업 뒤 일반 직장을 다니다 교대에 입학했습니다. “출산하니 모든 아이들이 예뻐 보였기” 때문입니다. 8년차 교사인 그를 인터뷰한 지난 7일은 대전에서 악성 민원에 시달리던 선생님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소식이 전해진 날이었습니다. 이 소식을 접한 그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내가 지금까지 운이 좋아 살아남았구나. 언젠가 내 차례가 될 수도 있겠구나.”
두 달 동안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매주 거리에 모였습니다. 그만큼 쌓인 분노와 절망이 컸습니다. 놀란 국회는 교권회복 관련 4법 개정을 논의하고 있고, 교육부는 지난달 23일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 방안’을 내놨습니다. 교사들의 의견을 모아 교육 정책을 제안해온 ‘실천교육교사모임’의 12가지 요구 사항과 비슷한 방향입니다. 이제 뭔가 달라질까요? 전대원 실천교육교사모임 대변인은 법과 제도만으로는 안 된다고 말합니다. “교육부, 교육청, 교장이 변해야 합니다.” 21년차 고등학교 사회 교사인 그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우리 사회가 맞닥뜨린 문제를 시민과 함께 고민합니다. 이웃 공동체가, 공교육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나를 우리와 엮어주던 끈들이 느슨하거나 끊깁니다. 이러다간 모든 관계가 소비자, 판매자로 귀결될까 두렵습니다. 희망제작소는 이런 흐름에 맞섭니다. 함께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