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로 교육한다 소식 2010.01.19 조회수 4,566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예술가 + 쓰레기 = ?네덜란드에서 시행 중인 예술가가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Artist involvement in creative education )의 목적은 학교와 예술가들이 교육적인 취지 아래 서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학교와 예술가 사이에서는 BISK라는 회사가 중재자 역할을 하며, 이 회사는 학생들의 창의력과 예술적 능력을 # 사회혁신,예술교육,유럽사회혁신사례,재활용,창의성,창의성교육,희망제작소
에스토니아 노인들이 살아가는 법 소식 2010.01.11 조회수 11,038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노인에 의한, 노인을 위한 공동체 퇴직한 노인들로 구성된 에스토니아의 공동체 오마비(Omaabi)는 작은 가게와 식당을 운영하면서 공동체 회원들이 서로 어울리고, 수공예품을 만들어 팔고, 저렴한 가격에 외식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공동체는 몇몇 연금 수령자들이 수공예품을 함께 만들어 팔면서 시작됐다. 현재 48명의 회원들이 참여하고 # 노인공동체,사회혁신,소셜디자인,시니어,유럽사회혁신사례,은퇴자,희망제작소
11만 명이 참여하는 독일의 책 교환시장 소식 2010.01.04 조회수 7,550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온라인이 만든 거대한 책 교환시장Tauschticket (티켓 교환) 은 회원들이 등록한 백만 권이 넘는 책들(2009년 9월 기준)을 교환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무료 서비스이다. ☞ 영문소개Tauschticket은 회원제 서비스이며, 책의 교환은 신뢰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회원들은 ‘북티켓’이라고 불리는 가상의 티켓을 이용해 책을 교환한다. 북티켓은 자신의 책을 # 벼룩시장,사회혁신,유럽사회혁신사례,중고책,책교환,희망제작소
자동차, 타면서 돈 버는 법 소식 2009.11.30 조회수 6,570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자동차, 소유에서 공유로 밀라노 자동차 셰어링(Milano Car Sharing, MCS)은 셀프 렌터카 서비스로 굳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아도 마음대로 차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통해 도시를 통행하는 차량 수를 줄일 수 있어 도심의 교통난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 사회디자인,사회혁신,소셜디자인,유럽사회혁신사례,자동차,자동차공유,카셰어링,희망제작소
핀란드인, 중고 자전거로 일내다 소식 2009.11.20 조회수 6,259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도시의 삼중고 해결한 자전거 벼룩시장핀란드의 자전거 벼룩시장( Bicycle Flea Market )은 기부된 자전거를 고쳐서 되파는 곳이다. 핀란드의 민간단체 Uusi Tuuli (역주: 핀란드어로 ‘새로운 바람’)가 후원하고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운영되는 이 곳에서는 실업자들이 자원봉사를 통해 기술을 익히고 공익에 기여할 기회도 갖는다. 원래 자전거 벼룩시장은 온갖 # Uusi Tuuli,공정무역,녹색교통,사회혁신,유럽사회혁신사례,자전거,자전거벼룩시장,자전거재활용,중고자전거,핀란드,희망제작소
유기농 전파하는 ‘여신의 정원’ 소식 2009.11.11 조회수 4,626 희망제작소는 12회에 걸쳐 유럽의 사회혁신 사례를 소개하는 글을 연재합니다. 이 연재는 밀라노 공대 산업디자인박사 과정에 재학중인 백준상님이 관련 보고서인 ‘창의적 커뮤니티’를 번역해 보내주신 글로 이루어집니다. 이 연재가 한국사회에 사회혁신과 사회창안을 알려가는 일에 보탬이 되고, 한국에서 관련 활동을 하고 계신 분들께 좋은 참고 사례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오늘날 디자인의 새로운 역할과 가능성을 제안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여신, 유기농을 제안하다케레스의 정원은 프랑스 팔레조(Palaiseau) 지역의 주민들로 구성된 소비자 단체이며, 주된 활동은 지역 농축산 생산자들에게 유기농 생산을 장려하고 그들로부터 생산품을 직접 구매하는 일이다. (역주: 케레스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풍작의 여신) 이 단체는 구입 품목을 수확 전에 선주문하고 구입대금의 일부를 미리 지불함으로써 생산자들을 지원한다. # 농산물직거래,사회디자인,사회창안,사회혁신,소셜디자인,유기농,유럽사회혁신사례,케레스의정원,희망제작소