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소셜픽션

소셜픽션 : 지금 세계는 무엇을 상상하고 있는가

요즘 어떤 책 읽으세요? 희망제작소 연구원들이 여러분과 같이 읽고, 같이 이야기 나누고 싶은 책을 소개합니다. 그 책은 오래된 책일 수도 있고, 흥미로운 세상살이가 담겨 있을 수도 있고, 절판되어 도서관에서나 볼 수 있는 책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으시다면, 같이 볼까요? 열아홉 번째 책 <소셜픽션: 지금 세계는 무엇을 상상하고 있는가> 케인스가 대공황의 한복판에서 100년 후 세상을 상상한 까닭은? 불안하고 답답한 시대다. 미래를 떠올리면 가슴이 벅차오르는 대신 숨이 턱턱 막힌다는 반응이 나온다. 무언가 열심히 하고 있지만 제대로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한다.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 수 없다는 이야기다. 청년들은 기성세대의 경직성을 탓한다. 기성세대는 청년들의 의욕부족을 탓한다. 사회는 뒷걸음질 치는 것 같지만, 딱히 거세게

#

[9월 감사의 식탁 / 후기] 광주에 부는 꽃 같은 변화의 바람

9월 감사의 식탁은 광주에서 펼쳤습니다. 민주화의 상징, 광주 금남로에서 만난 광주, 전남의 후원회원들은 새로운 변화를 꿈꾸는 열정이 넘치는 분들이었습니다. 지역에서 활동하고 계셔서인지 광주의 이모저모를 잘 아시고, 광주 청년들의 혁신활동 플랫폼인 광주청년센터와도 이미 연을 맺고 계신 분들도 있으셨지요. 터를 잡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부터 이제 막 꿈꾸기 시작한 청년들까지 한데 모여, 광주와 전남의 시시콜콜하지만 새로운 변화를 위해 꼭 필요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광주청년센터 the숲에 모여 같이 식사하면서 서로 인사 나누고, 소셜픽션 콘퍼런스를 시작했습니다. 김산 님의 도움으로 후원회원과 지역 청년들이 ‘나와 우리, 광주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그려보았습니다. 모임 전 사전 설문에서 30년 후 어떤 것을 같이 상상해보고 싶은지 미리 의견을 모았고, 그 중에서

#

[9월 감사의 식탁 / 공지] 광주?전남 지역 후원회원님, 환영합니다!

9월 감사의 식탁은 이른 가을을 맞이하는 설렘을 안고 광주로 찾아 갑니다. 2015년 광주에서 어떤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을까요? 희망제작소 후원회원과 지역의 청년들이 모여 30년 후 광주의 미래를 상상하며 새로운 변화를 꿈꿉니다.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묻고 듣고 그려보는 자리 나와 우리, 광주와 대한민국을 상상하는 소셜픽션 콘퍼런스에 초대합니다.

#

새로운 심장을 찾아 모인 사람들

지난 5월 30일부터 6월 20일까지 제7기 퇴근후Let’s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교육의 수강생 서경미 님께서 총 6번에 걸쳐 진행된 강의 스케치와 소감문을 보내주셨습니다. 5월 30일 토요일 봄비와 함께 만나다 낮부터 상쾌한 봄비가 내렸다. 반팔에 반바지를 입은 편안한 옷차림의 30~40대 직장인들이 스페이스 노아로 하나둘 모이기 시작했다. 호기심 반 어색함 반인 마음으로 멀뚱히 앉아 있으니 ‘내가 여기 오길 잘한 것일까?’라는 뒤늦은 고민이 밀려왔다. 설렘과 긴장으로 온몸이 저릿저릿해질 때쯤 허보나 연구원이 퇴근후Let’s 7기의 시작을 알렸다. 김성겸 강사의 진행으로 자기소개가 시작되었다. 각자 소중한 추억이 깃든 물건을 소개하며 자연스럽게 본인의 이야기도 풀어놓았다. 어떤 이는 노래로 어떤 이는 솔직한 자기 고백으로 자기소개를 했다. 수강생들은 따뜻한 격려의 박수와

#

미안해하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이원재입니다. 오랜만에 밤이 깊어질 때까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0대 중반의 법학도들과 함께였습니다. 실력이 있으면서도 맑고 곧은 청년들이었습니다. 정의롭고 공정하지 못한 사회에 대한 분노도 깊었지만, 자신이 앞으로 경제적으로 잘 생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도 깊었습니다. 역시 먹고 살 걱정은 다른 고민을 모두 압도했습니다. 자정을 넘어서자 이들의 분노는 베이비붐 세대를 향했습니다. 지금 한국 사회를 이끌고 있는 50~60대가 밉다고 했습니다. 사회를 이렇게 불공정하게 만들어 놓고는, 누릴 것은 다 누린 세대라고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러면서도 어려운 가운데 자신을 키워주신 부모님을 보면 감사하고 안쓰럽다고 합니다. 베이비붐 세대의 대학진학률은 30%도 되지 않고, 50~60대 소득불평등도가 20대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을 알려주니 고개를 끄덕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진 사람이 더 갖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