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사다리포럼

[언론보도] 아파트 공동체·경비원 ‘상생고용 가이드’ 제작

서울시가 희망제작소와 함께 시내 공동주택 108개 단지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고용불안과 저임금, 열악한 근로환경에 노출돼 있는 경비원에 대한 상생고용 가이드인 ‘행복한 아파트 공동체를 위한 경비원 상생고용 가이드’를 제작해 이달 11일부터 서울시내 도서관, 공동주택 단지 등에 무료로 배포한다고 밝혔다. * 기사 저작권 문제로 전문 게재가 불가합니다. 기사를 보기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기사보러가기 

#

[언론보도] 청소노동자 정규직화, 다른 대학으로도 확대되길

대학 측과 청소노동자가 민간 싱크탱크인 희망제작소와 함께 2015년 10월부터 ‘사다리 포럼’에 참여해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청소노동자 등 대학 비정규직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경희대의 의지는 평가할 만하다. * 기사 저작권 문제로 전문 게재가 불가합니다. 기사를 보기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기사보러가기 

#

[2017 사다리포럼] 업무 차이는 있지만 사람 차별은 없는 사회

2017년 5월 29일, 2017년 사다리포럼 첫 공개토론이 열렸습니다. 이번 포럼은 최근 우리 사회 쟁점 중 하나인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법을 찾아보기 위해 개최되었는데요. 그 어느 때보다 열띤 이야기가 오갔던 현장의 분위기를 전합니다. 사다리포럼 홍보가 시작된 날, 한 통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제가 비정규직 당사자인데요. 관련 토론회가 열린다고 해서요. 포럼에 꼭 가고 싶어요.” 비정규직 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 현재 약 500만 명이 간접고용 비정규직으로 분류되며, 1천400만 명이 불안정노동층이라고 하는데요. 이중 정부지정 공공기관 인력의 비정규직 종사자는 14만4천205명으로, 공공기관 직원 3명 중 1명이(33.6%) 비정규직인 셈입니다. 우리 사회 막다른 일자리의 해법 모색을 위한 사다리포럼은,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2017년 주제로 선정하고 지난 1월 17일과

#

[언론보도] 다산콜센터 직원들은 어떻게 정규직이 되었나

최근 정규직화를 이뤄 주목받고 있는 서울시 ‘120다산콜센터’ 직원들은 어떤 경로를 거쳐 정규직이 됐을까? 29일 희망제작소 주최로 열린 ‘사다리 포럼-공공부문 비정규직 해결을 위한 현황과 과제’에서 정흥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다산콜센터 직원들이 정규직화된 배경으로 서울시가 콜센터의 공공성을 인지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 기사 저작권 문제로 전문 게재가 불가합니다. 기사를 보기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기사 보러가기 

#

2017 사다리포럼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현황과 과제

■ 제목 2017 사다리포럼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현황과 과제 ■ 지음 희망제작소 사회의제팀 ■ 소개 이 자료집은 2017년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에 관한 논의자료가 담겨있다. ■ 목차 발제 1. 새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정책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발제 2. 공공부문 외주용역 비정규직 고용구조 개선과 성과 (정흥준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 발제 3. 바람직한 공공부문 고용구조 (박준형 전국공공운수노조 정책실장) 초청토론 – 이정식(노사발전재단 사무총장) – 신철(전국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정책기획국장) ■ 펴낸 날 2017.05.29.

#

[초대] 2017 사다리포럼 – 공공부문 비정규직 해결을 위한 현황과 과제

2017 사다리포럼 첫 공개 토론에 시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요즘 우리 사회의 핫이슈,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비정규직 제로’ 사회를 만들기 위한 공공부문의 해법은 무엇일까요. 소통, 효율, 고용안정, 일자리… 남겨진 숙제를 풀기 위해 함께 논의할 때입니다. 우리 사회 비정규직 문제를 풀기 위한 희망제작소의 작은 노력에 시민 여러분께서 함께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