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자치혁신 10년, 작지만 강한 정부

안녕하세요.

환절기에 건강 잘 챙기고 계시지요. 한가위가 다가오고 있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고향 방문 자제를 권고하고 있어 안부를 여쭙는 일이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지난 9월 10일과 11일 이틀에 걸쳐 열린 목민관클럽 창립 10주년 디지털 국제포럼에 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자치혁신 10년 대한민국의 희망을 그리다’를 주제로 시민참여와 직접 민주주의를 살펴보고, 코로나 시대의 미래 추세뿐 아니라 디지털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탐색했습니다. 더불어 지방소멸과 균형발전을 주제로 향후 자치혁신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토론했습니다.(라이브영상 보기)

▲ 목민관클럽 창립 10주년 디지털 국제포럼 현장

2010년 9월 7일 창립된 목민관클럽은 지방자치단체장과 함께 지역의 다양성에 기초한 맞춤형 정책을 개발하고, 소통하는 자치정부 협의체입니다. 지난 10년은 정부 혁신의 길을 개척해온 역사였습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창립된 목민관클럽은 자치분권, 균형발전, 그리고 주민의 삶의 질을 외면하는 중앙 정부의 행태와는 반대로 주민의 참여를 높이고,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를 함께 학습하고, 혁신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목민관클럽은 마을기업,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의 물길을 냈습니다. 데이터 행정, 지속가능발전, 에너지 전환, 평생교육, 주민자치 등 다양한 의제를 다룬 정기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처럼 목민관클럽은 중앙 집권에 맞서 지역의 특성에 맞게 자치의 원리를 구현하고, 시민의 힘을 지역혁신과 연결하는 데 공을 들였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속에서 ‘K-방역’이라 불릴 정도로 자치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주목 받았습니다.

목민관클럽이 지역혁신을 선도한 가운데 다양한 협의체와도 발맞추어 나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지방자치법에 근거해 설립된 전국사회연대경제지방정부협의회 활동뿐 아니라 석탄화력발전 투자를 지양하고,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는 탈석탄 금고 지정 선언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습니다. 또 주민자치의 근간인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의 실질화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목민관클럽은 자치정부와 시민의 관계에도 변화를 일구고 있습니다. ‘시민을 위해 일하는 정부’가 아니라 ‘시민과 함께하는 정부’로 뛰고 있습니다. 시민과 가장 가까운 자치정부로, 시민의 삶을 지키는 파수꾼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앙과 지방의 수직적 관계를 바꾸고, 지역과 지역 간 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창출했습니다. 목민관클럽의 시장·군수·구청장‧공직자의 헌신으로 이뤄진 지역혁신은 정부 혁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목민관클럽의 지난 10년을 돌아보니 다가오는 10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전환의 시기에 처해 있습니다. 양극화, 일자리, 기후 위기, 인구와 세대의 변화 등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들이 놓여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치정부는 한 사람 한 사람 인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드는 ‘휴먼뉴딜’, 지역과 사람을 잇는 ‘커뮤니티 뉴딜’, 기후위기를 넘어서는 ‘그린뉴딜’, 한반도 평화정착을 기반으로 포용적 협력을 만드는 ‘한반도 뉴딜’, 세계적 위기 속 평화와 번영을 만드는 ‘글로벌 뉴딜’에 함께 해야 합니다.

자치정부가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권한이 주어져야 합니다. 중앙정부가 모든 권한을 갖고, 지역이 따르는 방식으로는 위기를 극복할 수 없습니다. 위기는 공평하지 않습니다. 약자일수록 위기에 취약합니다. 권한이 적은 자치정부가 불평등을 겪지 않도록 대응해야 합니다. 이런 점에서 아직 부족함이 남아있지만, 국회에서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될지 주목해야 합니다. 32년 만에 추진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해 자치권 부족을 해소하고, 주민이 지역의 주인이 될 수 있어야 합니다.

혁신의 길을 만든 목민관클럽이 다가오는 미래에 문제 제기와 분산적 혁신을 넘어서 작지만 강한 정부, 시민의 힘을 키우는 정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정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희망제작소도 함께 힘을 모으겠습니다. 여러분도 내 삶을 지키는 자치정부 만들기에 힘을 북돋아 주시기 바랍니다.

희망제작소 소장
김제선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