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키워드: 마을기업

[언론보도] “대한민국의 2012년은 ‘사회적 경제’ 싹틔운 원년”

“대한민국의 2012년은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마을기업을 대표로 하는 사회적 경제가 꽃핀 원년이다.” 시민참여형 싱크탱크인 희망제작소는 연말을 맞아 올해 우리 사회의 사회적 경제를 특징짓는 다섯가지 변화를 정리해 발표했다. * 기사주요내용 – 희망제작소, 연말 맞이해 우리 사회의 사회적경제 특징짓는 다섯가지 변화 정리해 발표 – ‘사회적기업에서 사회적경제로의 패러다임 변화’,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참여’, ‘직접지원을 넘어서 인프라 구축’ 등 5가지 꼽아? [ 한겨레 / 2012.12.27 / 김현대 기자 ] 기사원문보기

#

사회적기업, ‘긍정의 힘’이 필요해

2010년도 인증 사회적기업 기준으로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사회적기업이 전체 14%, 1인당 매출액이 중소기업 평균의 13% 수준인 3,100만 원이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2007년 이후 사회적기업당 고용인원 수, 기업당 매출, 당기순이익은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다. 굳이 이런 구체적 수치가 아니더라도,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은 사회적기업이 가지고 있는 근본 한계로 또는 더이상 문제제기가 필요 없는 누구나 공감하는 ‘문제’로 공인되고 있는 듯 하다. 과연 그러한가? 되짚어보아야 할 문제이다. 사회적기업, 잘 하고 있습니다 사회적기업에 대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러려니 생각하고 있는 ‘상식’은 대부분 잘못된 정보에 근거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여러 가지 이유로 사회적기업이 실제보다 많이 저평가 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는 것과는 달리 사회적기업들은 훨씬 잘 하고 있다.

#

사회적경제리포트 (11.8 – 11.14)

협동조합기본법의 A to Z를 알려주는 ‘가이드 라인’ 다섯번째 이야기 이대중 전 기획재정부 협동조합팀장 12월 발효되는 협동조합 기본법은 다른 법률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자. [영국에서 듣는다] 알렉스 니콜스가 전하는 ‘사회적기업에게 정부는 방해꾼인가 촉매제인가’ 조우석 희망제작소 선임연구원 정권교체와 공공영역 지형 변화가 영국 사회적기업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지, 알렉스 교수로부터 들어보자. [CO-UP]Share 공유경제 to 마을양석원 대표(@ejang, CO-UP)“소유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마을에서 함께 자라고 함께 일하는 공유경제의 모습을 살펴보자. 위키서울닷컴 (3) 청춘, 당신의 꿈은? 서울사회적경제아이디어대회 대학신입생 그는 어떤 꿈을 꾸고 있을까? 청춘이 행복한 다양한 꿈터에 대한 생각을 나눠보자. 정책 / 지원 “사회연대경제 지방정부협의회” 설립 서울시 성북구 등 전국 30여개 지방자치단체가 연대하는 ‘사회연대경제

#

사회적경제리포트 (10.25 – 10.31)

협동조합 기본법의 A to Z를 알려주는 ‘가이드 라인’ 네번째 이야기 이대중 전 기획재정부 협동조합팀장 세상을 바꾸는 숫자는 다섯. 5명이 모이면 협동조합을 시작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협동조합을 어떻게 설립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미국 학생주거협동조합 탐방기 김성은 리포터 대학생들은 학생주거협동 조합을 통해 ‘즐거운 집’에서 즐거운 공부를 할 수 있다. 산타바바라 학생주거협동 조합의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자. [CO-UP]Share 공유경제 뉴스양석원 대표(@ejang, CO-UP)‘공유도시와 사회적 경제 세미나’ 개최, 미국 공유 자전거 확산 소식 등 따끈 따끈한 주간 공유경제뉴스를 만나봅시다. 서울시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경진대회 서울시 아이디어대회 우리 생활 속의 고민들을 사회적경제로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봅시다. 정책 / 지원 서울특별시 사회적기업개발센터 운영 수탁기관 공개모집 서울시는 사회적기업개발센터 운영을 담당할

#

사회적경제리포트 (10.11 – 10.17)

협동조합 기본법의 A to Z를 알려주는 ‘가이드 라인’ 세번째 이야기이대중 전 기획재정부 협동조합팀장국제협동조합연맹(ICA)의 협동조합 7대원칙과 기본법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보자. 사회적협동조합을 통한지역의 사회적경제 실현전략(2)최혁진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기반조성본부장이탈리아, 프랑스, 캐나다 등의 사회적협동조합은 나라마다 다양하게 규정된다. 다른 나라의 모습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사회적협동조합을 그려보자. [CO-UP]Share 공유경제 뉴스양석원 대표(@ejang, CO-UP)영국 공유경제 연구보고서 발간, 열린옷장에 보내는 박원순 시장의 메세지 등 한 주간 공유경제 소식을 만나보자. [위키토크] 세 번째 이야기서울시 아이디어대회“2012 사회적경제 아이디어 대회”. 에코라이프, 나눔에 대하여 대화지기와 시민이 함께 소통했던 현장을 살펴보자. 정책 / 지원 2012 한국전력 “사회적기업 갈증해소 프로젝트” 공모 한국전력과 사회연대은행이 함께 사회적기업에 운영자금을 대출 지원하는 사업이 진행된다. 기업당 2,000만원 한도 내 지원이 가능하며 접수기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