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혁신 둘러보기 후기 2011.12.09 조회수 3,169 2011년 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는 우리 사회의 변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와 실험을 ‘사회혁신’이라는 개념 아래 살펴보고 이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한국 사회혁신 사례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아직 사회혁신(social innovation, 소셜 이노베이션)이라는 용어의 명확한 학문적 이론이나 정의는 정립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통용되어 온 사회혁신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영국의 싱크탱크 영 파운데이션(Young foundation)이 정의하는 사회혁신입니다. “사회혁신이란 (대안적이이기보다는 더 효율적인) 사회적 필요와 요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새로운 사회적 관계나 협력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아이디어들(생산물, 서비스 모델)이다.” (영 파운데이션, 2010) 예를 들어 빈민층을 대상으로 소액 무담보 대출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사회적 서비스를 실시해 고질적인 빈곤 문제의 해결을 꾀한 방글라데시 그라민 은행의 활동도 사회혁신의 좋은 사례입니다. # ANIS,그라민은행,사회혁신,사회혁신센터,아시아,영파운데이션
사회혁신 탐구생활 후기 2010.04.13 조회수 24,370 6기 소셜디자이너스쿨 현장 중계 ② 소셜디자이너스쿨(SDS) 개강 워크숍 두번째 시간에는 희망제작소 사회혁신센터 김이혜연 연구원의 강연이 이어졌습니다. 사회혁신이란 무엇일까요?? 김이혜연 연구원은 사회혁신의 다양한 범주와 사례들을 통해 설명을 이어갔습니다. 사회혁신이란? 사회혁신은 오늘날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들을 여러 섹터 간의 ‘협력’을 통해서 보다 의미 있는 ‘시도와 변화’를 이끌어내고, 여러 분야 사이의 ‘경계넘기’를 시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라민 은행(Grameen Bank)은 담보가 없어 돈을 빌리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소규모의 사업을 할 수 있도록 무담보 소액 대출을 제공해, 시장논리를 통해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자선을 실현한 사례로 유명합니다. 공정무역은 어떤가요. 기본적으로 무역은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지만, 당장 많은 이익은 남기지 못할지라도 공정한 거래를 통해 ‘사회적 부’를 증진시키고자 # diycity,SDS,공정무역,그라민은행,대안경제,사회혁신,사회혁신센터,소셜디자이너스쿨,소셜이노베이션캠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