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무엇일까요?
인구감소로 이어지는 저출생·고령화, 여기에 지역의 인구 유출,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지역의 쇠퇴, 지역소멸을 불러옵니다. 줄어드는 인구는 지방재정을 악화시키는 한편, 인구 집중화 현상은 지역 간 불균형을 극대화하는데요. 이는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 세계적인 경제의 위축, 성장의 둔화 속에서 변화하는 산업구조, 줄어들거나 이탈하는 인구에 지방정부는, 지역은 어떤 방법으로 활력을 찾을 수 있을까요? 또 풀뿌리 시민들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
전기산업과 조선업 등 제조업으로 번영을 누렸지만, 산업구조의 변화와 중앙정부의 긴축 재정으로 지역 경제 위기를 맞은 프레스턴시. 프레스턴시에서 주목한 것은 공공기관과 지역 내 대학, 병원 등 앵커 기관의 공공 조달, 지출 현황입니다. 앵커 기관의 전체 지출 중 지역 내 소비가 현저하게 낮다는 점에 주목하고, 앵커 기관의 지출 및 공공 조달이 지역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합니다. 정책뿐 아니라 지역 내 생태계 조성까지 병행한 프레스턴 모델을 전하며, 고민을 나눕니다.
|
#프레스턴모델 #지역공동체부구축 #클리블랜드 #몬드라곤 #노동자협동조합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지역의 정주 인구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 사업을 펼치고 있습니다. 출산장려금 지원사업, 귀농·귀촌 지원사업, 청년 취·창업 일자리 지원 등 지역 내에서의 인구 유출을 최소화하고 지역으로 인구 유입을 촉진합니다. 하지만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률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수도권으로 인구유입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지방정부가 주도했던 사업 중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뛰어났던 정책 사례 5가지를 선정했는데요. 다섯 가지 사례를 통해 지역 활력을 높이기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을 모색합니다.
|
#지역활력 #지방정부 #워케이션 #농촌유학 #살아보기
|
경제 환경의 변화, 지역경제의 위축은 일상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변화는 가계의 소비계획에 조정을 요구합니다. 반드시 해야 하는 소비라면 현명하게, 지속가능한 지출로의 전환은 어려운 일 일까요? 현명한 소비는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인구감소, 지역소멸, 저성장, 경제 위축 등 커다란 문제 앞에서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는 우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합니다.
|
#지역경제 #가치소비 #경제선순환 #지역화폐 #소비가투자다
|
희망제작소와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실천에 함께해주세요.
지역소멸, 인구감소, 지역경제 위축 등 거대해 보이는 문제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중심을 잡아야 할까요? 보다 지속 가능한 지역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주체의 활동 방식, 생각 방식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유행이 아닌 안정적으로 지역의 활력을 재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연구하고 실천합니다. 희망제작소의 활동을 응원해주세요.
|
[소식] 매력 활력 회복력 넘치는 지역을 위하여 | 자세히보기
[소식] 마을 사람들이 함께 일하고 놀고 생활하는 공동체 | 자세히보기
[소식] 농촌은 힘 있는 공간… 청년에겐 무한한 기회의 무대 | 자세히보기
[소식] 커뮤니티에 진심인 연구원들의 ‘마을공동체 연구’ 이야기 | 자세히보기
[소식] 마을을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기업 | 자세히보기
|
🧐 Re: 연구원에게 물어보살
이번 뉴스레터를 읽다가 문득 떠오른 궁금증!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성심성의껏 답장을 드립니다. 희망제작소 활동에 관한 궁금증을 남겨주세요!
|
이번 주 소식 어땠나요?😄
소중한 의견을 가볍게 남겨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