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글로컬리스트

트위터는 NGO에게 어떤 기회를 제공하는가

오늘날 인터넷 붐의 두번째 물결은 인터넷이 불러온 사회혁신의 가능성을 또 다시 변화시키고 있다. 소통행위의 변화와 함께 정보와 소비의 행태도 변하고 있으며, 공공성의 부족한 부분을 메우기 위해 매일 새롭고 혁신적인 제안들이 생겨나고 있다. 가히 지금까지 비영리기구(NGO)들이 지녀온 소통전략 자체를 의문시할 만하다. 이러한 상황 아래 유럽에서는 웹 전문가들과 공익단체의 대표자들이 서로 네트워킹하고 지식을 교환하며,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소통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 바로 <소셜 캠프> (Social Camp)라는 이름 아래서다.  오는 10월 3일과 4일, 독일 베를린에서는 <소셜캠프 09 베를린> 회의가 개최된다. 이 회의는 비영리단체 및 공익재단의 의사결정자들과 웹 전문가들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며,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그 이용에 대한 깊이있는

#

녹색이 일자리다

독일에서 환경관련 공공서비스 부문의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최근 독일의 컨설팅 기관인 ‘롤란드 버거 전략 자문소(Roland Berger Strategy Consultants)’는 환경관련 공공서비스 부문에 대한 첫번째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독일 환경부의 지시로 수행된 이 연구의 보고서는 2020년까지 독일의 환경관련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약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창출될 것이라고 점쳤다.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기술 분야 인력의 시장가치는 2008년 1230억 유로를 기록했고, 매년 7.7%의 성장률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현재 약 86만명의 인력이 환경 관련 공공서비스 부문에 종사하고 있으며, 이는 독일 환경기술부에서 일하는 인력의 74%에 해당한다. 다가오는 2020년에는 환경 서비스 부문의 총 시장가치가 3000억 유로로 확대될 것이며, 이 부문의 종사자 수 역시 약 1억 6800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

지속가능성을 위한 미디어 3.0의 탄생

유럽희망통신은 오스트리아의 사회적 비지니스 전문지 글로컬리스트의 기사를 번역해 유럽 주요 국가의 시민사회ㆍ사회적기업ㆍ사회자본ㆍ싱크탱크들이 만들어내는 희망적인 소식들을 국내에 전합니다.  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들의 소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희망제작소의 박명준 객원연구원과 고리 2기 번역재능 기부자 유호진이 공동작업하여 부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한때 발행중단의 위기에 처했던 오스트리아의 사회적 비즈니스 전문지 <글로컬리스트 미디어>가 재발행되기로 결정되면서 국제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 안정성이 확보되었다고 보기에는 이르지만, 일단 새로운 판의 첫 번째 발행본이 오는 11월,  8만 부 가량 출간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기업들의 활동을 미디어 업계에 전문적으로 소개하는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컬리스트 미디어>의 회생은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SAID 비즈니스 스쿨의 MB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오스트리아식 사회창안대회 엿보기

1128820153.bmp  편집자 주 유럽희망통신은 유럽 주요 국가들의 시민사회, 사회적 기업, 사회자본, 싱크탱크들이 만들어내는 희망적인 소식들을 국내에 전하려는 취지를 갖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 독일어권 국가들의 소식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희망제작소의 객원연구원인 박명준과 고리 2기 번역재능 기부자 유호진이 공동작업하여 부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빈곤이나 실업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최근 경제 위기와 맞물려 공식적인 장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오스트리아의 TU/WU 경영센터 비엔나는 지난 5월 초, 베를린 항공사, 에머센스 등과 함께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벗고 나설 젊은 이들을 찾아 나섰다. 이들은 소위 ‘소셜 임팩트 어워드 2009’ 공모전을 개최하여, 오스트리아 지역에서 사회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 모든 대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