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이 환경을 파괴한다? 소식 2010.02.01 조회수 4,304 희망제작소는 10회에 걸쳐 ‘착한 돈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에 관한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글은 일본의 NGO 활동가 16명이 쓴 책《굿머니, 착한 돈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의 일부를 희망제작소 김해창 부소장이 번역한 글입니다. 몇몇 글에는 원문의 주제에 관한 김해창 부소장의 글이 덧붙여져 있습니다. 일본 시민사회 활동가들의 눈에 비친 전 세계적인 돈의 흐름을 엿보고, 바람직한 경제구조를 함께 고민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우리가 은행이나 우편저금에 맡기는 돈은 학교 · 병원 · 공원 등의 건설, 도로 · 공항 · 다리의 정비 등 우리 생활의 기반이 되는 공공사업에도 쓰인다. 민간사업체가 공급하기 힘든 공공재나 서비스는 중앙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데, 공공사업 가운데는 환경을 파괴하거나 사람들의 생활에 악영향을 주는 # 4대강,공공사업,국책사업,굿머니,대안경제,사회적기업,새만금,착한경제,희망제작소
외국 금융인 눈에 비친 ‘새만금 백일몽’ 후기 2009.11.12 조회수 4,395 새. 만. 금! 누구에게는 지역개발의 희망이고, 누구에게는 지켜주지 못한 생명에 대한 미안함이다. 철학과 가치가 다르면, 아무리 같은 계량적 방법론을 통해 연구를 한다 해도, 서로 다른 결론에 도달한다. 어렵다. 나는 ‘환경’에 대한 인간의 이기심을 조금씩이라도 줄여야 한다는 입장이므로, 지금이라도 방조제를 터서 이전의 새만금으로 돌려야 한다는 생각에 변화가 없다. 방조제 공사 끝났으니 이왕 이렇게 된 것, 친환경(?)적으로 잘 개발하면 되지 않느냐는 주장에 동의하지 못한다. 새만금의 정당성 여부, 환경파괴 문제, 경제성 논쟁 등이 이 글의 주제는 아니므로, 이 이야기는 여기서 줄이고 본론으로 들어가겠다. 나는 11월 5일 새만금 국제포럼(녹색성장 새만금국제포럼 2009)에 다녀왔다. 새만금이 어떻게 개발될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 보다는 도시에 대한 해외 유명 인사들의 # 4대강,4대강국민소송,4대강사업,4대강위헌법률심판,금융중심도시,금융허브,녹색성장,새만금,새만금사업,장하준,행복도시,희망제작소
우리강산푸르게푸르게총서 4 연안테제, 연안사회를 조직하라 단행본 2007.09.21 조회수 219 ■ 소개 시화호 운동에 참여하면서 연안의 가치를 깨닫고, 연안에 닥친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실질적인 연안사회 발전모델을 계획하기 위해 중앙 중심주의와 땅의 관점에서 벗어나 바다와 해양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삶의 방식과 내용을 살펴보고, 연안유역권의 진정한 가치를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연안테제는 연안과 해양을 육상의 주변부가 아니라 삶의 중심부로 자리잡게 하고, 연안사회를 연안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할 자원순환형, 지역중심형 지속가능 사회로 발전시킨다. 우리는 땅 위에 살고 있다. 그리고 그 땅은 바다에 둘러싸여 있다. 현재 한국의 연안 지역에는 인구와 도시의 3분의 1이 몰려 있고, 총생산의 40퍼센트가 집중되어 있다. 육지 면적의 4.5배에 이르는 해양국토를 가지고 있고, 해안선 길이만 따져도 육지 면적 # 새만금,시민운동,시화호,연안,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