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벼룩시장

2월 19일, Top5를 만나라

수원 시민창안대회 본선에 진출한 다섯 팀이 구슬땀을 흘리며 아이디어 실행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각 아이디어의 실행과정은 2월 19일 오후에 열리는 결선대회에서 심사위원과 시민분들 앞에 공개되는데요, 아이디어 실행 마무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각 팀에게 응원의 박수를! 그리고 19일 결선대회에도 오셔서 함께 성과를 공유하며 격려 부탁드립니다! 열흘 앞으로 다가온 결선대회, 꼭 기억해주세요! 2010 수원 시민창안대회 결선 발표회ㆍ시상식 * 일시: 2011년 2월 19일 토요일 오후 2시 – 5시 * 장소: 화성박물관 영상 교육실 Part1 결선대회 개회식 2:00 – 2:25 Part2 아이디어 프레젠테이션 2:25 – 4:15 Part3 시민 별점 집계 및 심사 집계 4:15 – 4:40 Part4 최종 심사평 발표 및 시상식 4:40 – 5:10

#

재능을 나누는 벼룩시장 어때요?

11월 27일 수원 시민창안대회 본선 발표회를 통해 Top5 아이디어가 선정되었습니다. Top5 아이디어의 제안자(팀)들은 이미 아이디어의 현실화를 위한 작업에 돌입했고, 이들에게는 실행 지원금과 함께 전문가 멘토링이 제공됩니다.  그리고 2011년 2월 19일에 열리는 발표회를 통해 그 결과물을 시민에게 공개하고, 이 자리에서 우수 아이디어 1, 2, 3등을 가리게 됩니다. 자, Top 5 아이디어를 한개 씩 집중적으로 소개해드립니다. 발표영상 및 발표자료와 함께 아이디어와 실행계획을 꼼꼼히 살펴보시고, 블로그와 트위터도 방문하셔서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 관심의 눈길과 손길도 부탁드려요~ 수원시민창안대회 Top5 소개 ①  Let’s Fly! 청년 재능 벼룩 시장 ‘Let’s Fly! 청년 재능 벼룩 시장’ 아이디어를 제안한 ‘청년둥지’팀은 청년들이 천편일률적인 선호나 꿈을 갖는 것, 그래서 자신이 가진

#

수원을 D.I.Y할 아이디어 Top 5

오전부터 눈과 비가 흩날리던 11월의 마지막 주말, 수원 화성박물관에서는 2010 수원 시민창안대회 본선 발표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아이디어 공모 기간 동안 151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되었고,  전문심사위원 8명의 꼼꼼한 심사를 통해 10건의 본선 진출 아이디어가 가려졌는데요, 이 날 Top10 아이디어 제안자(팀)들은 심사위원과 시민들 앞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본선 발표회에서 아이디어 제안자들은 아래와 같은 미션을 수행해야 했습니다. 1. 아이디어 포스터를 통해 시민들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별점을 받는다.     (시민에게 받은 별점은 심사기준의 10%를 차지하는 공감도 점수에 반영!) 2. 7분 안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표한다.     (7분이라는 제한시간 동안 무사히 발표하는 것도 심사 항목중 중요한 한 가지! 시간 초과라면 감점이라는!) 3. 심사위원과 관련

#

수원을 D.I.Y할 아이디어 Top 10

2010 수원시민창안대회 본선 진출 10개의 아이디어가 발표되었습니다.접수된 151건의 아이디어를 대상으로 네티즌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본선 진출 아이디어가 선정되었는데요, 네티즌 투표에는  총 892건의 평점 및 댓글이 달려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날씨는 추워지고 있지만, 수원 시민창안대회는 이제 본 궤도에 올라 후끈한 열기를 보여주고 있답니다. 자, 본선 진출 10개의 아이디어를  분야별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화성 관광객 유치를 위한 방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 충분한 매력과 잠재력을 가진 화성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려오게 만들 아이디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총 4개의 아이디어가 선정되었습니다.   #1. 화성 행궁 주변에 숨겨진 보물같은 공간, 함께 찾아볼까요수원 화성 안에는 행궁이 있습니다. 행궁은 임금이 본궁을

#

11만 명이 참여하는 독일의 책 교환시장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온라인이 만든 거대한 책 교환시장Tauschticket (티켓 교환) 은 회원들이 등록한 백만 권이 넘는 책들(2009년 9월 기준)을 교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이다.  ☞ 영문소개Tauschticket은 회원제 서비스이며, 책의 교환은 신뢰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회원들은 ‘북티켓’이라고 불리는 가상의 티켓을 이용해 책을 교환한다. 북티켓은 자신의 책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