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개발, 밥, 개발… 36시간이 남긴 것 소식 2012.09.18 조회수 3,112 9월 15일(토) 자정부터 16일(일)까지 36시간 동안 쉬지 않고 진행된 2012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60명의 제안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들이 모여 완성도 높은 6개의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는데요. 이 날 만들어진 결과물은 아이디어 제안자 혹은 단체 등에 의해 실제로 운영되며, 향후 1년간 운영지원을 받게 됩니다. 참가자들의 열기가 어느 해보다 뜨거웠던 2012 소셜이노베이션캠프의 36시간을 소개합니다. 9월 14일 금요일 23:30 ~ 9월 15일 토요일 00:00SI camp 스타일로 등장!팀별 레드 카펫 입장과 포토존 퍼포먼스로 개막식이 시작되었습니다. 로컬푸드라는 주제에 맞게 몸뻬바지를 입은 파절이팀부터 화려한 댄스를 보여준 소셜통팀 그리고 몸도 못 가눌 정도로 커다란 인형탈까지 동원한 JOB법팀 등 6팀 6색의 개성 넘치는 등장에 캠프장은 환호성으로 떠나갈듯 # IT,사회혁신,소셜이노베이션캠프,앱,웹,해커톤,후기,희망제작소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세상을 바꿀 6개의 아이디어 대공개 소식 2012.08.08 조회수 1,877 세상을 바꿀 6개의 아이디어 공개! 7월10일부터 29일까지 홈페이지에 등록된 111개의 아이디어는 1차 심사를 거치며 13개로 좁혀졌고, 다시 네티즌 투표와 2차 전문가 심사를 통해 6개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2012 소셜이노베이션 캠프36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선정된 아이디어 자세히 보기 # 개발,공익적IT,기획,다음세대재단,사회혁신센터,소셜이노베이션캠프,아이디어 발표,앱,웹,후기,희망제작소
[모집] 시니어소셜미디어스쿨 프로젝트 2012.03.20 조회수 2,646 희망제작소 시니어사회공헌센터는 행복설계아카데미의 플러스 과정으로 시니어 소셜미디어 양성을 위한 시니어소셜미디어스쿨을 개강합니다. 시니어소셜미디어스쿨에서 당신의 지혜와 경험을 펼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당신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 세상과 나누세요! # SNS,소셜미디어,스마트폰,시니어,웹,유투브,프레지,행복설계아카데미
6개의 주인공 ① 후기 2011.06.01 조회수 4,160 시민, NGOㆍNPO, 사회적기업의 공익적 아이디어를 실제 웹ㆍ앱 서비스로 구현하는 2011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이 4월 8일 공식 홈페이지 오픈과 함께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 21일에는 분당 NHN 그린팩토리에서 아이디어 제안자와 구현자들이 만나 서로 팀을 이루고 결속을 다지는 즐거운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되었고, 지금은 각 팀이 아이디어를 숙성시켜가고 있습니다. 캠프의 주인공이 될 6개의 아이디어 2011 소셜이노베이션캠프36 본 캠프까지 3주도 남지 않았습니다. 6월 17일부터 19일까지 일산 동양인재개발원에서 진행될 뜨거운 캠프의 주인공들이 많이 궁금하셨을 텐데요, 지난 5월 21일 오리엔테이션에서 제안자들이 직접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선에 진출해 실제 서비스로 구현될 6개 아이디어를 간략히 소개드립니다. 1) 사회적 기업의 자립을 돕는 희망의 투자 플랫폼사회적기업에 대해 아시나요? 2008년 조사에 의하면 국민 중 16.5%가 # 공공,도서관,발표,봉사활동,사회적기업,사회혁신,소셜이노베이션캠프36,아이디어,앱,웹,제안,주식,청소년,투자
희망제작소 메인화면을 개편하였습니다. 공지사항 2009.07.13 조회수 3,974 장맛비가 잠시 주춤하고 있는 7/13 월요일입니다.희망제작소 홈페이지의 메인화면이 바뀌었지요? 느낌이 어떠신지요?희망제작소 콘텐츠센터 웹팀에서 지난 4개월여를 준비하여 부분적인 개편을 진행하였습니다.이에 그 진행과정과 변화내용을 회원님들과 이용자 여러분들께 간단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지난 3년간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는 활발한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필요에 의한 디자인 수정과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되면서 변화, 발전해 왔습니다. 나름의 성과도 있었고, 한계도 분명하게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가장 아쉬운 점을 지적한다면, “개방,공유,참여”의 WEB2.0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희망제작소는 너무도 1.0 스럽게 과거의 틀에서 변화하기 어려운 조건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연구,뉴스, 컬럼 등의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시기별, 사안별도 많은 행사와 프로그램들이 진행되어 왔는데 그 과정에서 생산된 콘텐츠들이 효과적으로 배치되거나 유통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희망제작소의 # 개편보고,블로그,웹,웹개편,희망제작소,희망제작소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