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사회혁신센터

희망제작소, 2018년에는 어떤 일을 하나요?

2018년 희망제작소는 시민 누구나 연구하고 대안을 만드는 ‘모든 시민이 연구자인 시대’를 기치로 내걸면서 조직개편을 단행했습니다. 이로써 경영기획실, 사회혁신센터, 이음센터, 일상센터, 뿌리센터 등 1실 4센터 체제가 되었는데요. 각 부서의 2018년 활동계획과 포부를 들어보았습니다. 희망제작소 전체 사업을 기획 · 조정하고 목민관클럽을 운영하는 경영기획실 경영기획실은 희망제작소 운영과 관련된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미래전략기획, ICT 기획, 인사·총무, 재무관리 등 희망제작소의 전반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합니다. 또한 혁신적인 지방자치 정책을 공유하고 협업하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모임인 목민관클럽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8년 희망제작소는 오랫동안 염원했던 보금자리 신사옥 ‘희망모울’을 마련했습니다. 희망모울은 연구원들의 단순한 사무공간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열린 연구 플랫폼이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경영기획실은 희망모울을 12년의 재단

#

지지고 볶으면서 어쨌든 잠깐 멈춤!
– 준형, 소영 띠동갑 인턴의 평행이론

서른 둘 조준형은 뿌리센터의 인턴이다. 경남 하동에서 상경해 스물아홉 살까지 대학을 다녔다. 졸업은 늦었지만 남들이 부러워하는 금융권 대기업을 4년간 멀쩡히 다니다가 올해 회사를 박차고 나왔다. 4년 만에 주어진 자유 시간, 6주간 아프리카 케냐에 봉사활동을 다녀왔다. 귀국해 돌아오니 가을이었고 희망제작소 늦깎이 인턴이 되었다. 사회혁신센터 인턴 원소영은 스무 살이다. 아직 ‘청춘’이라는 단어가 지칭하는 범주에 들어있는 희망인턴들도 부러워하는 가장 푸르른 나이다. 올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아직 대학은 가지 않았다. 살면서 처음 맛본 자유로움을 누리다가 한번 써본 희망제작소 인턴에 덜컥 합격했다. 2014년 10월 6일. 34기 희망인턴은 활동 시작 3주 만에 비로소 11명의 완전체가 되었다. 11명 모두 각자 그려온 삶의 궤적이 다르다. 가장 긴 궤적을 그려온

#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끝난 줄 알았죠?

‘IT기술로 우리 사회를 바꾸는 사람들’하면 누가 떠오르나요? 전 말이죠… 36시간의 낮과 밤을 활활 태워 앱과 웹사이트를 쑥쑥 만들어낸다는 신통방통한 S…모 캠프가 문득 떠오르네요. 희망제작소가 아시아 최초로 시작하여 4년 동안 25개의 앱과 웹사이트를 탄생시키고,  240명의 소셜이노베이터들을 발굴한 그 캠프말입니다. 감 잡으셨나요? 네? 저기서 “소…” 뭐라고 말씀하신 분, 네네 맞습니다! 바로 사회혁신과 IT기술의 만남으로 유명한 세상을 바꾸는 36시간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이요!  (자문자답하려니 땀 나네요. 흠흠흠 -_-;; ) 벌써 아련한 추억이 된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이하SI캠프36)의 시작을 떠올리려면,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던 7월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3단계 캠프’로 새로운 시도를 했는데요. 36시간 동안 작업하는 ‘본 캠프’를 중심으로 사전 개발이 이루어지는 ‘pre캠프’와 사후 개발기간인 ‘post캠프’로 구성한 것이죠. 지난

#

[모집 연장] 30기 희망제작소 인턴

희망제작소는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실사구시 정책과 다양한 사회혁신 방법론을 연구 실행하는 민간싱크탱크입니다.희망제작소의 가치와 정신을 기반으로 꿈과 열정을 펼칠 30기 인턴을 모집합니다.

#

[보도자료] 희망제작소-다음세대재단, ‘2013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개최

희망제작소-다음세대재단, ‘2013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개최 36시간 동안 쉬지 않고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당신의 아이디어를 웹?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7월 15일~8월 4일까지 시민 아이디어 및 참가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등) 모집 ◇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에서 9월 27일 자정부터 36시간 동안 진행 ◇ ‘아이디어 모집 ? 숙성 ? 개발 캠프 ? 사후 캠프 ? 연말 결과 공유 파티’로 대회 완성도 강화 ◇ 크리에이티브커먼즈코리아 (Creative Commons Korea), 사단법인 마을,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 국내 시민사회단체와 협업 (재)희망제작소 (http://makehope.org)와 다음세대재단 (http://daumfoundation.org)은 사회변화를 위한 시민의 공익 아이디어를 웹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구현하는 ‘2013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Social Innovation Camp 36)’을 개최한다. 2008년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소셜이노베이션캠프’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