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일, 공정한 노동] 좋은 일이 많은 사회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소식 2016.12.27 조회수 1,318 [좋은 일, 공정한 노동] ⑰ 좋은 일이 많은 사회를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좋은 일이 많은 사회를 만들어 간다는 건 결국 시민의 권리,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일이네요.” 희망제작소가 2016년 12월 3일 오후 서울시NPO지원센터에서 열린 ‘좋은 일 기준 찾기 릴레이 워크숍-나의 일 이야기’를 마칠 때쯤 한 참가자가 남긴 말이다. 이 워크숍은 일 전환을 모색 중이 40~60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희망제작소가 자체 제작한 보드게임 ‘나에게 좋은 일’를 통해서 각자가 추구하는 좋은 일의 유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고, 이어서 팀 단위 협력게임인 2부를 통해서 좋은 일이 많아질 수 있도록 사회적 토대를 높이는 방법들을 함께 모색했다. >4060 워크숍 보드게임 진행 결과 보기 워크숍의 두 번째 # 근로계약서,사회보장,실업수당,야근,좋은일공정한노동
[아이디어 공모] 야근, 행복하게 할 수 있을까? 소식 2012.05.02 조회수 4,673 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는 TBS FM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 와 함께 매주 수요일 ‘세상을 바꾸는 시민 아이디어’ 코너를 진행합니다. 이 코너는 사회를 위한 공익적 아이디어를 상상하고 제안하는 ‘사회창안’에 대해 소개하며, 기존 시민 아이디어 제안 사례도 알아보고 새로운 주제에 대해 시민들이 직접 아이디어를 접수하도록 독려하는 시민참여형 코너입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오전 8시30분 FM 95.1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이번 한 주간 시민 여러분과 함께 상상해볼 주제는 야근입니다.OECD에서 50주년 기념으로 가입국가 국민들의 삶과 행복에 대한 조사를 해본 결과, 한국인들은 OECD 가입국 평균 노동시간인 1739시간보다 훨씬 많은 연 2256시간 일한다고 합니다. ‘월화수목금금금, 칼퇴근’ 등의 단어는 야근이 자연스러운 한국 사회 근로자들의 현실을 반영해줍니다. 어떻게 # OECD,TBS,노동,사회창안,송정애,시민,아이디어,야근,행복지수,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