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먹는 부동산이 필요하다

오늘날 부동산과 건설업은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데에 중차대한 열쇠를 쥐고 있다. OECD 국가들에 국한해서 보아도 온실가스의 30% 가 주거 및 산업 건물들에서 방출되고 있다고 한다. 

그런만큼 이제는 건축물도 친환경, 친생태의 관점을 중요시할 필요성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이를 위해 친환경적인 건물과 그렇지 않은 건물을 구분하고, 전자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공신력 있는 인증을 해 보다 높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_1C|1011642059.jpg|width=”450″ height=”299″ alt=”사용자 삽입 이미지”|_##]                      독일 프라이부르크의 솔라타워. 건물 외벽을 통해 태양열 발전을 한다. (http://www.flickr.com/photos/tillwe)

독일의 한 조사는 친환경 건물과 그들이 형성하는 부동산 시장이 향후 매우 높은 부가가치를 동반할 것이라는 결과를 내놓았다.
조사기관인 롤란드 베르거가 행한 ‘자연 친화적 건물 경영 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건축업자의 70%는 “자연 친화적 건축을 위해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 건축업자, 투자가 그리고 임차인의 70% 이상이 “평균 9%까지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감내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가치관을 반영해 친환경 건물의 공급이 활성화될 경우, 독일 부동산 시장에는 약 130억 유로의 추가 투자가치가 창출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고 한다.  이와 함께 독일에서 지금까지 주로 생산 요인으로만 파악되어 왔던 건설산업이 앞으로는 점점 더 장기적인 금융재원으로 인식되어 가는 경향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친환경 건물의 건설과 매매 활성화는 기획자부터  건설사업자, 임대인 및 경영업자에 이르기까지 가치 창출고리의 전 단계에 걸쳐 모든 경제 참여자에게 거대한 재정 창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말이다.

독일 뿐 아니다. 오스트리아의 경우도 이러한 인식은 강하다. 롤란드 베르거사의 전문가들은 환경친화적 건물의 잠재된 투자성을 약 13억 유로로 추산하고 있고, 임대시장의 경향도 이와 비슷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응답자들도 평균 4.5%의 비용 인상을 감안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이 중 4분의 1은 나아가 ‘환경친화 부담금’이 에너지 절약분 보다 높다 해도 감안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다.

한편, 이 조사는 현재 행해지고 있는 소위 ‘환경친화 건축물 인증서’에 대해서는 응답자들이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태도를 표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생태친화성을 측량해서 굳이 유리한 점이 없을 뿐 더러, 지나치게 다양한 인증제도가 존재함에 따라 신뢰성이 떨어져 금융계에서도 그것을 받아들이기 꺼려한다는 데 있다.

‘에너지 및 친환경 디자인 리더십(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LEED)’, ‘지속가능한 건축을 위한 독일의 상품인증(Deutsche G?tesiegel f?r Nachhaltiges Bauen: DGNB)’ 등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친화 건축물 인증제도들인데, 응답자들은 이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세 가지 불만사항을 지적했다.

첫째, 자연 친화적인 측면에 지나치게 일방적으로 치우치고 있으며, 경제적인 차원은 뒷전에 있다는 점. 둘째, 인증서의 발행 절차에 드는 비용 문제. 그리고 셋째,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량과 같은 수치만으로도 건물의 환경친화성에 대한 유추가 어느 정도 가능한 상태라는 점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은 생태친화 건축물 인증서가 일종의 가치 촉진제로서 부동산 시장에서 그 역할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머지 않아 부동산 시장에 친생태, 친환경적인 관점을 반영해 만들어진, 보다 적극적인 규제장치들이 도입될 여지가 높다고 예상된다.

그 결과 하나의 고급상품으로서 친환경 주택이 부동산 시장에 나와 높은 부가가치를 갖고 매매될 수 있겠지만, 시장논리에만 기대게 되면 친환경의 가치가 부유층만이 누리는 특권에 머물고만다.

건설산업 전반에 친환경적 요소들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하고, 그러한 결과의 혜택이 서민 거주자에게도 돌아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베를린=희망제작소 박명준 객원연구위원 (mj.park@makehope.org)

* 본 글은 독일어권의 인터넷 대안언론 글로컬리스트(Glocalist)의 4월 1일자 기사를 참조해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기사는 독일 마인츠에 거주하는 현경애 님이 재능기부를 통해 번역해주셨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기사 원문 바로가기

유럽희망통신은 유럽 주요 국가의 시민사회ㆍ사회적기업ㆍ사회자본ㆍ싱크탱크들이 추구하는 사회혁신 실천사례를 소개합니다. 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들의 소식에 중점을 두고, 부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유럽의 움직임이 보인다!  유럽희망통신 목록 바로가기

Comments

“탄소 먹는 부동산이 필요하다”에 대한 2개의 응답

  1. 좋은 글 고맙습니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에 대한 조사결과 내용 의미 높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도 중앙정부 여러부서(지경부, 국토부, 환경부), 지방자치단체(서울시 등)이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너무 난립한 문제가 지적되고 있구요.

    에너지소비량만 보면, 건물의 친환경성이 나타난다는말 정말 옳습니다.
    물론 다른 요소들을 모두 무시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인증비용 등을 생각할 때…
    어떤 것이 효율적인 제도인지, 어떤 방식이 친환경기술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2. 시드 아바타
    시드

    잘 읽었습니다..
    그린 빌딩 관련한 다른 글이 있는지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