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내가 광주 동구에 기부하고 싶은 이유 소식 2023.08.04 조회수 244 박지호 전환정책센터 연구원이 광주 동구에 기부하고 싶은 까닭은? 고향사랑기부제 시행 1년을 살펴봅니다. # 고향사랑기부제,광주,일본,지역소멸
아시아 사회혁신 현장 셋 소식 2023.04.19 조회수 192 파키스탄, 필리핀에는 가난한 여성들이 작은 사업을 시작할 수 있도록 종잣돈을 빌려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일본에선 노인복지시설과 기업이 손잡아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 사회혁신,일본,파키스탄,필리핀
사회혁신 활동 촉진을 위한 플랫폼 구축 방향 – 유럽, 핀란드,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희망이슈 2020.01.23 조회수 2,855 유럽, 핀란드, 일본의 플랫폼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 사회혁신,시민참여,일본,플랫폼,핀란드
[세계는 지금] 일본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 정책 소식 2017.11.16 조회수 1,370 일본은 잦은 자연재난의 경험을 통해 탄탄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해왔습니다. 또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안전한 에너지 생산을 위해 ‘분산형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을 장려하고 있는데요. 지난 9월 희망제작소는 안신숙 일본 주재 객원연구위원, 전국의 공무원 27명과 함께 일본 교토시, 고베시, 아와지 섬 등지를 방문하여 일본의 재난관리 체계와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을 학습하고 왔습니다.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겪으며, 원자력 발전 중심의 중앙집중적 전력 생산시스템의 문제를 깨달았습니다. 이에 2013년 4월, ‘전력시스템에 관한 개혁 방침’을 발표하면서 단계적인 전력시스템 개혁을 시도하였는데요. 그 일환으로 일본 정부 총무성은 ‘분산형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를 통해 전력시스템의 개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평상시에는 안전한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 마을만들기,시민참여,일본,재생에너지,지속가능
[세계는 지금] 일본은 재난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 소식 2017.11.01 조회수 7,376 일본은 잦은 자연재난의 경험을 통해 탄탄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해왔습니다. 또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안전한 에너지 생산을 위해 ‘분산형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을 장려하고 있는데요. 지난 9월 희망제작소는 안신숙 일본 주재 객원연구위원, 전국의 공무원 27명과 함께 일본 교토시, 고베시, 아와지 섬 등지를 방문하여 일본의 재난관리 체계와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을 학습하고 왔습니다.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과 신체, 재산, 국가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원인과 성격에 따라 자연재난, 인적재난, 국가기반재난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인적재난은 인간의 노력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태풍이나 지진과 같은 자연재난은 우리의 힘으로 어찌할 도리가 없어 받아들여야 할 때도 많은데요. 일본은 그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재난을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교토시 방재(防災)의 사령탑, ‘방재위기관리실’ 일본은 1961년에 # 시민참여,일본,재난,재난대응,재해복구,협력
[카드뉴스] 재난, 더는 남의 일이 아니다! 소식 2017.10.11 조회수 560 지진, 해일 등 수차례 대규모 재난을 겪은 일본. 일본은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탄탄한 대응체계를 만들어 왔는데요. 일본 방재의 핵심 키워드를 카드뉴스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제37호 희망이슈 ‘민관협력적 재난관리의 필요성’에서 재난에 보다 잘 대응할 수 있는 더 많은 방법을 찾아보세요! # 메르스,민관협력,방재,세월호,일본,재난,재난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