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박원순

목민관클럽, 시민이 즐거운 서울을 가다

희망제작소는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과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을 위해 전국 52개 지방정부와 목민관클럽을 창립하였습니다. 목민관클럽은 지방자치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며 해결책을 찾고, 주민들의 삶을 보다 행복하게 가꾸기 위한 정기포럼을 격월로 개최합니다. 그 고민의 현장을 소개합니다. 1년 7개월, 2011년 10월 26일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박원순 시장의 재임기간입니다. 전년도에 예산안을 확정하는 정부의 예산주기를 보면 2012년에 편성된 2013년 사업부터가 비로소 박원순 시장의 정책의지가 제대로 반영된 것이니, 박원순표 시정을 이야기하기에는 다소 이른 시기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립대학교 반값등록금 시행, 친환경 무상급식 시작, 마을공동체 종합지원, 협동조합 활성화 등 사람 중심의 시정들이 속속 진행되고 있습니다.제19차 목민관클럽 정기포럼은 사람 중심의 시정, 시민참여를 통해 서울의 변화를 만들고자하는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

#

사회적경제리포트 (2.11- 2.17)

협동조합의 역사와7원칙 (1) 조우석 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마피아에 맞서 싸우는이탈리아 협동조합부터 오웬의 뉴하모니 실험까지 협동조합의 역사로 살펴본협동의 원칙과 정신 행복한 지역공동체만들어가는 이타카시신용협동조합 문진수 한국사회적금융연구원장“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은지역주민이 주인인 금융생태계를 조성하는 것” 문진수원장이 들려주는 이타카시 신용협동조합 이야기 [CO-UP]Share 공유경제뉴스 양석원 대표(@ejang, CO-UP)공유경제를 주제로 한성기영의 경제투데이,공유도시 서울 BI, 슬로건공모작 시민선호도 투표 등다양한 공유경제 뉴스를만나보자. 캠퍼스 울타리를 넘어서,대학생 협동조합이만들어가는 바람직한먹거리 문화 강동현 HUB Bay Area 인턴 지역사회 구성원들에게 지속가능한 음식에 대한 중요성을 알리고 윤리적이면서친환경적인 음식문화 확산을목표로 하는 CoFED 이야기 정책 / 지원 서울시 협동조합활성화 기본계획 발표– 협동조합 8000개 육성, 14조 시장으로 키운다서울시가 ‘협동조합 활성화 기본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시는 앞으로 10년간 협동조합 수를 8000개까지 늘리며 이를 통해

#

사회적경제리포트 (2.4- 2.10)

십시일반의 행복, 여럿이함께하는펀딩 2012 서울사회적경제 아이디어대회 서울시민이 공감한 42개 사회적경제 아이디어와 크라우드펀딩 웹툰을 만나보세요. 사회적경제 거버넌스 어떻게 할 것인가? 이재흥 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 지자체와 시민사회가 함께 만드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생생한 사례를 통해 배워보 자. [CO-UP]Share 공유경제뉴스 양석원 대표(@ejang, CO-UP) AIR BnB 창업자 인터뷰, 공유경제 투자 증가, 열린옷장 면접 대여자 합격소식 등 다양한 공유경제 소식을 만나보자. 2012년 최고의 공유경제 이야기 8가지 양석원 대표 (@ejang, CO-UP)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공유경제! 2012년 최고의 공유경제 이야기는 무엇 일까? 그 8가지를 한번 살펴보자. 정책 / 지원 서울시, 올해 사회투자기금 800억원 조성, 지원 서울시는 올해 협동조합 등 사회적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 자금과 매칭 방식으로 800억원 규모의 사회투자기금을

#

사회적경제리포트 (1.21- 1.27)

육아에 지친 신세대 워킹맘들에게 이재흥 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 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이송지 사무총장이 전하는육아지침을 들어보자. 인도 사회적기업의 현재과 미래 박아영 희망제작소 연구원세계 경제의 떠오르는 새로운주자 인도가 사회적기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CO-UP]Share 공유경제뉴스 양석원 대표(@ejang, CO-UP)‘서울, 공유경제를 만나다’ 에서 옷 공유서비스를 제공 하는 ‘키플’을 만날수 있다 (1/31). 또한 독일의 공유경제 등 다양한 소식을만나보자. 문화예술교육 ‘판의 재구성’ 포럼 참가자 모집 희망제작소 문화예술교육 사회적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만들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된 정책을 기획하고자 포럼을 진행한다. 정책 / 지원 사회적기업 인증 신청, 고용부 21일부터 접수고용노동부는 1월 21일부터 사회적기업 인증을 원하는기업·법인·조합 등의 인증 신청을 접수받는다. 이를희망하는 기업이나 단체는 오는 21일부터 연말까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