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가 뭔가요?
요즘 기업들이 앞다퉈 외치고 있는 ‘ESG경영’의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첫 글자를 줄인 말입니다. 투자자들은 그동안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할 때 자산이나 부채, 수익과 비용 등 재무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데에만 관심을 두었는데요. 수익 극대화에만 관심을 두니 기업들이 환경을 훼손하거나, 노동을 착취하거나, 탈세나 불법적인 행위들을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은 재무적 요소뿐만 아니라 기업활동이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발전에 기여하는지, 경영은 투명한지 등 비재무적인 요소들을 평가하기 시작했는데, 이때 평가의 지표가 되는 것이 ESG입니다. 기업들은 지속적인 투자를 받기 위해 ESG 지표에 맞추어 경영하기 시작한 것이죠.
최근 기후 위기 문제가 현실화하면서 ESG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전 세계적인 흐름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완제품을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완제품에 들어가는 부품 혹은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까지 ESG경영을 요구받는 시대입니다.
ESG경영에서 ESG행정으로
ESG경영이 사회적 화두로 대두되자 지방정부에서도 ‘ESG행정’을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서울 성동구나 광명시에서는 지방정부 차원의 ESG 지표를 개발하고 이행체계를 구축하고 있는데요. 투자수익만을 극대화하던 기업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해 환경과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겠다는 ESG경영은 이해하겠는데, 행정은 왜 ESG를 이야기할까요?
무엇보다 수출에 의존하는 국내 경제의 특성상 ESG경영으로 시급히 전환해야 하는 기업들, 특히 정보나 자원이 부족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ESG경영을 지원하는 일이 시급하기 때문입니다. 수출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모든 기업이 ESG를 경영 비전으로 수립하고 실천해 나간다면 우리 사회의 환경, 노동, 인권, 투명성 등이 그만큼 더 높아지고, 삶의 질도 높아지겠지요.
둘째는 지방정부의 비전과 행정체계를 ESG에 맞추어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인데요. 지방정부가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공하는 교육, 의료, 복지 등의 공공서비스를 비롯한 행정 전반에 ESG지표를 활용하는 겁니다.
정부가 제시한 K-ESG 가이드라인을 참고하면, 환경(E) 분야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사용량, 폐기물 배출량, 용수사용량은 줄이고 공원 및 녹지 비율을 늘리는 방향으로 행정을 시행하게 됩니다. 사회(S) 분야에서는 여성과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계층의 고용률 향상, 문화시설 확충, 범죄발생 건수 감소, 인권정책수립 등을 지표로 설정합니다. 지배구조(G)에서는 거버넌스 관점에서 주민참여 예산사업 및 규모의 확대, 주민참여 제도의 운영, 청렴도 지수 등을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ESG행정은 이렇게 ESG지표를 기준으로 행정서비스를 체계화하고, 매년 이행 정도를 점검하게 됩니다. 즉, 행정서비스를 환경과 사회 가치,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게 되는 것이지요. ESG경영이 기업활동으로 파생되는 ESG 분야의 위험요소를 관리하는 것이라면, ESG행정은 행정서비스를 국민의 행복, 삶의 질을 더 높이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수단인 셈입니다.
ESG 가계부 만들어볼까?
2004년 유엔과 스위스 외교부가 공동으로 만든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ESG개념은 1972년 로마클럽에서 발간한 ‘성장의 한계’ 보고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자원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지구 용량이 한계에 달하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필요성을 제기하였습니다. 이후 환경위기에 대한 국제사회 대응이 본격화하면서 2015년에 파리기후협약 채택, UN총회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의결까지 왔는데요.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ESG는 정부기구 중심의 SDGs와 함께 당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수단입니다.
ESG는 기업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나 가족 단위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가족 단위의 ESG가계부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환경(E) 지표로는 전기나 가스, 물 사용량 줄이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등이 있을 것입니다. 사회(S) 지표로는 도서관 이용 횟수 및 영화관람 횟수, 자원봉사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고, 거버넌스(G) 지표로는 가족회의나 가족이 함께 식사하기 등을 지표로 설정해볼 수 있겠습니다.
기후 위기가 현실로 다가온 지금, 지구 용량을 생각하며 제한된 자원과 에너지를 아껴 쓰고, 탄소배출을 줄이며,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ESG는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가 모두 실천해야 할 약속입니다.
* 글: 송정복 자치분권팀 팀장 | wolstar@makehop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