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아파트

2017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제목 2017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주최 서울주택도시공사 ■ 주관 희망제작소 ■ 소개 도시의 지배적인 주거형태가 아파트로 바뀌면서 이웃 간의 단절과 공동체성 결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2017년 희망제작소, 한겨레신문, 서울주택도시공사가 협력하여 단지 주민들의 일상을 변화시키는 주민주도의 아파트공동체사업을 추진하였다. ■ 목차 01. 서론   1. 사업개요 및 배경   2. 2017 행아공 사업 내용 02. 현장조사   1. 조사개요   2. 대상지 선발   3. 프로그램 기획 시사점 03. 프로그램 운영   1. 단지별 프로그램 운영(6개단지) 04. 사업평가 및 시사점   1. 2017 사업 요약   2. 사업평가   3. 사업 추진단계별 시사점 05. 종합제언   1. 입주시기별 지원방안   2. 주체 및 주체별 지원방안 06. 부록   1.

#

[아파트는 OO이다?] 주공 아파트 키드의 기억

지난 수십 년 간, 도시개발 과정에서 한국 도시의 주요 주거형태는 주택에서 아파트로 바뀌어 왔습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택 유형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9.9%에 달한다는데요. 10명 중 6명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희망제작소 연구원들이 우리 사회에서 아파트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지난 1편(엄마의 평생소원, 아파트에 사는 것)에서는 아파트를 향한 사람들의 높은 관심과 욕망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2편에서는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아파트 키드'(Apartment Kid)의 목소리를 들어보기로 했습니다. 글은 총 4회에 걸쳐 연재됩니다. [기획연재] 아파트는 OO이다? : ② 향수 – 주공 아파트 키드의 기억 #1. 1990년대의 기억 열한 살 때 담임선생님은 자칭 시인이었다. “안타깝지만 이 삭막한 시멘트 도시에서 자라는 너희들은 시골 아이들의 감수성을

#

[아파트는 OO이다?] 엄마의 평생소원, 아파트에 사는 것

지난 수십 년 간, 도시개발 과정에서 한국 도시의 주요 주거형태는 주택에서 아파트로 바뀌어 왔습니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택 유형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9.9%에 달한다는데요. 10명 중 6명이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 아파트는 ‘주거’ 이외에도 ‘투자’ 즉 ‘재산증식’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 ‘아파트’라는 단어를 검색해보기만 해도, 아파트 분양일정과 거래가격 정보를 향한 사람들의 관심이 드러납니다. 압축성장의 산물, 재산증식과 투자 상품으로 아파트의 가치는 날마다 상승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를 향한 사람들의 높은 관심 혹은 욕망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된 걸까요? 아파트는 분명 사는 곳(Living)인데 왜 사는 것(Buying)의 정보만 넘쳐날까요? 희망제작소 연구원들이 우리 사회에서 아파트가 어떤 의미인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글은 총 4회에 걸쳐 연재됩니다. [기획연재] 아파트는

#

2016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제목 2016 주민참여형 행복한아파트공동체 만들기 결과보고서 ■ 주최 서울주택도시공사 ■ 주관 희망제작소 ■ 소개 도시의 지배적인 주거형태가 아파트로 바뀌면서 이웃 간의 단절과 공동체성 결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2016년 희망제작소, 한겨레신문, 서울주택도시공사가 협력하여 아파트공동체 형성을 위한 다양한 주체(입주민, 공동체활성화단체, 동대표, 관리주체)의 교육 및 프로젝트 활동을 추진하였다. ■ 목차 01. 서론   1. 사업개요 및 배경   2. 2016 행아공 사업 내용 02. 사업실행   1. 유휴공간 활용 커뮤니티디자인   2. 아파트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지원   3. 임차인동대표 공공성 함양 교육   4. 관리소장 역량강화 교육 03. 사업평가 및 시사점 04. 종합제언 :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제언 ■ 펴낸 날 2017.02.28

#

[초대] 아파트 경비노동자 고용문제 해법을 찾는 ‘사다리포럼’

등잔 밑이 어둡다? 열악한 노동조건과 고용불안의 현장 바로 우리 아파트일지 모릅니다. 아파트 경비원들이 웃음 짓는 아파트, 입주민들에게도 웃음이 번지는 아파트가 될 수는 없을까요? 아파트 경비노동자의 고용문제 해법을 찾는 사다리포럼에 참석하셔서 함께 공론의 장을 열어주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