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tegory/introduction/notice/, /category/introduction/recruit/, /category/activity/newletter/hopeinst-newsletter/ ?> [제116호 사회적경제리포트] 여럿이 함께하는 경제, 사회적경제 2014.12.29. 여럿이 함께하는 경제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다 덮을 때까지. 올 한해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사회적경제 리포트는 15년에 더 깊은 이야기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적경제센터 일동- [제115호 사회적경제리포트] 한 눈에 보는 당사자별 사회적 경제 핵심 이슈 2014.12.22. 한 눈에 보는 당사자별 사회적 경제 핵심 이슈 사회적 경제조직 CEO, COO, 인큐베이터, 정책전문가. 사회적 경제 핵심 플레이어들에게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사회적 경제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위한 과제들을 당사자별 핵심이슈를 통해 알아보자. 희망제작소정지영 2014년 사회적경제리포트 총정리 … [114호 사회적경제리포트] ‘배달의민족’은 협동조합으로 만들 수 없을까? 2014.12.15. ‘배달의민족’은 협동조합으로 만들 수 없을까?요즘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과 같은 플랫폼이 광고를 휩쓸고 있다. 편리하다는 의견 한편으로는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는 어떤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까? 지역 내 중소상공인과 배달종사자, 지역 소비자가 함께 만드는 플랫폼 … [113호 사회적경제리포트]사회적경제와 노동자의 협력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2014.12.08. 사회적경제와 노동자의 협력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 ‘정리해고’라는 유령이 한국사회를 배회하고 있다. 한 쪽에서는 정규직 과보호라는 논리를 들이대면서 노동조건의 하향평준화를 부추기고 있다. 비정규직 850만 시대. 더 이상의 노동유연화는 우리 사회를 파국으로 몰고 가는 지름길이다. 이 … [112호 사회적경제 리포트] 기본소득과 지역통화 2014.12.01. 기본소득과 지역통화_소득과 소비의 간극을 메우다 기본소득 제도를 중심으로 한 소득주도 성장론은 중요한 정책 담론이지만 그것만으로 충분하다 장담할 수 없다. 소득을 늘려도 소비하지 않는다면 경기는 제 자리일 것이고, 돈이 어디로 흘러가느냐에 따라 지역경제 상황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기 때 … [111호 사회적경제 리포트] 사회적금융 어디까지 왔니? 2014.11.24. 사회적금융 어디까지 왔니? 사회적 금융, 사회적 투자가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어 온지도 어느새 2년이 넘어간다. 그동안 우리의 발걸음은 어디까지 왔나? 현장에 발을 담고 있는 실무자로서 그동안의 변화와 과제 몇 가지를 짚어본다. 한국사회투자 김홍길 팀장 도시에서 삶과 복지의 공동체를 꿈꾸다 … 1 2 3 4 … 16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